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가사에 대하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젊은 사나이가 여승을 짝사랑하여 그리워하는 심정을 노래한 것이다.
불교가사는 오랜 시대에 걸쳐 수많은 작품이 지어졌으며 이제까지 발굴되고 정리된 것이 70여 편이나 된다. 이와 같이 우리 나라의 불교가사는 고려 말기인 14세기 말에 나옹화상의 <서왕가>(Ⅰ),(Ⅱ) 등에서부터 출발하여, 계승기인 16세기에 이르러 서산대사의 <회심곡> 등에서 그 명맥을 잇고, 전성기인 17세기에 이르러 침굉의 <귀산곡> 등이 나왔고, 18세기에는 金昌翕, 鎔巖, 智瑩 등의 작품이 나왔으며, 원숙기라 할 수 있는 19세기에는 동화의 <권왕가>만이 전하고, 개화기라 할 수 있는 20세기에 들어와서는 경허의 <참선곡(Ⅲ)> 등을 위시해서 학명, 권상노, 최취허 등의 작품이 나왔다.
4. 결 언
고려 말기 나옹화상의 <서왕가>로부터 출발하여 조선조 시대를 거쳐 최근세까지 연면히 계승되어 온 불교가사는 주로 승려들에 의해 지어져 불교신도들에게 佛德을 예찬하고 佛法修行을 권면하는 내용을 가지며, 민중포교를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불교가사는 고려말에서 시작하여 오랜 세월에 걸쳐 수많은 작품이 지어졌을 것이나, 지금까지 발굴되어 정리된 것은 70여 편 뿐이다. 그 밖에 학계에 발표되지 않고 묻혀 있는 작품도 상당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주로 佛僧들에 의해 창작된 불교가사는 불교의 교리 전달이나 포교의 수단에 머무르긴 하였으나, 天主歌辭나 東學歌辭 등의 다른 종교가사보다도 대중교화에 기여한 공로가 지대했다고 보며, 문학사적으로는 가사문학의 원동력이 되었고 사대부가사, 평민가사, 규방가사와 더불어 가사문학의 한 갈래를 이루었다.

키워드

불교,   가사,   가사문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4.12.21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796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