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약물오남용과 건강
1. 약물오남용의 정의
2. 약물남용 원인과 단계
3. 약물의 종류
4. 약물남용의 증상
5. 약남용으로 인한 합병증
6. 약물남용에 대한 잘못된 상식
7. 약물남용에 관한 관계법
8. 해결방안
1. 약물오남용의 정의
2. 약물남용 원인과 단계
3. 약물의 종류
4. 약물남용의 증상
5. 약남용으로 인한 합병증
6. 약물남용에 대한 잘못된 상식
7. 약물남용에 관한 관계법
8. 해결방안
본문내용
]
(서울 080-022-5115, 부산 080-522-5115, 인천 080-031-5115)
서울 YMCA동대문 지회의 [청소년약물상담실] (서울 248-5665)
치료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의료기관
국립서울정신병원 (457-0905)
김경빈신경정신과의원(201-8258)
계요병원(0343-55-3333)
※ 마약
사용을 중단하면 격렬한 금단증세(禁斷症勢)를 일으켜 마약을 사용하지 않고는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게 되며, 종국에 가서는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폐인이 되게 하는 물질이다. 이런 물질이 의료 및 연구 이외의 목적에 남용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한 법률상 용어가 마약이다.
※ 마약에 해당하는것
마약의 해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정된 한국의 마약법(1957.4.23, 법률 제440호) 제2조에서는 마약에 해당하는 것은, ① 앵속(罌粟) 아편 코카잎[葉], ② 앵속, 아편 및 코카잎에서 추출되는 모든 알칼로이드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③ 앞서 열거된 것과 동일하게 남용되거나 또는 해독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화학적 합성품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다. ④ ①항 또는 ②항에 열거된 것을 함유하는 것이다. 다만, 타 약품과 혼합되어 제①항과 ③항에 열거된 것의 재제제(再製劑)가 불가능하며, 그 약품에 의하여 습관성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것으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것(이하, 限外痲藥이라 한다)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 앵속 아편 코카잎
한편, 앵속 아편 코카잎 등을 정의하길, 앵속은 파파베르 솜니페룸(Papaver somniferum ) 파파베르 세티게룸 및 기타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앵속속(屬)의 식물을 말한다. 아편은 앵속의 액즙이 응결된 것과 이를 가공한 것(의약품으로 가공한 것은 제외한다)을 말한다. 코카잎은 코카 관목(灌木:에리드록시론屬의 모든 식물을 말한다)의 잎을 말한다. 다만, 모든 에크고닌 코카인 및 에크고닌 알칼로이드가 제거된 잎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 알칼로이드
식물염기(植物鹽基)라고도 한다. 즉,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며, 동물에 대해서 매우 특이하면서도 강한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단일 물질에 주어진 명칭이 아니라, 화학적으로 매우 광범위한 물질을 가리키며, 현재 250종 이상의 것이 알려져 있다
※ 카페인 남용
▶ 카페인이란?
○ 카페인(caffeine)은 커피의 주성분입니다. 카페인은 또한 차, 청량음료, 코코아, 초콜렛, 감기약, 두통약, 드링크제 등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잔의 커피에는 100~150㎎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 인스턴트 커피에는 그 양이 약간 적습니다. 차에는 그 절반인 30~100㎎이, 그리고 청량음료에는 25~50㎎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진통제나 감기약에는 1정에 25~100㎎이, 그리고 체중감소약에는 75~200㎎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초콜렛과 코코아는 카페인 함량이 훨씬 낮습니다.
○ 카페인은 각성작용, 심장박동을 증가시키는 작용, 혈관수축 작용, 이뇨작용, 때로는 아스피린과 같은 진통제의 진통효과를 증강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여 천식, 기립성 저혈압, 식후저혈압, 편두통 등의 치료에 사용하거나 잠을 쫓게 하는데 쓰일 수도 있고 진통제의 보조제로도 사용합니다.
○ 한편 카페인이 약으로 사용되는 만큼 부작용도 있습니다. 불면이나 불안, 빈맥 등이 악화되거나 나아가서 공복 때에는 위벽이 자극되어 속이 쓰리게 되거나 구역질이 나기도 합니다.
○ 커피를 많이 마시는 일부 사람들에게서 카페인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고, 내성, 그리고 아마도 금단증상까지도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 커피를 많이 마신다는 것은 하루 4잔 이상(카페인 260㎎ 이상)을 마시는 경우를 말합니다.
○ 카페인을 50~100㎎을 섭취하면 각성 상태가 증가되고, 다행감이 느껴지며, 언어, 동작 등의 수행이 개선됩니다. 이 효과 때문에 사람들이 카페인에 의존합니다.
○ 카페인을 500㎎이상 섭취하면 중독증상이라고 부를 수 있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 증상은 용량에 비례하여 불안, 불면증, 불안정, 과민성, 정신신체증상 호소등
○ 섭취량이 하루 1,000㎎이 넘으면 사고와 언어의 혼동, 부정맥, 격정, 흥분, 근육연축 등이 나타납니다. 사람에 따라 이명과 눈에 섬광이 보이는 현상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만성으로 카페인을 사용하다보면, 위장 운동을 자극하여 위궤양 등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 부정맥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 카페인을 장기간 사용하면 그 효과에 내성이 생깁니다. 보통사람은 하루 500㎎이내의 카페인을 복용하지만 내성이 생기게 되어 하루 2,000~3,000㎎까지 복용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카페인 중독은 다량의 카페인을 섭취해도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내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 과도한 카페인의 사용은 기분장애, 식사장애, 정신병적 장애, 수면장애 그리고 물질관련장애와 흔히 관련됩니다.
○ 임신 시 카페인 섭취를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 스테로이드제의 남용
▶ 스테로이드 제제의 종류
■ 피부연고제
○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피부연고에는 부신피질홀몬제(스테로이드 제제)가 함유되어 있다. 부신피질홀몬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피부의 2차 감염과 모세혈관확장, 그리고 피부위축 등이다.
○ 피부의 2차 감염은 부신피질홀몬에 의해 우리 인체의 면역반응이 저지되는 사이에 세균이나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 등에 의해 공격을 받게 되면, 이들을 물리칠 수 있는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다른 피부질환이 새롭게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 피부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는 기능에 의한 부작용을 보면 부신피질홀몬이 들어 있는 연고를 바를 경우 처음에는 피부염도 잘 낫고 피부가 부드러워지고 화장을 잘 받아 계속해서 바르고 싶어지지만 장기적으로 바르면 피부가 종이처럼 얇아지고 얼굴에 실핏줄이 얽힌 모습이 마치 딸기처럼 보이게 된다.
○ 피부가 위축되는 부작용은 땀구멍이 넓어지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사춘기 때 얼굴에 난 여드름을 해결하려고 이러한 연고제를 사용해서 땀구멍이 넓어지고, 결국은 마치 곰보자국처럼 되어 버린 경우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서울 080-022-5115, 부산 080-522-5115, 인천 080-031-5115)
서울 YMCA동대문 지회의 [청소년약물상담실] (서울 248-5665)
치료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는 의료기관
국립서울정신병원 (457-0905)
김경빈신경정신과의원(201-8258)
계요병원(0343-55-3333)
※ 마약
사용을 중단하면 격렬한 금단증세(禁斷症勢)를 일으켜 마약을 사용하지 않고는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게 되며, 종국에 가서는 육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폐인이 되게 하는 물질이다. 이런 물질이 의료 및 연구 이외의 목적에 남용되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한 법률상 용어가 마약이다.
※ 마약에 해당하는것
마약의 해독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정된 한국의 마약법(1957.4.23, 법률 제440호) 제2조에서는 마약에 해당하는 것은, ① 앵속(罌粟) 아편 코카잎[葉], ② 앵속, 아편 및 코카잎에서 추출되는 모든 알칼로이드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 ③ 앞서 열거된 것과 동일하게 남용되거나 또는 해독작용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화학적 합성품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이다. ④ ①항 또는 ②항에 열거된 것을 함유하는 것이다. 다만, 타 약품과 혼합되어 제①항과 ③항에 열거된 것의 재제제(再製劑)가 불가능하며, 그 약품에 의하여 습관성을 일으킬 염려가 없는 것으로서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것(이하, 限外痲藥이라 한다)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 앵속 아편 코카잎
한편, 앵속 아편 코카잎 등을 정의하길, 앵속은 파파베르 솜니페룸(Papaver somniferum ) 파파베르 세티게룸 및 기타 보건복지부 장관이 정하는 앵속속(屬)의 식물을 말한다. 아편은 앵속의 액즙이 응결된 것과 이를 가공한 것(의약품으로 가공한 것은 제외한다)을 말한다. 코카잎은 코카 관목(灌木:에리드록시론屬의 모든 식물을 말한다)의 잎을 말한다. 다만, 모든 에크고닌 코카인 및 에크고닌 알칼로이드가 제거된 잎은 그러하지 아니하다.
※ 알칼로이드
식물염기(植物鹽基)라고도 한다. 즉, 식물계에 널리 분포하며, 동물에 대해서 매우 특이하면서도 강한 생리작용을 나타낸다. 단일 물질에 주어진 명칭이 아니라, 화학적으로 매우 광범위한 물질을 가리키며, 현재 250종 이상의 것이 알려져 있다
※ 카페인 남용
▶ 카페인이란?
○ 카페인(caffeine)은 커피의 주성분입니다. 카페인은 또한 차, 청량음료, 코코아, 초콜렛, 감기약, 두통약, 드링크제 등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잔의 커피에는 100~150㎎의 카페인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 인스턴트 커피에는 그 양이 약간 적습니다. 차에는 그 절반인 30~100㎎이, 그리고 청량음료에는 25~50㎎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진통제나 감기약에는 1정에 25~100㎎이, 그리고 체중감소약에는 75~200㎎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초콜렛과 코코아는 카페인 함량이 훨씬 낮습니다.
○ 카페인은 각성작용, 심장박동을 증가시키는 작용, 혈관수축 작용, 이뇨작용, 때로는 아스피린과 같은 진통제의 진통효과를 증강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작용을 이용하여 천식, 기립성 저혈압, 식후저혈압, 편두통 등의 치료에 사용하거나 잠을 쫓게 하는데 쓰일 수도 있고 진통제의 보조제로도 사용합니다.
○ 한편 카페인이 약으로 사용되는 만큼 부작용도 있습니다. 불면이나 불안, 빈맥 등이 악화되거나 나아가서 공복 때에는 위벽이 자극되어 속이 쓰리게 되거나 구역질이 나기도 합니다.
○ 커피를 많이 마시는 일부 사람들에게서 카페인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고, 내성, 그리고 아마도 금단증상까지도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 커피를 많이 마신다는 것은 하루 4잔 이상(카페인 260㎎ 이상)을 마시는 경우를 말합니다.
○ 카페인을 50~100㎎을 섭취하면 각성 상태가 증가되고, 다행감이 느껴지며, 언어, 동작 등의 수행이 개선됩니다. 이 효과 때문에 사람들이 카페인에 의존합니다.
○ 카페인을 500㎎이상 섭취하면 중독증상이라고 부를 수 있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그 증상은 용량에 비례하여 불안, 불면증, 불안정, 과민성, 정신신체증상 호소등
○ 섭취량이 하루 1,000㎎이 넘으면 사고와 언어의 혼동, 부정맥, 격정, 흥분, 근육연축 등이 나타납니다. 사람에 따라 이명과 눈에 섬광이 보이는 현상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만성으로 카페인을 사용하다보면, 위장 운동을 자극하여 위궤양 등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심장 부정맥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 카페인을 장기간 사용하면 그 효과에 내성이 생깁니다. 보통사람은 하루 500㎎이내의 카페인을 복용하지만 내성이 생기게 되어 하루 2,000~3,000㎎까지 복용하는 경우도 드물지 않습니다. 카페인 중독은 다량의 카페인을 섭취해도 일어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는 내성이 생겼기 때문이다.
○ 과도한 카페인의 사용은 기분장애, 식사장애, 정신병적 장애, 수면장애 그리고 물질관련장애와 흔히 관련됩니다.
○ 임신 시 카페인 섭취를 삼가는 것이 좋습니다.
※ 스테로이드제의 남용
▶ 스테로이드 제제의 종류
■ 피부연고제
○ 시중에 판매되는 대부분의 피부연고에는 부신피질홀몬제(스테로이드 제제)가 함유되어 있다. 부신피질홀몬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피부의 2차 감염과 모세혈관확장, 그리고 피부위축 등이다.
○ 피부의 2차 감염은 부신피질홀몬에 의해 우리 인체의 면역반응이 저지되는 사이에 세균이나 곰팡이 또는 바이러스 등에 의해 공격을 받게 되면, 이들을 물리칠 수 있는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다른 피부질환이 새롭게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 피부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는 기능에 의한 부작용을 보면 부신피질홀몬이 들어 있는 연고를 바를 경우 처음에는 피부염도 잘 낫고 피부가 부드러워지고 화장을 잘 받아 계속해서 바르고 싶어지지만 장기적으로 바르면 피부가 종이처럼 얇아지고 얼굴에 실핏줄이 얽힌 모습이 마치 딸기처럼 보이게 된다.
○ 피부가 위축되는 부작용은 땀구멍이 넓어지는 현상으로 나타난다. 사춘기 때 얼굴에 난 여드름을 해결하려고 이러한 연고제를 사용해서 땀구멍이 넓어지고, 결국은 마치 곰보자국처럼 되어 버린 경우를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