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선정
2. 학문중심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2-1. 발생배경
2-2. 기본적 견해
2-3. 브루너의 이론
2-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목표
3. 학문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재조명
2. 학문중심 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
2-1. 발생배경
2-2. 기본적 견해
2-3. 브루너의 이론
2-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목표
3. 학문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
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재조명
본문내용
학습자의 정서적 성장을 돕는 데 소홀한 측면은 확실히 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발생배경만을 살펴보더라도 쉽게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아동의 정서에 맞춘 교육과정의 실패는 조금은 강건하고, 조금은 엄격한 교육과정을 필요로 했다. 이는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기존의 교육과정에서 실패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부각된 요소가 비교적 강조되지 않은 요소를 너무 협소하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하여 아동에게 또다시 학습의 전권을 위임할 수는 없다. 학문의 구조만 강조하고 사회문제나 인간교육, 가치교육 등의 정의적인 요소가 소홀히 다루어짐으로써 전인 교육이 어렵다는 점은 또다시 인간중심 교육과정과의 융합을 일단의 대안으로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실제적 삶에 적용되지 못한다는 지적은 약점이 될 수 없다. 나선형 교육과정을 기초로 삼아 진행하는 우리나라 교육과정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실제적 삶에 적용하는 지식은 초등, 중등교육 시절에 배우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대학 이상의 고등 기관에서 전문적 직업훈련을 통하여 습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지식 또한 기초적 원리, 즉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구조를 제대로 가르친다면 지식의 습득에 있어서도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바로 학문중심 교육과정인 것이다. 요는, 어떻게 응용하는가 하는 점이다.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그 혁신적인 이론으로 무장하고 있는, 아주 매력적이고 실용적인 교육과정이다. 따라서 오늘날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주로 비판받는 이유를 더더욱 잘 고찰해 보고 이를 개선하여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적 삶에 적용되지 못한다는 지적은 약점이 될 수 없다. 나선형 교육과정을 기초로 삼아 진행하는 우리나라 교육과정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실제적 삶에 적용하는 지식은 초등, 중등교육 시절에 배우는 것이 아니다. 그것은 대학 이상의 고등 기관에서 전문적 직업훈련을 통하여 습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그 지식 또한 기초적 원리, 즉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한 구조를 제대로 가르친다면 지식의 습득에 있어서도 아주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이 바로 학문중심 교육과정인 것이다. 요는, 어떻게 응용하는가 하는 점이다.
앞에서도 말했다시피, 학문중심 교육과정은 그 혁신적인 이론으로 무장하고 있는, 아주 매력적이고 실용적인 교육과정이다. 따라서 오늘날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주로 비판받는 이유를 더더욱 잘 고찰해 보고 이를 개선하여 적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이상적인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행동주의 교육과정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핵심정리 서브노트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교과서내용분석(7차 교육과정 수학1)>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의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선택중심교...
주제중심교육(주제중심학습)의 정의와 분류, 주제중심교육(주제중심학습)의 구성과 중요성, ...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단계형수준별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과(수학교육) 선택중심교육...
교과중심교육과정의 정의, 교과중심교육과정의 유형, 교과중심교육과정의 특징, 교과중심교육...
교육행정및경영4공통) 여러학자의 행정과정 참작 교육행정과정 공통요소 ①의사결정, ②기획, ③...
[교육행정및경영4]여러학자의 행정과정 참작하여 교육행정과정의 공통요소를 찾아보면 의사결...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가치명료화, 간접적 측정, 연결과균형)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컴퓨터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