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의 대외관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나고 나당연합군의 공격은 계속되어 평양성의 고구려군은 분전하였으나 결국 함락되어 멸망하고 말았다(668). 근본적으로 따져보면 신라가 한강 유역을 장악함으로써, 당과의 교섭이 이루어지고, 당과 연합함에 따라 고구려 또한 나름의 연합체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북으로 돌궐, 남으로 백제와 왜와 연합하여 동북아는 십자 외교의 형태가 취해지게 된다. 하지만 남쪽의 백제가 먼저 멸망해버림으로써, 이 연합은 깨어지게 되고 고구려는 고립된 가운데 멸망하고 만 것이다.
맺음말
고구려의 대외관계는 국제사회에서의 존립을 위한 세력균형과 자국의 이익추구라고 하는 실리적인 욕구가 깔려 있으며, 그 때문에 대외정책 그 자체는 언제나 변화할 수 있는 가변성을 지닌 것이며, 우리는 이러한 외교 정책을 지금의 상황에서도 적용함으로써 실리적 외교를 추구할 필요도 있다고 느낀다.
참고문헌
1. 리지린지음, 강인숙옮김 <고구려사연구> 사회과학출판사 1995년
2. 노태돈 <<5~6세기 동아시아의 국제 정세와 고구려의 대외관계>>
3. 서인한 <고구려 대수*당 전쟁사> 국방부 전사 편찬위원회 1991년
4. 이전복, 손옥녀공저 강인구, 김영주옮김 <고구려절사> 삼성출판사 1990년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4.12.19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3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