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First consonant shift & second sound shift
2. The eleven principle groups in indo-european family of language
( 인도 유럽어족의 언어에 11개 기본 그룹 )
3. The angles-saxon heptarchy
( 앵글로 색슨의 7왕족=7두 정치 )
4. Synthetic & analytic language
( 종합(합성)어 와 분석어 )
5. Who were the first people in england about whose language
we have definite knowledge?
( 언어에 대한 명확한 지식을 가지고 영국에 처음으로 살던 민족은
누구인가? )
6. To which branch of germanic does english belong?
( 영어는 게르만어의 어는 군에 속하는가? )
7. The four dialects of old english
( 고대영어의 네 개의 방언 )
8. The weak and strong declensions in adjectives and verbs
( 형용사와 동사의 약변화와 강변화 )
9. Beowulf & bede
( 베어울프 와 비드 )
10. The characteristic of old english
( 고대 영어의 특징 )
11. Roman conquest
(로마의 정복 )
12. German conquest
( 게르만의 정복 )
2. The eleven principle groups in indo-european family of language
( 인도 유럽어족의 언어에 11개 기본 그룹 )
3. The angles-saxon heptarchy
( 앵글로 색슨의 7왕족=7두 정치 )
4. Synthetic & analytic language
( 종합(합성)어 와 분석어 )
5. Who were the first people in england about whose language
we have definite knowledge?
( 언어에 대한 명확한 지식을 가지고 영국에 처음으로 살던 민족은
누구인가? )
6. To which branch of germanic does english belong?
( 영어는 게르만어의 어는 군에 속하는가? )
7. The four dialects of old english
( 고대영어의 네 개의 방언 )
8. The weak and strong declensions in adjectives and verbs
( 형용사와 동사의 약변화와 강변화 )
9. Beowulf & bede
( 베어울프 와 비드 )
10. The characteristic of old english
( 고대 영어의 특징 )
11. Roman conquest
(로마의 정복 )
12. German conquest
( 게르만의 정복 )
본문내용
achine(재봉틀),
one-way street(일방통행) 등등
- 이러한 유형은 고대 영어에서 성행하는 것으로 현대 독일어와 같으며 독일어는 아직도 합성어를
좋아한다.
ex) wasserstoff(water-stuff) : 수소, fernsprecher(far-speaker).
- 이와 같은 고대 영어의 합성어의 예
lohtfaet ( loht light + faet vessel ) : lamp, daegred ( day-red) : dawn
friscdag ( fish-dye ) : purple , frta이 ( foot-disease ) : grout
grimmwyrhta ( gem-worker ) : jeweler
filellesocnes ( falling-sickness) : epilepsy
frumweorc ( fruma beginning + work ) : creation
11. Roman conquest
(로마의 정복 )
● 시대적 순서에 따른 로마의 영국 정복활동 상황
1. julius caesar 의 영국 침입 ( BC 55년의 침입 )
- 목적 : 영국 정복을 완성하지는 못했지만, 영국의 켈트족 성장의 의지를 떨어뜨려 반항하지
못하도록 하기위해.
- 결과 : 영국 정복은 이루지 못하였으나 britain island 에 들어가게 된 계기가 됨.
동남쪽 자리를 확립하는데 성공.
2. claudius 의 영국 정복 추진 ( AD 43년 )
- 이전의 시저황제 경험을 토대로 본격적으로 영국 섬에 대한 완전 정복을 추진
정복활동 문제를 과소 평가하지 않고, 4만 군대 파병,
- 3년만에 중부, 남동부 정복
이 정복을 통해 전국을 로마의 통치하에 두게 됨(켈트족의 로마 통치)
3. agricola 황제에 의한 정복 활동 ( AD 85년 )
- 초기에 북쪽으로 solway만과 tyne강까지 확장
영국에 대한 완전 정복이 이루어짐.
- wales 와 scotland를 제외한 영국을 300년 이상(거의 400년)동안 지배
언어와 문화가 모두 로마화 됨.
이 때의 영국을 romanized britain이라고 한다.
4. hadrianus 황제 통치
- 켈트인의 한 부족인 picts 족의 침략을 막기 위해 tyne강 하구에서 solway만까지의 동서 횡단
성벽인 hadrian's wall을 세움.
● romanization of the island ( 영국의 로마화 )
: 로마인들이 지배했던 곳에서 로마인들의 생활양식이 발견되는 것.
- 로마인의 법 제정
- 정복의 신속화를 위해 네 개의 큰 간선도로를 만듬 ( 런던에서 북, 서북, 서, 남서 로 뻗어나감 )
군사적, 시 업무가 용이해졌으며 이로 인해 약 20개 도시, 100 마을이 로마화 ( 문화의 변화 )
- 로마의 생활풍습 도입 : 로마식 주택, 사원, 극장 등,
로마의 의상, 장신구, 그릇 등의 사용
- 기독교의 영국 유입 ( AD 314년, 교회 주도하의 로마화 )
: 기독교의 도입으로 인해, 비교적 평화적 통치가 이루어짐( 복종 강조 )
로마의 영국 통치도 이로 인하여 비교적 평화적으로 이루어짐 ( 변방 제외 )
- 라틴어 사용 : 상류층과 대소도시 주민, 예술인층에 편중
마지막 로마 군단이 섬에서 철수한 410년경까지 사용되고 이 후에는 사용 줄어듬.
그러나 완전하게 켈트어를 대치하지는 못함.
● 로마의 철수
- 로마의 영국 정복화 과정이 5세기 경에 줄어듬 → 로마화가 줄어듬.
- 다른 침략자가 생겼음을 알 수 있음 → 즉 german 의 침입
12. German conquest
( 게르만의 정복 )
● 게르만 족이 영국 내 발판 마련
- AD 410 년 영국내 로마 철수 - 로마에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인해 자국 보호를 위해 병력 철수함
- 켈트족은 북쪽에 picts 족과 scot 족의 침입을 받게 됨.
켈트족은 로마에 원군 요청을 하였으나 로마 거부
이에 켈트 지도자 중 한명이 jutes 에 협상 요청, 도와 줄시 kent 지방의 thanet 섬을 주겠다고
협상함.
- jutes 족은 방어성공으로 협상대로 thanet 섬을 소유하게 됨.
이로서 anglo-saxon 의 영국 정복의 발판을 마련하게 됨.
● 게르만 족의 영국 진입 및 정복
- jutes 족 영국 상륙 (449년)
: picts 와 scots를 몰아내고 thanet 섬에 상륙하게 됨.
- saxon 족의 영국 상륙 (477년)
: saxon 족이 남쪽 해안으로 상륙하여 sussex에 정착,
495년에 멀리 서쪽의 wessex까지 진출.
- angle 족의 영국 상륙 (547년)
: 영국의 동쪽 해안에 상륙하여 anglia 왕국을 세움
● 결과
- 게르만 정복으로 인해 영국내 살던 켈트 족들은 웨일즈와 스코틀랜드 지역으로 밀려나게 됨.
- 로마인은 지배하기 위해서 영국에 침입하였었으나, 게르만인은 briton 땅에 정착하기 위해서
celt 족을 몰아내고 자기 땅으로 만들었던 것이다. 켈트족이나 로마인들은 이들을 saxon 족이라고
불렀다. 그 후 angli 와 anglia 라는 용어가 유럽에서 자주 사용하게 됨.
- jutes 족은 jutland의 북부(danish 반도의 북부인 현재의 denmark)에서 왔고,
angles 는 jutland의 서부(schleswig의 algeln지방(갈고리의 뜻))에서 왔고,
saxons 는 angles의 남쪽과 서쪽(elbe강과 ems강 사이 그리고 rhine강)에서 왔다.
- briton 인들은 패배하여 지배당하거나, 동화됨.
많은 briton 인들은 wales 와 cornwall로 도주하였으며 일부는 ireland로 건너가 scots를 정복,
scots는 scotland로 밀려나 scot족이 됨. cornwall의 briton인들은 armonia로 건너감.
● 게르만 정복에 대한 기록
: 영국을 침략한 이 역사적 사실에 관해서는 731년에 완성된
‘bede’의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영국 교회사) 와
Alfred왕의 명에 의해 시작된 anglo-saxon chronicle(앵글로 색슨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다.
one-way street(일방통행) 등등
- 이러한 유형은 고대 영어에서 성행하는 것으로 현대 독일어와 같으며 독일어는 아직도 합성어를
좋아한다.
ex) wasserstoff(water-stuff) : 수소, fernsprecher(far-speaker).
- 이와 같은 고대 영어의 합성어의 예
lohtfaet ( loht light + faet vessel ) : lamp, daegred ( day-red) : dawn
friscdag ( fish-dye ) : purple , frta이 ( foot-disease ) : grout
grimmwyrhta ( gem-worker ) : jeweler
filellesocnes ( falling-sickness) : epilepsy
frumweorc ( fruma beginning + work ) : creation
11. Roman conquest
(로마의 정복 )
● 시대적 순서에 따른 로마의 영국 정복활동 상황
1. julius caesar 의 영국 침입 ( BC 55년의 침입 )
- 목적 : 영국 정복을 완성하지는 못했지만, 영국의 켈트족 성장의 의지를 떨어뜨려 반항하지
못하도록 하기위해.
- 결과 : 영국 정복은 이루지 못하였으나 britain island 에 들어가게 된 계기가 됨.
동남쪽 자리를 확립하는데 성공.
2. claudius 의 영국 정복 추진 ( AD 43년 )
- 이전의 시저황제 경험을 토대로 본격적으로 영국 섬에 대한 완전 정복을 추진
정복활동 문제를 과소 평가하지 않고, 4만 군대 파병,
- 3년만에 중부, 남동부 정복
이 정복을 통해 전국을 로마의 통치하에 두게 됨(켈트족의 로마 통치)
3. agricola 황제에 의한 정복 활동 ( AD 85년 )
- 초기에 북쪽으로 solway만과 tyne강까지 확장
영국에 대한 완전 정복이 이루어짐.
- wales 와 scotland를 제외한 영국을 300년 이상(거의 400년)동안 지배
언어와 문화가 모두 로마화 됨.
이 때의 영국을 romanized britain이라고 한다.
4. hadrianus 황제 통치
- 켈트인의 한 부족인 picts 족의 침략을 막기 위해 tyne강 하구에서 solway만까지의 동서 횡단
성벽인 hadrian's wall을 세움.
● romanization of the island ( 영국의 로마화 )
: 로마인들이 지배했던 곳에서 로마인들의 생활양식이 발견되는 것.
- 로마인의 법 제정
- 정복의 신속화를 위해 네 개의 큰 간선도로를 만듬 ( 런던에서 북, 서북, 서, 남서 로 뻗어나감 )
군사적, 시 업무가 용이해졌으며 이로 인해 약 20개 도시, 100 마을이 로마화 ( 문화의 변화 )
- 로마의 생활풍습 도입 : 로마식 주택, 사원, 극장 등,
로마의 의상, 장신구, 그릇 등의 사용
- 기독교의 영국 유입 ( AD 314년, 교회 주도하의 로마화 )
: 기독교의 도입으로 인해, 비교적 평화적 통치가 이루어짐( 복종 강조 )
로마의 영국 통치도 이로 인하여 비교적 평화적으로 이루어짐 ( 변방 제외 )
- 라틴어 사용 : 상류층과 대소도시 주민, 예술인층에 편중
마지막 로마 군단이 섬에서 철수한 410년경까지 사용되고 이 후에는 사용 줄어듬.
그러나 완전하게 켈트어를 대치하지는 못함.
● 로마의 철수
- 로마의 영국 정복화 과정이 5세기 경에 줄어듬 → 로마화가 줄어듬.
- 다른 침략자가 생겼음을 알 수 있음 → 즉 german 의 침입
12. German conquest
( 게르만의 정복 )
● 게르만 족이 영국 내 발판 마련
- AD 410 년 영국내 로마 철수 - 로마에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인해 자국 보호를 위해 병력 철수함
- 켈트족은 북쪽에 picts 족과 scot 족의 침입을 받게 됨.
켈트족은 로마에 원군 요청을 하였으나 로마 거부
이에 켈트 지도자 중 한명이 jutes 에 협상 요청, 도와 줄시 kent 지방의 thanet 섬을 주겠다고
협상함.
- jutes 족은 방어성공으로 협상대로 thanet 섬을 소유하게 됨.
이로서 anglo-saxon 의 영국 정복의 발판을 마련하게 됨.
● 게르만 족의 영국 진입 및 정복
- jutes 족 영국 상륙 (449년)
: picts 와 scots를 몰아내고 thanet 섬에 상륙하게 됨.
- saxon 족의 영국 상륙 (477년)
: saxon 족이 남쪽 해안으로 상륙하여 sussex에 정착,
495년에 멀리 서쪽의 wessex까지 진출.
- angle 족의 영국 상륙 (547년)
: 영국의 동쪽 해안에 상륙하여 anglia 왕국을 세움
● 결과
- 게르만 정복으로 인해 영국내 살던 켈트 족들은 웨일즈와 스코틀랜드 지역으로 밀려나게 됨.
- 로마인은 지배하기 위해서 영국에 침입하였었으나, 게르만인은 briton 땅에 정착하기 위해서
celt 족을 몰아내고 자기 땅으로 만들었던 것이다. 켈트족이나 로마인들은 이들을 saxon 족이라고
불렀다. 그 후 angli 와 anglia 라는 용어가 유럽에서 자주 사용하게 됨.
- jutes 족은 jutland의 북부(danish 반도의 북부인 현재의 denmark)에서 왔고,
angles 는 jutland의 서부(schleswig의 algeln지방(갈고리의 뜻))에서 왔고,
saxons 는 angles의 남쪽과 서쪽(elbe강과 ems강 사이 그리고 rhine강)에서 왔다.
- briton 인들은 패배하여 지배당하거나, 동화됨.
많은 briton 인들은 wales 와 cornwall로 도주하였으며 일부는 ireland로 건너가 scots를 정복,
scots는 scotland로 밀려나 scot족이 됨. cornwall의 briton인들은 armonia로 건너감.
● 게르만 정복에 대한 기록
: 영국을 침략한 이 역사적 사실에 관해서는 731년에 완성된
‘bede’의 ecclesiastical history of the english people(영국 교회사) 와
Alfred왕의 명에 의해 시작된 anglo-saxon chronicle(앵글로 색슨 연대기)에
기록되어 있다.
추천자료
실크로드&동서문화의 교역로
스톤헨지
리더십으 이론들
Witchcraft란 무엇인가
2015년 2학기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주얼리 디자인 시대별 디자인 트랜드 분석 및 디자인 메가 트렌드 고찰
2016년 2학기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1학기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하계계절시험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7년 동계계절시험 유아교육철학및교육사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8년 1학기 교육철학및교육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