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한 현실을 보게 되느니, 차라리 장님일지언정 평지풍파 없는 잔잔한 고대가 행복할 것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러나 근대는 이미 우리를 잠식했고, 우리를 계몽시켰다. 그리고 우리들이 우리를 변화시킨 근대의 정체를 채 밝혀내기도 전에 무수히 난무하는 추측들 가운데에서 유유히 떠나버렸다. 남겨진 우리들은 근대로부터 우리가 받은 것들을 토대로 해서 현실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우리가 근대로부터 찾을 수 있는 것은 근대성을 아예 부정하고 새롭게 찾아내는 완결적인 대안이 아닐 것이다. 근대가 가지고 있는 긍정과 부정의 요소를 가려내고, 그 부정의 요소를 축출해내고 긍정의 요소는 확대해나가서 보다 나은 대안을 찾아나가는 것, 이것이 근대성을 극복하고 새로운 시대를 맞는 자세가 되야 하지 않을까.
추천자료
염상섭의
도시공간 속의 지배와 저항
헐리우드 영화산업과 미국의 문화제국주의
근대 건축의 형성 및 전개
문화의 사회학적 접근
국제정치에 있어서의 민족주의
오규원의 생애와 시세계
문학을 왜 읽는가
[로크][로크사상][로크의 사상]로크의 생애, 로크의 사상, 로크의 정치사상, 로크의 유아교육...
한국현대문학사 요약본
포스트모더니즘
한국경제사-조선 후기 사회에서 나타난 근대사회의 변화와 그 한계
[김동인 소설 배따라기][김동인][배따라기][소설][소설 배따라기][작품감상]김동인 소설 배따...
[음식점 창업][식당 창업][음식점]음식점 창업(식당 창업)의 현황, 음식점 창업(식당 창업)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