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원 인
2.과 정
3.결 과
2.과 정
3.결 과
본문내용
력 중심 기구 역할을 하였다. 이 때부터는 군사 문제뿐만 아니라, 경찰.형벌.관리의 인사까지도 이 곳에서 처리했다. 그래서 무신정권을 중방 정치라고도 한다.
도 방 : 고려 무신 정권 때의 사병집단. 경대승이 정중부일파를 제거한 뒤 신변의 위험을 느껴, 젊고 날랜 병사 백수십명을 모아 자기 집에 숙식시키면서 경호를 하게 한 것이 시초였다. 그 뒤 최충헌이 집권하면서 다시 도방을 설치하였는데. 이 때부터 도방은 근위대로서 최씨 가문의 권력을 유지하는 데 힘이 되었다.
정 방 : 고려 때 정무를 보던곳. 최우가 자기 짐에 설치하여 문무 관리들의 인사 문제를 처리함으로써 임금은 정방에서 결정한 내용을 나중에 인정하는 것에 그쳤다. 정방은 뒤를 이은 최항, 최의가 집권할 때에도 계속 이용되었다.
삼 족 : 부모, 형제, 부인,자녀 등 3대에 걸친 가족 모두를 가르킨다.
교정도감 : 1209년에 최충헌이 세운 관청. 관리들의 비리조사, 인사 관리, 세무 등에 관한 일을 맡아 보았다. 우두머리는 교정별감으로 반드시 장군이어야 했다. 교정도감은 무신 독재 정치를 이어 가는 핵심 관청이었으며, 뒤를 이은 무신 집권자들이 교정별감에 오르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
도 방 : 고려 무신 정권 때의 사병집단. 경대승이 정중부일파를 제거한 뒤 신변의 위험을 느껴, 젊고 날랜 병사 백수십명을 모아 자기 집에 숙식시키면서 경호를 하게 한 것이 시초였다. 그 뒤 최충헌이 집권하면서 다시 도방을 설치하였는데. 이 때부터 도방은 근위대로서 최씨 가문의 권력을 유지하는 데 힘이 되었다.
정 방 : 고려 때 정무를 보던곳. 최우가 자기 짐에 설치하여 문무 관리들의 인사 문제를 처리함으로써 임금은 정방에서 결정한 내용을 나중에 인정하는 것에 그쳤다. 정방은 뒤를 이은 최항, 최의가 집권할 때에도 계속 이용되었다.
삼 족 : 부모, 형제, 부인,자녀 등 3대에 걸친 가족 모두를 가르킨다.
교정도감 : 1209년에 최충헌이 세운 관청. 관리들의 비리조사, 인사 관리, 세무 등에 관한 일을 맡아 보았다. 우두머리는 교정별감으로 반드시 장군이어야 했다. 교정도감은 무신 독재 정치를 이어 가는 핵심 관청이었으며, 뒤를 이은 무신 집권자들이 교정별감에 오르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