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왜 이 시대에 포르노그라피가 담론되고 있는가?...
본론
1.포르노그라피란 무엇인가?(외설)
2.예술(누드)사진이란 무엇인가?
3.누드사진(예술)과 포르노그라피(외설)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결론
왜 이 시대에 포르노그라피가 담론되고 있는가?...
본론
1.포르노그라피란 무엇인가?(외설)
2.예술(누드)사진이란 무엇인가?
3.누드사진(예술)과 포르노그라피(외설)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결론
본문내용
락을 집어넣거나 내시경으로 들여다본다고 해서 관음증이거나, 외설이 아니다. 똑같이 화가들이 화실에 모여 누드모델을 그리고있다고 해서 관음적이거나 외설적인 것은 아니다. 그 공간에 참여한 사람들의 목적이 외설성에 있지 않기 때문이다. "나체 사진의 음란성이 인정된다 할지라도 그 사진 잡지의 주된 독자가 사진작가 등 전문가들인 경우에는 그 잡지의 사회적 유해성을 부정하여야 하며, 의학 잡지에 실린 논문의 내용이 외설적이라 인정되는 경우에도 그 잡지의 주된 독자가 의사나 의학자들인 경우에는 그 잡지의 사회적 유해성을 부정하여야 옳다."는 대법원의 판결문도 있다. 문제는 음란과 예술의 기준을 뭐가 보이고, 안 보이고 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저급한 방식과 심의기준을 잣대로 하여 마구 가위질을 해 데는 상부(?)들의 잘못이다....
결론
포르노그라피와 예술사진(누드)사진의 차이점의 기준은 앞서 본인이 주장한 것을 바탕으로 결국 의도와 목적의 적합성에 있다. 포르노그라피는 그저 인간의 말초신경을 자극하여 이를 바탕으로 상업적으로 이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취하는 것일 뿐이다. 그에 반해 예술사진은 작가의 혼이 담겨있고 그 목적이 분명하며 상업적인 이득을 취하려고 하지 않는 외설을 매개로 예술로 승화시키는 순수한 작품세계라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말해 예술사진(누드)은 여성의 나신(裸身)을 매재(媒材)로 하여 인간에 대한 원초적 인식을 대입(代入)하고, 인간과 자연의 생명적 관계성을 연역적(演驛的)으로 추구함으로써, 그의 이데아와 감정이입을 정착시키는 것 바로 이점에서 예술사진의 정점은 이룩된다.
비단 누드가 가지는 모순의 굴레에서 벗어나기는 힘든 현대 사회이지만 자연과 생명의 본질을 깨닭고 이를 가치 있는 것으로 이끌어 낼 때 비로소 예술적 누드사진은 완성된다.
포르노그라피 자체는 해롭지 않다. 다만 그 목적성이 의심스러울 뿐이다. 그러나 예술적 누드 사진은 우리 인간의 살아있음을 가치롭다고 여겨지게 만드는 아주 좋은 예술이다. 작품의 메시지를 영혼에 대입하면 보다 나은 누드사진 작품이 많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이 글을 마칠까 한다.
참고 문헌 및 사이트:
포르노그라피의 발명 : 외설성과 현대성의 기원,1500-1800 / 헌트, 린 책세상 1996
http://www.leephotonude.com/ 이창남 작가의 누드갤러리.
http://www.fantastic-korea.com/ 이재길 작가의 사이버갤러리.
결론
포르노그라피와 예술사진(누드)사진의 차이점의 기준은 앞서 본인이 주장한 것을 바탕으로 결국 의도와 목적의 적합성에 있다. 포르노그라피는 그저 인간의 말초신경을 자극하여 이를 바탕으로 상업적으로 이용하여 경제적 이득을 취하는 것일 뿐이다. 그에 반해 예술사진은 작가의 혼이 담겨있고 그 목적이 분명하며 상업적인 이득을 취하려고 하지 않는 외설을 매개로 예술로 승화시키는 순수한 작품세계라고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말해 예술사진(누드)은 여성의 나신(裸身)을 매재(媒材)로 하여 인간에 대한 원초적 인식을 대입(代入)하고, 인간과 자연의 생명적 관계성을 연역적(演驛的)으로 추구함으로써, 그의 이데아와 감정이입을 정착시키는 것 바로 이점에서 예술사진의 정점은 이룩된다.
비단 누드가 가지는 모순의 굴레에서 벗어나기는 힘든 현대 사회이지만 자연과 생명의 본질을 깨닭고 이를 가치 있는 것으로 이끌어 낼 때 비로소 예술적 누드사진은 완성된다.
포르노그라피 자체는 해롭지 않다. 다만 그 목적성이 의심스러울 뿐이다. 그러나 예술적 누드 사진은 우리 인간의 살아있음을 가치롭다고 여겨지게 만드는 아주 좋은 예술이다. 작품의 메시지를 영혼에 대입하면 보다 나은 누드사진 작품이 많이 나오지 않을까? 생각하면서 이 글을 마칠까 한다.
참고 문헌 및 사이트:
포르노그라피의 발명 : 외설성과 현대성의 기원,1500-1800 / 헌트, 린 책세상 1996
http://www.leephotonude.com/ 이창남 작가의 누드갤러리.
http://www.fantastic-korea.com/ 이재길 작가의 사이버갤러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