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조명이란 무엇인가?
2. 조명의 기본(빛의 종류/색깔/구도)
1) 빛의 종류
2) 빛의 색깔
3) 빛의 각도
※ 촬영을 위한 기본적인 조명의 종류
1. 촬영을 위한 기본적인 조명
2. 방송, 영화에 사용되는 조명램프의 종류와 특징
※ 색이론
1. 색의 정의
2. 색에 관련된 시스템
3.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필터 계열
2. 조명의 기본(빛의 종류/색깔/구도)
1) 빛의 종류
2) 빛의 색깔
3) 빛의 각도
※ 촬영을 위한 기본적인 조명의 종류
1. 촬영을 위한 기본적인 조명
2. 방송, 영화에 사용되는 조명램프의 종류와 특징
※ 색이론
1. 색의 정의
2. 색에 관련된 시스템
3. 가장 기본적으로 사용되는 필터 계열
본문내용
: 색온도 전환과 광량 감소의 기능 동시 수행 필터 명칭
색온도 전환 광량 손실
85N3 일광에서 텅스텐으로 1 2/3스탑
85N6 일광에서 텅스텐으로 2 2/3스탑
85N9 일광에서 텅스텐으로 3 2/3스탑
3-9 #85 계열의 ND 혼합 필터
1) 텅스텐광을 일광으로 전환
: 풀 블루 필터, 터프 블루 필터 또는 CTB필터라고 부름
2) 문제점 : 광량 투과율이 38%(약 1 1/2 스탑 광량 손실) /
#85필터 = 58%
3) 대안
일광이 들어오는 창문 전체를 #85 필터로 처리하고 텅스텐 필름을 사용하여 촬영하면 텅스텐 조명 광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텅스텐 조명기에 1/2 청색 필터를, 창문에는 1/2 #85필터 장치 /
약간 차가운 사실적 느낌 텅스텐 조명기 대신 일광과 같은 HMI나 페이 조명기를 실내에 사용
좋은 영상을 얻기 위하여 조명 담당자는
1) 카메라의 특성과 성능에 맞는 적정 조도 및 색채의 재현 범위를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2) 연출자의 연출 의도, 출연자의 성격, 의상, 미술 세트, 카메라 움직임 및 앵글 등에 대해서도 담당자들 충분히 의논하여 카메라의 특성에 적합한 영상을 재현시켜야 한다.
빛의 방향성 : 피사체의 영상표현은 빛의 입사방향에 따라 여러 성격으로 변한다. 인물의 코가 카메라 정면으로 향하고, 코와 카메라가 연결하는 선을 시선(視線.view line)이라고 한다.
빛의 입사방향을 수평각과 수직각으로 나누어서 수평각은 시계식으로, 수직각은 180 식으로 표시한다.
1) 순광(順光 5∼7시) - 인물 정면의 빛이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밝기를 얻을 수 있으나 음영이나 질감을 얻기가 힘들고, 평면적이고 입체감이 없다. 여성 출연자의 얼굴을 아름답고 순하게 표현하는 경우 부드러운 순광이 좋다.
2) 사광(斜光 정각 3시30분, 7시30분 방향 45 ) - 카메라에 대해서 45 각도에서 비추며 적당하게 음영이 나타나 입체감이 있고 피사체의 특성을 최대한 잘 재현시켜 인물이나 상품의 키 라이트로 이용한다.
3) 측광(側光 2∼4시, 8∼10시) - 사이드 라이트(side light) 또는 엣지 라이트(edge light)라고 한다.
인물의 입체를 강조할 수 있고 특히 음영이 강하다. 코트라스트가 강할 경우, 인물을 개성적이고 이지적으로 표현
4) 역광(逆光 11∼1시) - 백 라이트(back light)라고도 한다. 피사체의 뒤쪽으로부터 오는 빛이기 때문에 그림자가 앞부분에 떨어지게 되고 인물의 배경과 윤곽을 분명하게 떠오르게 한다. 인물의 머리카락이나 어깨 등을 윤기있게 나타내어 입체감을 강조할 수 있다.
5) 톱 라이트(top light) - 인물의 바로 위에서 비추며, 인물을 아름답게 만들지는 못하지만 넓은 무대 공간에 인물의 존재감이나 위치를 표시하며 위압감을 나타낸다.
6) 풋 라이트(foot light) - 언더 라이트(under light)라고도 한다.
일상 생활에서는 보통 빛이 위쪽에서 주어진다. 따라서 아래쪽으로부터의 빛은 특히 이상함을 느끼게 한다. 기이한 인물의 인상을 구하는 경우 또는 공포나 스릴 및 특수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한다.
색의 성질에 첨가하여 색채의 심리와 연상작용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색채의 심리와 연상작용
적색: 따뜻함, 잔혹성, 분노, 강함, 피, 위험
녹색: 봄, 신선함, 신비, 질투, 공포
황색: 기쁨, 화려함, 배신, 동양적, 태양광
청색: 냉정, 무한함, 영묘함, 차가움,
검은색: 죽음, 우울, 비애, 비밀스런 행동
흰색: 눈, 섬세, 깨끗함, 우아함(결혼 드레스), 허약, 평화, 애도
색온도 전환 광량 손실
85N3 일광에서 텅스텐으로 1 2/3스탑
85N6 일광에서 텅스텐으로 2 2/3스탑
85N9 일광에서 텅스텐으로 3 2/3스탑
3-9 #85 계열의 ND 혼합 필터
1) 텅스텐광을 일광으로 전환
: 풀 블루 필터, 터프 블루 필터 또는 CTB필터라고 부름
2) 문제점 : 광량 투과율이 38%(약 1 1/2 스탑 광량 손실) /
#85필터 = 58%
3) 대안
일광이 들어오는 창문 전체를 #85 필터로 처리하고 텅스텐 필름을 사용하여 촬영하면 텅스텐 조명 광량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
텅스텐 조명기에 1/2 청색 필터를, 창문에는 1/2 #85필터 장치 /
약간 차가운 사실적 느낌 텅스텐 조명기 대신 일광과 같은 HMI나 페이 조명기를 실내에 사용
좋은 영상을 얻기 위하여 조명 담당자는
1) 카메라의 특성과 성능에 맞는 적정 조도 및 색채의 재현 범위를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2) 연출자의 연출 의도, 출연자의 성격, 의상, 미술 세트, 카메라 움직임 및 앵글 등에 대해서도 담당자들 충분히 의논하여 카메라의 특성에 적합한 영상을 재현시켜야 한다.
빛의 방향성 : 피사체의 영상표현은 빛의 입사방향에 따라 여러 성격으로 변한다. 인물의 코가 카메라 정면으로 향하고, 코와 카메라가 연결하는 선을 시선(視線.view line)이라고 한다.
빛의 입사방향을 수평각과 수직각으로 나누어서 수평각은 시계식으로, 수직각은 180 식으로 표시한다.
1) 순광(順光 5∼7시) - 인물 정면의 빛이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밝기를 얻을 수 있으나 음영이나 질감을 얻기가 힘들고, 평면적이고 입체감이 없다. 여성 출연자의 얼굴을 아름답고 순하게 표현하는 경우 부드러운 순광이 좋다.
2) 사광(斜光 정각 3시30분, 7시30분 방향 45 ) - 카메라에 대해서 45 각도에서 비추며 적당하게 음영이 나타나 입체감이 있고 피사체의 특성을 최대한 잘 재현시켜 인물이나 상품의 키 라이트로 이용한다.
3) 측광(側光 2∼4시, 8∼10시) - 사이드 라이트(side light) 또는 엣지 라이트(edge light)라고 한다.
인물의 입체를 강조할 수 있고 특히 음영이 강하다. 코트라스트가 강할 경우, 인물을 개성적이고 이지적으로 표현
4) 역광(逆光 11∼1시) - 백 라이트(back light)라고도 한다. 피사체의 뒤쪽으로부터 오는 빛이기 때문에 그림자가 앞부분에 떨어지게 되고 인물의 배경과 윤곽을 분명하게 떠오르게 한다. 인물의 머리카락이나 어깨 등을 윤기있게 나타내어 입체감을 강조할 수 있다.
5) 톱 라이트(top light) - 인물의 바로 위에서 비추며, 인물을 아름답게 만들지는 못하지만 넓은 무대 공간에 인물의 존재감이나 위치를 표시하며 위압감을 나타낸다.
6) 풋 라이트(foot light) - 언더 라이트(under light)라고도 한다.
일상 생활에서는 보통 빛이 위쪽에서 주어진다. 따라서 아래쪽으로부터의 빛은 특히 이상함을 느끼게 한다. 기이한 인물의 인상을 구하는 경우 또는 공포나 스릴 및 특수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한다.
색의 성질에 첨가하여 색채의 심리와 연상작용에 대한 내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색채의 심리와 연상작용
적색: 따뜻함, 잔혹성, 분노, 강함, 피, 위험
녹색: 봄, 신선함, 신비, 질투, 공포
황색: 기쁨, 화려함, 배신, 동양적, 태양광
청색: 냉정, 무한함, 영묘함, 차가움,
검은색: 죽음, 우울, 비애, 비밀스런 행동
흰색: 눈, 섬세, 깨끗함, 우아함(결혼 드레스), 허약, 평화, 애도
추천자료
바울사상 조명
사형제도 재조명
한국 독립운동사 재조명 - 칼의 노래
대동사상의 현대적 재조명을 통한 성공적 계승방안
민영화 논리의 재조명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재조명
새롭게 떠오르는 조명 LED (Light Emitting Diode)
[근대성의 재조명] 보편성과 특수성으로서 근대성과 근대성의 제도화, 성찰적 근대성
계몽주의 기획의 재조명
4.2.1.채광과 조명
대전 경관조명 사례조사
진화론의 관점에서 조명해본 니체의 인간관에 대한 고찰 (도덕의 계보학에 나타난 개념을 중...
심층 생태학으로부터의 조명
도시공학도의 관점에서 재조명한 고대로마의 계획도시 팀가드(Timgad) (팀가드의 특징, 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