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선택여하에 따라 그 효과가 달라지는 한계를 갖고 있다. 북한은 아직도 햇볕정책을 '변형된 흡수통일정책' 정도로 받아들이며 의구심을 풀지 않고 있고, 냉전체제의 종식 이후에도 한-미-일 공조체제가 더욱 공고해지는 양상을 한-미-일 삼각동맹 체제의 변형판으로 보는 것과, 이라크나 코소보 사태에서 드러난 미국의 개입정책은 북한의 생존전략을 핵과 미사일에 의존하는 벼랑끝 외교로 몰아갔던 것이다. 따라서 햇볕정책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남북문제는 민족적으로 풀어간다는 자주성 원칙'에 서 있음을 북한에 확인시켜야 한다. 아울러 '햇볕정책'이 단지 우리민족만의 내부적 문제가 아닌 한반도를 둘러싼 열강들의 이해득실까지 고려해야 하는 외교적 안목도 함께 고려해야 할 것이다.
독일 통일과정을 보면 그것이 어느 날 하루아침에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독일통일 뒤에는 무려 18년이나 외무장관을 역임하면서 고르바쵸프의 등장 이후 동서 긴장완화를 십분 활용한 한스 디트리히 겐셔 외무장관의 일관된 통독정책과, 그보다 훨씬 오래 전인 냉전시대부터 '동방정책'을 표방하며 통일의 기초를 닦은 빌리 브란트 수상의 역사적 안목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제 김대중정부의 '햇볕정책'은 시작된지 1년 여가 지났을 뿐이다. 차분히 지켜보며 격려와 비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땅에서도 18년 임기의 겐셔외무장관이나 브란트 같은 지도자가 나올 수 있는 정치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통일을 앞당기는 가장 빠른 길은 역사적 안목이 있는 지도자의 육성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독일 통일과정을 보면 그것이 어느 날 하루아침에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독일통일 뒤에는 무려 18년이나 외무장관을 역임하면서 고르바쵸프의 등장 이후 동서 긴장완화를 십분 활용한 한스 디트리히 겐셔 외무장관의 일관된 통독정책과, 그보다 훨씬 오래 전인 냉전시대부터 '동방정책'을 표방하며 통일의 기초를 닦은 빌리 브란트 수상의 역사적 안목이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제 김대중정부의 '햇볕정책'은 시작된지 1년 여가 지났을 뿐이다. 차분히 지켜보며 격려와 비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땅에서도 18년 임기의 겐셔외무장관이나 브란트 같은 지도자가 나올 수 있는 정치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다. 통일을 앞당기는 가장 빠른 길은 역사적 안목이 있는 지도자의 육성에 다름 아니기 때문이다.
추천자료
북한의 문화예술정책 및 남북 통일에의 기여 가능성
(통일 정책) 김영삼 대통령이 이룩한 사업과 대북 통일 정책
통일에 대비한 교육정책변화 필요성
[독일][독일통일][통일][동독][서독]독일(동독과 서독)의 통일(동독 붕괴와 자유선택, 통일 ...
남북한 통일(통일환경,대북정책)
북한의 산업정책 및 통일전선전술
통일후 북한의 주택정책 방향과 공공의 역할에 대하여
서독의 통일 외교 정책의 현황과 과제
서독의 통일 외교 정책의 현황과 과제
역대 대통령들의 통일 대북 정책 조사분석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배경, 접근방식, 부시행정부 대북정책(한반도정책)의 대...
쌀의 사회사 - 벼의 기원과 전래, 벼농사 시작, 조선시대의 토지제도, 이앙법의 발달과 영향,...
[한국문화사] <쌀> 쌀의 역사 - 쌀의 기원과 전파, 삼국시대(우경, 농기구), 조선시대(이앙법...
[청소년복지] 탈북청소년에 대한 공공부문의 지원 정책 실태 - 통일부(사회적응 기본교육, 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