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재조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재조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주제 선정

2. 학문중심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2-1. 발생배경
2-2. 기본적 견해
2-3. 브루너의 이론
2-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목표

3. 학문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재조명

본문내용

학습자의 정서적 성장을 돕는 데 소홀한 측면은 확실히 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발생배경만을 살펴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아동의 정서에 맞춘 교육과정의 실패는 조금은 강건하고, 조금은 엄격한 교육과정을 필요로 했다. 이는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실패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부각된 요소가 비교적 강조되지 않은 요소를 너무 협소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아동에게 또다시 학습의 전권을 위임할 수는 없다. 학문의 구조만 강조하고 사회문제나 인간교육, 가치교육 등의 정의적인 요소가 소홀히 다루어짐으로써 전인 교육이 어렵다는 점은 또다시 인간중심 교육과정과의 융합을 일단의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실제적 삶에 적용되지 못한다는 지적은 약점이 될 수 없다. 나선형 교육과정을 기초로 삼아 진행하는 우리나라 교육과정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실제적 삶에 적용하는 지식은 초등, 중등교육 시절에 배우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대학 이상의 고등 기관에서 전문적 직업훈련을 통하여 습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지식 또한 기초적 원리, 즉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구조를 제대로 가르친다면 지식의 습득에 있어서도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바로 학문중심 교육과정인 것이다. 요는, 어떻게 응용하는가 하는 점이다.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그 혁신적인 이론으로 무장하고 있는, 아주 매력적이고 실용적인 교육과정이다. 따라서 오늘날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주로 비판받는 이유를 더더욱 잘 고찰해 보고 이를 개선하여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1.28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883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