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윤의 발생원인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노동생산성(labor productivity)은 한국생산성본부(KPC)에서 집계발표하는데, 가장 흔히 사용되는 노동생산성의 지표는 부가가치생산성이다. 노동생산성은 가치의 역수(逆數)에 해당되는 개념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지표상으로는 절대적 잉여가치의 생산도 노동생산성의 증대라는 형태로 나타날 수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부가가치생산성은 부가가치를 총노동시간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공식적인 노동시간은 같더라도 노동강도나 노동집약도가 증대하면 분모는 그대로인데 분자가 커지므로 부가가치생산성은 커지기 때문이다. 물론 단순히 노동시간을 연장하는 것은 분모도 따라서 커지기 때문에 부가가치생산성을 높인다는 보장은 없다.
그러므로, 어떤 경제의 노동생산성이 증가했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진정한 노동생산성의 증가인지 아니면 노동집약도나 노동강도의 증대에 의한 것인지 구분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미국의 유명한 경제학자 폴 크루그만(Paul Krugman)이 이미 IMF사태가 발생하기 전에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국가들의 경제성장은 생산요소의 양적 투입증데에 따른 것이었기 때문에, 이제는 성장원천이 고갈되었다고 경고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키워드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5.01.15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5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