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문무왕의 대·내외적 치적
1) 문무왕의 삼국통일
2) 문무왕의 왕권강화
2. 대왕암에 대하여
1) 대왕암의 진위여부
(1) 감은사(感恩寺)
(2) 이견대(利見臺)
2) 왕릉으로 조성된 대왕암
3) 대왕암을 통해 엿볼 수 있는 문무왕의 호국정신
Ⅲ. 결 론
※ 참고자료
Ⅱ. 본 론
1. 문무왕의 대·내외적 치적
1) 문무왕의 삼국통일
2) 문무왕의 왕권강화
2. 대왕암에 대하여
1) 대왕암의 진위여부
(1) 감은사(感恩寺)
(2) 이견대(利見臺)
2) 왕릉으로 조성된 대왕암
3) 대왕암을 통해 엿볼 수 있는 문무왕의 호국정신
Ⅲ. 결 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해졌다”고 한다.
를 통해서도 문무왕의 뜻을 엿볼 수가 있다. 용이 되어 나타난 문무왕이 감은사에 머물러있던 신문왕에게 만파식적이라는 신비의 피리를 전해줬다는 것이다. 물론 이 설화를 전부 믿을 수는 없겠지만 이 설화가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문무왕은 평생의 과업이었던 삼국통일을 이룩하여 그 통일국가를 지키기 위해 죽어서도 용이 되길 원했고, 바로 그의 아들 신문왕에게 국가의 통치기반을 마련해 준 것이었다.
요컨대 문무왕이 자신의 사후 처소를 동해바다로 정했던 이유는 대내적으로는 신라인들의 마음속에 나라를 지키는 용으로써 상징적으로나마 자리잡음으로써 통일국가가 유지되고 번영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었고, 대외적으로는 왜적을 막는 국가 수호의 용이 되기를 바랬던 것이다.
Ⅲ. 결 론
이상으로 문무왕의 대내외적인 치적, 아울러 대왕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비록 그것이 불완전 했더라도, 신라사의 입장에서 참으로 중대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후 한민족사 전개과정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후대 사가(史家)들의 회의적이고 부정적인 견해로 말미암아 역사적 진실이 가려진 채 혼돈된 평가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들 부정적 견해의 근본적 원인은 신라의 삼국통일을 역사 진행의 현장인 당시 상황에서 이해하려 하지 않고, 후대의 역사적 현실에 대한 불만의 입장에서 각자 숨겨진 목적 실현에 맞추어 해석하려는 경향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지금의 우리에게 문무왕의 삼국통일, 그리고 국가를 자기 몸처럼 생각하며 사후에도 수호하려 했던 문무왕의 호국정신은 어떤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까? 문무왕릉의 대왕암에 담겨있는 문무왕의 정신을 마음속으로나마 그려보며, 그 해석의 과제는지금 우리의 몫으로 남기면서 발표문을 마치려 한다.
※ 참고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통일신라」, 『한국사 9』, 1998
김수태, 「신라중대 정치사 연구」, 『한국사연구 4』, 일조각, 1996
안예환, 「문무왕과 대왕암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3
우 윤, 「삼국통일의 대업 완성한 문무왕」, 『통일한국 2월호』, 역사문제연구소, 2000
이명식, 「신라 문무대왕의 민족통일 위업」, 『대구사학 25』, 1984
임병주, 『한권으로 읽는 삼국왕조실록』, 들녘, 1998
KBS 역사스페셜, 「최초발굴, 신라 대왕암」, 2001년 4월 28일 방송
를 통해서도 문무왕의 뜻을 엿볼 수가 있다. 용이 되어 나타난 문무왕이 감은사에 머물러있던 신문왕에게 만파식적이라는 신비의 피리를 전해줬다는 것이다. 물론 이 설화를 전부 믿을 수는 없겠지만 이 설화가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해서는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문무왕은 평생의 과업이었던 삼국통일을 이룩하여 그 통일국가를 지키기 위해 죽어서도 용이 되길 원했고, 바로 그의 아들 신문왕에게 국가의 통치기반을 마련해 준 것이었다.
요컨대 문무왕이 자신의 사후 처소를 동해바다로 정했던 이유는 대내적으로는 신라인들의 마음속에 나라를 지키는 용으로써 상징적으로나마 자리잡음으로써 통일국가가 유지되고 번영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이었고, 대외적으로는 왜적을 막는 국가 수호의 용이 되기를 바랬던 것이다.
Ⅲ. 결 론
이상으로 문무왕의 대내외적인 치적, 아울러 대왕암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비록 그것이 불완전 했더라도, 신라사의 입장에서 참으로 중대한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이후 한민족사 전개과정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후대 사가(史家)들의 회의적이고 부정적인 견해로 말미암아 역사적 진실이 가려진 채 혼돈된 평가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들 부정적 견해의 근본적 원인은 신라의 삼국통일을 역사 진행의 현장인 당시 상황에서 이해하려 하지 않고, 후대의 역사적 현실에 대한 불만의 입장에서 각자 숨겨진 목적 실현에 맞추어 해석하려는 경향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21세기를 살아가고 있는 지금의 우리에게 문무왕의 삼국통일, 그리고 국가를 자기 몸처럼 생각하며 사후에도 수호하려 했던 문무왕의 호국정신은 어떤 의미로 해석될 수 있을까? 문무왕릉의 대왕암에 담겨있는 문무왕의 정신을 마음속으로나마 그려보며, 그 해석의 과제는지금 우리의 몫으로 남기면서 발표문을 마치려 한다.
※ 참고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통일신라」, 『한국사 9』, 1998
김수태, 「신라중대 정치사 연구」, 『한국사연구 4』, 일조각, 1996
안예환, 「문무왕과 대왕암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3
우 윤, 「삼국통일의 대업 완성한 문무왕」, 『통일한국 2월호』, 역사문제연구소, 2000
이명식, 「신라 문무대왕의 민족통일 위업」, 『대구사학 25』, 1984
임병주, 『한권으로 읽는 삼국왕조실록』, 들녘, 1998
KBS 역사스페셜, 「최초발굴, 신라 대왕암」, 2001년 4월 28일 방송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