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사업여건 분석
(3) 시장성 분석
(4) 컨셉 설정
(5) 마케팅 분석 (4P MIX)
(6) 명소성 분석
(7) 사업추진 전략 및 활성화 방안
(8) 결론
(2) 사업여건 분석
(3) 시장성 분석
(4) 컨셉 설정
(5) 마케팅 분석 (4P MIX)
(6) 명소성 분석
(7) 사업추진 전략 및 활성화 방안
(8) 결론
본문내용
폭의 그림같은 추억과 낭만이 깃들어 있다.
-서부두방파제
제주항의 서방파제 물 좋은 곳은 강태공들의 단골 낚시터다. 옛날 산지포라 불렸던 제주항은 은어떼가 뛰어놀 만큼 물이 맑고 투명했다. 수양버들이 울창한 봄이면 꾀꼬리 노랫소리가 청아해 행인들이 가던 발길을 멈추곤 했던 곳이 바로 산지포, 어둠이 깔리면 고깃배들이 켜놓은 '집어등'이 바다위에 달빛 흐르듯 비춰 더 없이 아름다운 경관을 자아냈던 곳. 그래서 제주항에서 한가로이 낚시대를 드리운채 유유자적 하는 멋을 '산포조어'(山浦釣漁)라 했다. 지금도 제주항 서방파제에는 '산포조어'를 즐기는 낚시꾼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계절이 무더위 신호를 알리기가 무섭게 강태공들은 낚시대를 서부두 방파제로 옮긴다. 낚시대를 드리운채 대어의 꿈을 꾸는 사람, 고기의 입질에 희망을 낚는 사람, 오늘 낚인 고기가 몇 마리인지, 얼마나 큰 놈인지 그다지 중요치 않은 초보 낚시꾼들은 때로 시장에서 산 물고기로 가족들에게 능청을 떨기도 한다. 낚시군들에겐 고기를 낚아올렸을 때 희열도 크지만 어둠이 짙어가는 수평선 너머 어선들이 밝히는 불빛에 마음가지 고요해지느 바다 정경이 있어 서방파제 낚시를 즐긴다. 갓 잡아 올려 파닥이는 고기를 그 자리에서 회를 떠 소주 한잔. 새콤한 초고추장 냄새에 입안 가득 군침이 절로 돈다.
-횟집거리
제주에서 놓치고 싶지 않은 미각. 신선한 활어회의 맛이다. 제주를 방문한 사람이면 누구나 한번쯤 싱싱한 생선회를 맛보게 마련인데 제주시내 곳곳에는 저렴하게 생선회를 즐길수 있는 곳이 많다. 제주시 탑동과 서부두 해변가에는 수십여 군데의 생선횟집들이 늘어서 있다. 이들 횟집에서 내놓는 싱싱한 횟감으로는 돔, 전복, 소라, 성게등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가장 치는 횟감은 돌돔과 전복이다
<옛 선인의 얼이 담긴 문화재 탐방>
-제주 유학의 전당이던 제주향교
관덕정을 지나 용담로터리 쪽으로 가다보면 길 오른편에 있는 고색 창연한 옛 건물이 제주향교다. 제주향교는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양하고 지방민을 교육, 교화신키기 위해 태조 1년 (1392년)에 창건된 곳. 세월이 지나간 흔적을 말해주 듯 건물의 외양은 많이 허름해졌지만 유학 본원으로서의 면모에는 변함이 없는 듯 당당하게 앉아 있다. 향교 안으로 들어서니 오래 된 소나무들이 묵묵히 자리를 지키고 고요함 속에 유림들의 글읽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그 침묵이 깨질세라 조심스럽게 발걸음을 옮기면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 6현(宋朝六賢) 및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명유들로부터 예를 배우며 학문을 닦았던 명륜당이 눈에 들어온다. 계성사, 전사청도 옛 제주 유학의 본원으로서 자태를 높여주며 자리하고 있다.
제주향교는 조선시대 제주 관학으로서, 오늘날에는 도내 유림의 모임과 사무를 관장하는 곳으로 남아있다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의 하나인 관덕정
관덕정은 세종 30년(1448년) 제주 목사였던 신숙청이 병사들의 훈련과 무예수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창건한 정자다. 관덕(觀德)은 '사자소이관성덕야(射者所以觀盛德也)' 라 하여 '활을 쏘는 사람은 평소에 마음을 바르게 하고 훌륭한 덕을 닦는다'는 뜻. 지금은 비록 쇠울타리지만 쳐진채 초라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이곳엔 검소하지만 예양을 숭배하던 제주인의 정신이 고스란히 배여 있다.
-관덕정 바로 옆에 있는 제주목 관아지
이곳은 '탐라순력도' '홍화각기'등 문헌기록이 전하듯 제주의 정치, 행정, 문화의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
고려시대 대는 탐라군(耽羅郡)의 중심지역이었고, 조선시대에는 대촌현(大村縣)으로 제주목의 중심지였던 곳. 탐라국 시대에는 성주청(星主廳), 고려후기 원(元)의 지배하에서는 탐라총관부가 위치했던 곳이다.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발국조사는 완료했으며, 그 결과 탐라 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여러 문화층과 제주목관아의 주요시설이었던 동헌 내아건물지등의 위치와 규모가 확인됐다고 한다.
이곳 저곳에서 동헌(東軒), 홍화각(弘化閣), 애매헌(愛梅軒), 귤림당(橘林堂), 청심당(淸心堂)이 들어섰던 흔적들이 역력하다.
'99년 외대문 착공을 시작으로 2001년 까지 연희각, 홍화각 등 관아시설을 복원하여 후세들의 역사교육장 및 사적공원으로서 제주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문화관광지가 될 것이다.
목 차
(1) 서론
(2) 사업여건 분석
(3) 시장성 분석
(4) 컨셉 설정
(5) 마케팅 분석 (4P MIX)
(6) 명소성 분석
(7) 사업추진 전략 및 활성화 방안
(8)결론
-서부두방파제
제주항의 서방파제 물 좋은 곳은 강태공들의 단골 낚시터다. 옛날 산지포라 불렸던 제주항은 은어떼가 뛰어놀 만큼 물이 맑고 투명했다. 수양버들이 울창한 봄이면 꾀꼬리 노랫소리가 청아해 행인들이 가던 발길을 멈추곤 했던 곳이 바로 산지포, 어둠이 깔리면 고깃배들이 켜놓은 '집어등'이 바다위에 달빛 흐르듯 비춰 더 없이 아름다운 경관을 자아냈던 곳. 그래서 제주항에서 한가로이 낚시대를 드리운채 유유자적 하는 멋을 '산포조어'(山浦釣漁)라 했다. 지금도 제주항 서방파제에는 '산포조어'를 즐기는 낚시꾼들을 많이 볼 수 있다. 계절이 무더위 신호를 알리기가 무섭게 강태공들은 낚시대를 서부두 방파제로 옮긴다. 낚시대를 드리운채 대어의 꿈을 꾸는 사람, 고기의 입질에 희망을 낚는 사람, 오늘 낚인 고기가 몇 마리인지, 얼마나 큰 놈인지 그다지 중요치 않은 초보 낚시꾼들은 때로 시장에서 산 물고기로 가족들에게 능청을 떨기도 한다. 낚시군들에겐 고기를 낚아올렸을 때 희열도 크지만 어둠이 짙어가는 수평선 너머 어선들이 밝히는 불빛에 마음가지 고요해지느 바다 정경이 있어 서방파제 낚시를 즐긴다. 갓 잡아 올려 파닥이는 고기를 그 자리에서 회를 떠 소주 한잔. 새콤한 초고추장 냄새에 입안 가득 군침이 절로 돈다.
-횟집거리
제주에서 놓치고 싶지 않은 미각. 신선한 활어회의 맛이다. 제주를 방문한 사람이면 누구나 한번쯤 싱싱한 생선회를 맛보게 마련인데 제주시내 곳곳에는 저렴하게 생선회를 즐길수 있는 곳이 많다. 제주시 탑동과 서부두 해변가에는 수십여 군데의 생선횟집들이 늘어서 있다. 이들 횟집에서 내놓는 싱싱한 횟감으로는 돔, 전복, 소라, 성게등 종류도 매우 다양하다. 그중에서도 가장 치는 횟감은 돌돔과 전복이다
<옛 선인의 얼이 담긴 문화재 탐방>
-제주 유학의 전당이던 제주향교
관덕정을 지나 용담로터리 쪽으로 가다보면 길 오른편에 있는 고색 창연한 옛 건물이 제주향교다. 제주향교는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양하고 지방민을 교육, 교화신키기 위해 태조 1년 (1392년)에 창건된 곳. 세월이 지나간 흔적을 말해주 듯 건물의 외양은 많이 허름해졌지만 유학 본원으로서의 면모에는 변함이 없는 듯 당당하게 앉아 있다. 향교 안으로 들어서니 오래 된 소나무들이 묵묵히 자리를 지키고 고요함 속에 유림들의 글읽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그 침묵이 깨질세라 조심스럽게 발걸음을 옮기면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 6현(宋朝六賢) 및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를 모신 대성전과 명유들로부터 예를 배우며 학문을 닦았던 명륜당이 눈에 들어온다. 계성사, 전사청도 옛 제주 유학의 본원으로서 자태를 높여주며 자리하고 있다.
제주향교는 조선시대 제주 관학으로서, 오늘날에는 도내 유림의 모임과 사무를 관장하는 곳으로 남아있다
-제주에서 가장 오래된 건물의 하나인 관덕정
관덕정은 세종 30년(1448년) 제주 목사였던 신숙청이 병사들의 훈련과 무예수련장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창건한 정자다. 관덕(觀德)은 '사자소이관성덕야(射者所以觀盛德也)' 라 하여 '활을 쏘는 사람은 평소에 마음을 바르게 하고 훌륭한 덕을 닦는다'는 뜻. 지금은 비록 쇠울타리지만 쳐진채 초라한 모습을 하고 있지만 이곳엔 검소하지만 예양을 숭배하던 제주인의 정신이 고스란히 배여 있다.
-관덕정 바로 옆에 있는 제주목 관아지
이곳은 '탐라순력도' '홍화각기'등 문헌기록이 전하듯 제주의 정치, 행정, 문화의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
고려시대 대는 탐라군(耽羅郡)의 중심지역이었고, 조선시대에는 대촌현(大村縣)으로 제주목의 중심지였던 곳. 탐라국 시대에는 성주청(星主廳), 고려후기 원(元)의 지배하에서는 탐라총관부가 위치했던 곳이다.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발국조사는 완료했으며, 그 결과 탐라 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여러 문화층과 제주목관아의 주요시설이었던 동헌 내아건물지등의 위치와 규모가 확인됐다고 한다.
이곳 저곳에서 동헌(東軒), 홍화각(弘化閣), 애매헌(愛梅軒), 귤림당(橘林堂), 청심당(淸心堂)이 들어섰던 흔적들이 역력하다.
'99년 외대문 착공을 시작으로 2001년 까지 연희각, 홍화각 등 관아시설을 복원하여 후세들의 역사교육장 및 사적공원으로서 제주의 역사가 살아 숨쉬는 문화관광지가 될 것이다.
목 차
(1) 서론
(2) 사업여건 분석
(3) 시장성 분석
(4) 컨셉 설정
(5) 마케팅 분석 (4P MIX)
(6) 명소성 분석
(7) 사업추진 전략 및 활성화 방안
(8)결론
추천자료
관광활성화를 위한 소프트경쟁력 강화방안(경주 지역을 중심으로)
[경영전략]Starbucks의 경영 사례 “스타벅스, 그 커피 한잔에 담긴 성공신화”
부산국제영화제 자원봉사자 교육프로그램
이태원 관광특구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
신라호텔과 롯데호텔 비교
[경영전략과 TOM] Anycall의 경영전략과 TQM 분석 (총체적 품질관리론)
함평나비축제와 정선아리랑제비교
한류의 현황과 발전방안 및 B-boy의 성장
(부동산개발사업)과천시문원동타운하우스사업계획서
[A+] 대청호 환경친화적 관광개발구상 - 관광환경분석 관광환경특징 지역특화발전특구 육성 ...
카페베네의 중국 진출 문제점과 전략적 방안
[관광홍보][관광PR][관광][홍보][PR][관광홍보 단계][관광홍보 이미지][관광홍보 표지]관광홍...
도요타 TOYOTA 기업사회적책임 CSR 사례분석및 도요타 책임경영전략분석과 도요타 기업성과분석
핫레스토랑 벤치마킹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