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2
본론 .2
백제의 멸망 .2
고구려의 멸망 .3
백제의 부흥운동 .4
고구려의 부흥운동 .5
신라의 당 축출 .5
신라의 삼국통일을 보는 여러 시각 .6
결론 .7
본론 .2
백제의 멸망 .2
고구려의 멸망 .3
백제의 부흥운동 .4
고구려의 부흥운동 .5
신라의 당 축출 .5
신라의 삼국통일을 보는 여러 시각 .6
결론 .7
본문내용
을 이용하는 의도로 볼 수 있는 사죄사를 보내는 등 신라의 외교전략을 높이 평가하기도 한다.
또, 지리적인 관점에서의 여러 시각들이 있다. 신라의 삼국통합을 통해 옛 고구려의 영토는 아주 소수만 차지하게 되어 우리민족의 영역을 축소시킨 것에 대한 안타까운 시각이 여러 곳에 나타난다. 당에게 우리 민족과 삼국통합을 맞바꾼 것으로 비하하기도 한다. 이것은 위의 김춘추에 대한 비판 부에서도 많이 이야기된다. 또한 고구려의 정신을 계승하는 발해의 건국을 들어, 신라의 한반도 통합을 ‘삼국통일’이라고 명명할 수 없다고 까지 한다. 발해를 진정으로 우리민족의 울타리 안에 넣어야 하는지에 관한 이야기도 많이 있지만, 신라의 승리 이후를 남북국시대로 보아야 하지 않는가 하는 견해가 있다. 긍정적 시각에서는 국토의 회복이 나중에 점진적으로 얼어남으로 크게 비판되어야 할 사항이 아니라고 하는 반박 또한 있다.
또한 신라의 행위와 운영방식을 들어 삼국통일을 좋게 바라보는 시각이 있다. 신라는 당의 약속이 깨어지자, 당군을 한반도에서 몰아 내었고, 후에 백제와 고구려인을 관리로 받아들였고,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다. 건국 초기부터 ‘일통삼한(一統三韓)’의 의식을 키워왔으며, 그러한 의식을 바탕으로 한반도내의 민족적 단합에 힘썼으며, 지금까지 우리 한반도 내에서의 결집력을 형성하게 한 장본인을 신라로 보고 높이 평가하기도 한다.
결론
지금까지 신라의 삼국통일을 바라보는 시각을 이야기하기 위하여 통합과정의 배경과 그 과정에서 일어난 여러 가지 사건들을 열거하였다. 또한 그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이야기되어지는 여러 가지 시각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시각들의 견해가 아주 다양하고 분분하다.
우선 신라가 왜 삼국을 통일하려고 하였는가에 관한 생각을 해보았다. 신라는 건국하면서부터 민을 위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좀 더 넓은 행복한 세상을 만들고자 삼국통일의 염원을 키워왔다고 하는 주장이 있고 이호영 『新羅三國統合과 麗濟敗亡原因硏究』 1997. 서경문화사
, 7세기의 한반도 상의 분위기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승리하여야 하는 탓에 신라가 통일을 위해 노력하였다고 하는 등의 이야기들이 있기는 하다. 우리는 그 의도가 어찌 하였든 결과물을 아주 좋은 쪽으로 해석해 보기로 하였다. 지금 한반도상의 우리민족은 ‘단군’의 자손이라는 의식에 부정할 수 없다. 단군이 하나의 신화이긴 하나 전적으로 부정하지 않으며, 전적으로 수용 또한 하지 않는다. 단군이 처음 태어나 ‘홍익인간’의 뜻으로 지배하던 영역은 그리 넓지 않다. 그러나 현재 그 영역은 한 반도 전체이며, 꼭 한반도 내에 있지 아니 하여도 우리민족은 그렇게 생각하며 지구상에 살고 있다. 그 이유로는 나의 생각 또한 이유가 될 수 있다. 이 것은 그 의식이 퍼져 나가는 과정에 있어 주입적이고 강압적이지 않았으며, 아주 성공적인 교화과정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우리민족은 예로부터 그러한 의식의 영역을 넓히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신라는 지금의 우리민족의 울타리를 이루어 내는 것에 불꽃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해석이 후대의 우리민족에 의한 해석이라고 할지라도 전혀 부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현재 분단되어있는 우리민족의 상황에서 한번쯤 생각해볼 만한 주제이다.
참고 문헌
이호영『新羅三國統合과 麗濟敗亡原因硏究』 1997. 서경문화사
이기동/이기백『韓國史講座』<古代篇> 1982. 일조각
이기백 『韓國史新論』1976. 일조각
『한국사 9』<통일신라> 1998. 국사편찬위원회
변태섭 「삼국의 정립과 신라통일의 민족사적 의의」1989.
이종욱 『신라의 역사 2』2002. 김영사
또, 지리적인 관점에서의 여러 시각들이 있다. 신라의 삼국통합을 통해 옛 고구려의 영토는 아주 소수만 차지하게 되어 우리민족의 영역을 축소시킨 것에 대한 안타까운 시각이 여러 곳에 나타난다. 당에게 우리 민족과 삼국통합을 맞바꾼 것으로 비하하기도 한다. 이것은 위의 김춘추에 대한 비판 부에서도 많이 이야기된다. 또한 고구려의 정신을 계승하는 발해의 건국을 들어, 신라의 한반도 통합을 ‘삼국통일’이라고 명명할 수 없다고 까지 한다. 발해를 진정으로 우리민족의 울타리 안에 넣어야 하는지에 관한 이야기도 많이 있지만, 신라의 승리 이후를 남북국시대로 보아야 하지 않는가 하는 견해가 있다. 긍정적 시각에서는 국토의 회복이 나중에 점진적으로 얼어남으로 크게 비판되어야 할 사항이 아니라고 하는 반박 또한 있다.
또한 신라의 행위와 운영방식을 들어 삼국통일을 좋게 바라보는 시각이 있다. 신라는 당의 약속이 깨어지자, 당군을 한반도에서 몰아 내었고, 후에 백제와 고구려인을 관리로 받아들였고,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한 점에서 높이 평가하고 있다. 건국 초기부터 ‘일통삼한(一統三韓)’의 의식을 키워왔으며, 그러한 의식을 바탕으로 한반도내의 민족적 단합에 힘썼으며, 지금까지 우리 한반도 내에서의 결집력을 형성하게 한 장본인을 신라로 보고 높이 평가하기도 한다.
결론
지금까지 신라의 삼국통일을 바라보는 시각을 이야기하기 위하여 통합과정의 배경과 그 과정에서 일어난 여러 가지 사건들을 열거하였다. 또한 그러한 사실들을 바탕으로 이야기되어지는 여러 가지 시각들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시각들의 견해가 아주 다양하고 분분하다.
우선 신라가 왜 삼국을 통일하려고 하였는가에 관한 생각을 해보았다. 신라는 건국하면서부터 민을 위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었으며, 좀 더 나은 세상을 만들고자, 좀 더 넓은 행복한 세상을 만들고자 삼국통일의 염원을 키워왔다고 하는 주장이 있고 이호영 『新羅三國統合과 麗濟敗亡原因硏究』 1997. 서경문화사
, 7세기의 한반도 상의 분위기가 존재하기 위해서는 승리하여야 하는 탓에 신라가 통일을 위해 노력하였다고 하는 등의 이야기들이 있기는 하다. 우리는 그 의도가 어찌 하였든 결과물을 아주 좋은 쪽으로 해석해 보기로 하였다. 지금 한반도상의 우리민족은 ‘단군’의 자손이라는 의식에 부정할 수 없다. 단군이 하나의 신화이긴 하나 전적으로 부정하지 않으며, 전적으로 수용 또한 하지 않는다. 단군이 처음 태어나 ‘홍익인간’의 뜻으로 지배하던 영역은 그리 넓지 않다. 그러나 현재 그 영역은 한 반도 전체이며, 꼭 한반도 내에 있지 아니 하여도 우리민족은 그렇게 생각하며 지구상에 살고 있다. 그 이유로는 나의 생각 또한 이유가 될 수 있다. 이 것은 그 의식이 퍼져 나가는 과정에 있어 주입적이고 강압적이지 않았으며, 아주 성공적인 교화과정이라고 설명할 수 있다. 우리민족은 예로부터 그러한 의식의 영역을 넓히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신라는 지금의 우리민족의 울타리를 이루어 내는 것에 불꽃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해석이 후대의 우리민족에 의한 해석이라고 할지라도 전혀 부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현재 분단되어있는 우리민족의 상황에서 한번쯤 생각해볼 만한 주제이다.
참고 문헌
이호영『新羅三國統合과 麗濟敗亡原因硏究』 1997. 서경문화사
이기동/이기백『韓國史講座』<古代篇> 1982. 일조각
이기백 『韓國史新論』1976. 일조각
『한국사 9』<통일신라> 1998. 국사편찬위원회
변태섭 「삼국의 정립과 신라통일의 민족사적 의의」1989.
이종욱 『신라의 역사 2』2002. 김영사
추천자료
신라와 발해 관계의 재조명
불국토 사상 : 신라 불국토사상의 전개양상과 역사적 의의
(통일 정책 분석) 박정희 시대의 통일정책 분석과 특징 및 의의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룬 문무왕
역사과 교수-학습 지도안 : 고려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의 역사적 의의는?
[신라시대 향가][신라 향가][향가][서동요]신라 향가 서동요의 배경설화, 신라 향가 서동요의...
이탈리아 통일의 과정및 의의
[역할극]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의의, 역할극(역할놀이, 롤플레이)의 학습전개, 역할...
음악과(음악교육)의 성격과 의의, 초등학교 음악과(음악교육)의 학년별 내용, 초등학교 음악...
[한민족공동경제권][공동경제권][남북한][남한과 북한][남북관계][남북통일]한민족 공동경제...
재량활동의 의의와 편성, 재량활동의 인성교육 사례, 재량활동의 예절교육 사례, 재량활동의 ...
계발활동(CA, 클럽활동)의 교육적 의의와 목표, 계발활동(CA, 클럽활동)의 부서선정과 부서조...
[8 15광복][8 15 해방]8 15광복(8 15해방)의 의의, 8 15광복(8 15해방)의 정치지도자, 8 15광...
[조직組織의 구조와 원리] 조직구조의 의의와 변수, 조직의 원리(계층제의 원리, 명령통일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