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용유(龍紐)와 음관(音管)
2. 천판(天板)
3. 상대(上帶)와 유곽(乳廓), 유두(乳頭)
4. 비천상(飛天像)
5 당좌(撞座)
6 하대(下帶)
2. 천판(天板)
3. 상대(上帶)와 유곽(乳廓), 유두(乳頭)
4. 비천상(飛天像)
5 당좌(撞座)
6 하대(下帶)
본문내용
식(자엽이 3단)과 연자와 자엽 사이 2중 테두리가 있으며, 연자 안에 자방이 9개 있습니다.
6 하대(下帶)
- 8개의 연화문(蓮華文)이 매듭을 지으면서 그 사이에 있는 보상화 당초문(寶相華唐草文)은 크고 입체적, 역동적으로 조각되어 있습니다.
- 종구(鐘口)는 곡선을 여덟 번 반복해서 띠를 이루고 있는 팔능형(八稜型)이며 이것은 조선종의 특징입니다
6 하대(下帶)
- 8개의 연화문(蓮華文)이 매듭을 지으면서 그 사이에 있는 보상화 당초문(寶相華唐草文)은 크고 입체적, 역동적으로 조각되어 있습니다.
- 종구(鐘口)는 곡선을 여덟 번 반복해서 띠를 이루고 있는 팔능형(八稜型)이며 이것은 조선종의 특징입니다
추천자료
우리나라의 세시풍속 -연날리기
우리나라 인사행정의 발달과정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사상
우리나라 증권회사의 발전과정..(시사경제론)요약
우리나라의 미술 - 조선시대
우리나라 호흡기 질환의 종류 및 발생현황과 예방법 및 영양관리에 대하여
우리나라 기업 발전을 위한 덕목
우리나라 보건진료소의 현황과 조직, 역할과 기능, 한계에 대해 조사하고, 필요성
우리나라의 현 생태미술의 현황
우리나라 육상의 역사와 앞으로의 발전 방향
우리나라와 FTA(한미FTA, 한칠레FTA)
우리나라 보육정책과 외국의 보육정책
우리나라나 중국의 역사서에 등장하는 한반도 및 만주지역에 살았던 여러 민족 등의 여러 민...
우리나라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혼인제도의 변화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