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 학교 이야기를 읽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성, 적응력, 강인한 자아력(위기상황에서 침착함을 유지하고 자기를 변호하거나 권위적이지 않고 신중하게 경청하는 것, 부인, 비난, 그리고지나친 감정적 격렬에 의하기보다는 문제해결적 태도를 유지하는 것, 잘했거나 못했다는 식의 이분법적 사고를 지양하는 것)》은 미래 교사가 될 나로 하여금 내가 과연 교사로서의 자질을 지니고 있는지 반성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저자는 미국에서와는 달리, 한국 초등학교 교실에서 구성되는 교실의 질서형성은 수행과제를 통해서 일어나며 육체의 통제와 가치화를 통해 일어난다고 했다. 육체오 정신이 단일한 것이며 다라서 육체의 통제는 직접적으로 정신의 통제와 관계 된다는 동양의 관점은 “건강한 신체에 건강한 정신”이라는 문구를 떠올리게 하였다.
Stage5 미완성은 질적 연구를 마무리하는 내용이었다. 한국의 교실 생활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만이 떠오르고 앞으로의 일이 걱정스럽기만 한 찰나에 “미완성”이라는 단어는 나에게 희망을 안겨다 주었다. 나는 결코 다소 부정적이고 관습적인, 그리하여 바꾸어야 할 것이 너무 많은 한국의 초등학교 현상에 대해 부정적으로만 느끼고 포기하지 않겠다. 내가 교사가 된다면 저자의 말대로 한국의 교실을 주체적으로 이해하고 (미국주의적이 아닌)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교육과정을 찾는 노력을 끊임없이 할 것이다. 그리하여 언젠가는 저자가 글을 쓰면서 느낀 ‘< 국 학교의 부정적인 모습들을 표현해야 하는가 말아야 하는가>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느낄 필요가 없을 정도로 주체적이고 자랑스러운 한국의 교육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항상 각인하며 생활할 것이다.

키워드

네 학교,   이야기,   열정,   연구자,   학교,   미완성,   기억,   상처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1.12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1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