목차
동남아시아의 지리적 경계 및 구성국가
동남아시아의 형성
동남아시아의 공통된 역사
동남아시아의 언어
동남아시아의 공통된 문제점
역사
경제
우리 나라와 인도네시아의 관계
◆보충내용◆
동남아시아의 형성
동남아시아의 공통된 역사
동남아시아의 언어
동남아시아의 공통된 문제점
역사
경제
우리 나라와 인도네시아의 관계
◆보충내용◆
본문내용
금지 분야
공익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 : 방위산업, 매스미디어 주요 공공사업 부문 : 항만, 해운, 전력, 항공, 수도, 철도, 원자력 등 중요 자본재 제조업
- 출자지분의 제한
최소 투자금액 : 신규 투자시 최소 투자금액은 US$ 25만 외국인 지분소유의 제한
* 모든 외국인투자 프로젝트는 반드시 인니와 합작형태를 취해야 하며 인니에서 P.T라 부르는 주식회사 형태이어야 한다. 이러한 합작법인체를 PMA라 부르며, 내국인 투자법인체 PMDN과 구별된다.
* PMA 합작기업의 외국인 소유지분은 80%까지 허용되며, 정상조업 후 20년 내에 인니측 파트너에게 과반수(51% 이상)를 양도해야 한다.
용어정의
국민국가?
국민을 전제로 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성립된 국가
하나더!
국민문화
동남아시아 각국은 독립한 이후 제각끔 상기한 여러가지 문화적 요소 위에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서 말레이시아어, 필리핀에서 타갈로그어의 장려가 국민문화의 창출을 위한 노력이다. 정치적인 면에서도 인도네시아의 대통령이었던 수카르노가 교도민주주의를 주창한 것이라든가 버마의 정치지도자들이 불교사회주의를 부르짖는 것은 이러한 노력의 일부인 것이다. 베트남이 사회주의를 내세우면서도 민족주의적 요소를 부각시키려 애쓰는 것 역시 이러한 맥락이다. 더우기 최근 싱가포르와 미국 사이에 논쟁을 불러일으킨 태형에 대해, 싱가포르정부가 우리는 우리식의 법체제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태형을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나선 것도 바로 동남아시아 국민문화의 일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생각된다
복수사회형태?
현지인이 노동을 제공하고 외래동양인은 그들의 중간 관리인으로 일하며 유럽인들은 이익을 가져가는 형태의 사회모양
고똥로용?
(Gotong-royong)
-타인과의 협력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고똥로용의 정신은 이리안자야를 제외한 인도네시 아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단점: 그러나 상부상조 정신은 개인의 자질과 자기 개발을 막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개인은 과거 자신이 경험하지 못했던 사안에 대한 결정단계에 처할 때 자기 스스로가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윗사람 또는 연장자의 지시를 기다릴 뿐이다.
또한 상사의 감독 아래 놓여있을 때는 질서가 유지되고 책임감이 있으나 감독이 허술, 또 는 없을 경우는 책임을 회피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사례는 비단 농촌지역뿐만 아니라 도시지역에서도 흔히 나타나며 결과적으로는 개 인의 발전과 국가발전에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장점: 상부상조의 관행을 통한 공동체 의식, 작업의 효율성 제고
참고문헌
·김수일, 『세계속의 인도네시아』, PUFS, 1998.
·경남대학교극동문제연구소, 『인도네시아』, 경남대학교 출판부, 1983.
·서세호, 『미래의 대국 인도네시아』, 서문당, 1997.
·김기태, 『동남아사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991.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인도네시아』, 경남대학교 출판부, 1983.
인터넷
http://www.ipeck.or.kr/kilic/imf/imf-99-cc-report4.htm#주요%20경제자료
http://unionofmyanmar.net/menu2page/page77.htm
http://user.chollian.net/~nadream/index1.htm
http://my.netian.com/~gembira/index.htm
http://www3.gyo6.net:8080/~p000004/soc/s6-2.htm
http://board.free.cgiserver.net/CrazyWWWBoard.cgi?db=skkim0903&mode=read&num=44&page=1&category=&ftype=6&fval=&backdepth=1
http://kimchunho.com/d225.htm
http://windshoes.hihome.com/wind-etc06-a.htm
http://www.mofat.go.kr/mission/emb/embassy.mof?continent=AS&si_dcode=ID-ID§ion= A
http://www.islammission.org/news/021news/ne020428.htm
http://www.thejakartapost.com/headlines.asp
http://www.antara.co.id/english.asp
중앙일보
2001.05.11 , 2001.07.24 , 2001.12.24 , 2002.04.04 , 2002.04.21
공익에 큰 영향을 미치는 산업 : 방위산업, 매스미디어 주요 공공사업 부문 : 항만, 해운, 전력, 항공, 수도, 철도, 원자력 등 중요 자본재 제조업
- 출자지분의 제한
최소 투자금액 : 신규 투자시 최소 투자금액은 US$ 25만 외국인 지분소유의 제한
* 모든 외국인투자 프로젝트는 반드시 인니와 합작형태를 취해야 하며 인니에서 P.T라 부르는 주식회사 형태이어야 한다. 이러한 합작법인체를 PMA라 부르며, 내국인 투자법인체 PMDN과 구별된다.
* PMA 합작기업의 외국인 소유지분은 80%까지 허용되며, 정상조업 후 20년 내에 인니측 파트너에게 과반수(51% 이상)를 양도해야 한다.
용어정의
국민국가?
국민을 전제로 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성립된 국가
하나더!
국민문화
동남아시아 각국은 독립한 이후 제각끔 상기한 여러가지 문화적 요소 위에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말레이시아에서 말레이시아어, 필리핀에서 타갈로그어의 장려가 국민문화의 창출을 위한 노력이다. 정치적인 면에서도 인도네시아의 대통령이었던 수카르노가 교도민주주의를 주창한 것이라든가 버마의 정치지도자들이 불교사회주의를 부르짖는 것은 이러한 노력의 일부인 것이다. 베트남이 사회주의를 내세우면서도 민족주의적 요소를 부각시키려 애쓰는 것 역시 이러한 맥락이다. 더우기 최근 싱가포르와 미국 사이에 논쟁을 불러일으킨 태형에 대해, 싱가포르정부가 우리는 우리식의 법체제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면서 태형을 적극적으로 옹호하고 나선 것도 바로 동남아시아 국민문화의 일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생각된다
복수사회형태?
현지인이 노동을 제공하고 외래동양인은 그들의 중간 관리인으로 일하며 유럽인들은 이익을 가져가는 형태의 사회모양
고똥로용?
(Gotong-royong)
-타인과의 협력을 최고의 가치로 여기는 고똥로용의 정신은 이리안자야를 제외한 인도네시 아 전역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단점: 그러나 상부상조 정신은 개인의 자질과 자기 개발을 막는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개인은 과거 자신이 경험하지 못했던 사안에 대한 결정단계에 처할 때 자기 스스로가
결정을 내리기보다는 윗사람 또는 연장자의 지시를 기다릴 뿐이다.
또한 상사의 감독 아래 놓여있을 때는 질서가 유지되고 책임감이 있으나 감독이 허술, 또 는 없을 경우는 책임을 회피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사례는 비단 농촌지역뿐만 아니라 도시지역에서도 흔히 나타나며 결과적으로는 개 인의 발전과 국가발전에의 저해요인으로 작용한다.
-장점: 상부상조의 관행을 통한 공동체 의식, 작업의 효율성 제고
참고문헌
·김수일, 『세계속의 인도네시아』, PUFS, 1998.
·경남대학교극동문제연구소, 『인도네시아』, 경남대학교 출판부, 1983.
·서세호, 『미래의 대국 인도네시아』, 서문당, 1997.
·김기태, 『동남아사 입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1991.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인도네시아』, 경남대학교 출판부, 1983.
인터넷
http://www.ipeck.or.kr/kilic/imf/imf-99-cc-report4.htm#주요%20경제자료
http://unionofmyanmar.net/menu2page/page77.htm
http://user.chollian.net/~nadream/index1.htm
http://my.netian.com/~gembira/index.htm
http://www3.gyo6.net:8080/~p000004/soc/s6-2.htm
http://board.free.cgiserver.net/CrazyWWWBoard.cgi?db=skkim0903&mode=read&num=44&page=1&category=&ftype=6&fval=&backdepth=1
http://kimchunho.com/d225.htm
http://windshoes.hihome.com/wind-etc06-a.htm
http://www.mofat.go.kr/mission/emb/embassy.mof?continent=AS&si_dcode=ID-ID§ion= A
http://www.islammission.org/news/021news/ne020428.htm
http://www.thejakartapost.com/headlines.asp
http://www.antara.co.id/english.asp
중앙일보
2001.05.11 , 2001.07.24 , 2001.12.24 , 2002.04.04 , 2002.04.21
추천자료
서아시아, 유럽의 600년~900년 까지의 역사 비교
[인문과학]태국역사의 이해
기시모토 미오, 미야지마 히로시, 2003『조선과 중국 근세 오백년을 가다 : 일국사를 넘어선 ...
[국사]동아시아의 불교전래
태국의 역사와 태국의 외교
한국 '동아시아사' 교과서의 전개 방향에 대한 고찰
[제3세계의역사와문화] 베트남 근현대사 서평
동아시아 근대 신문 지체요인
동아시아지역사의 전개와 근대
동아시아 공동체
[세계의역사B형] 캄보디아의 전 국왕 노로돔 시하누크 관련자료를 인터넷을 통하여 3건을 선...
[아시아문화, 아시아문화 개념, 아시아문화 형성, 정체성, 교류, 민족의식, 유교관]아시아문...
[이케아 글로벌 경영] 이케아 그룹(IKEA Group)의 유럽, 미국, 아시아 진출전략 {IKEA의 역...
중국과 미국, 일본, 동아시아 주변 경쟁국과의 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