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종(우리나라종)의 각부명칭에 대하여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해당 자료는 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범종(우리나라종)의 각부명칭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용유(龍紐)와 음관(音管)
2. 천판(天板)
3. 상대(上帶)와 유곽(乳廓), 유두(乳頭)
4. 비천상(飛天像)
5 당좌(撞座)
6 하대(下帶)

본문내용

식(자엽이 3단)과 연자와 자엽 사이 2중 테두리가 있으며, 연자 안에 자방이 9개 있습니다.
6 하대(下帶)
- 8개의 연화문(蓮華文)이 매듭을 지으면서 그 사이에 있는 보상화 당초문(寶相華唐草文)은 크고 입체적, 역동적으로 조각되어 있습니다.
- 종구(鐘口)는 곡선을 여덟 번 반복해서 띠를 이루고 있는 팔능형(八稜型)이며 이것은 조선종의 특징입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페이지
  • 등록일2005.01.01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11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