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l.들어가며
Ⅱ. 서울역사박물관
1. 박물관 설립목적
2. 박물관 목표
3. 박물관 성격
Ⅲ. 《EUROPEAN의 상상, 꼬레아》
1. 〈서양 고지도의 발달과 세계관 확대〉
Ⅱ. 서울역사박물관
1. 박물관 설립목적
2. 박물관 목표
3. 박물관 성격
Ⅲ. 《EUROPEAN의 상상, 꼬레아》
1. 〈서양 고지도의 발달과 세계관 확대〉
본문내용
등의 명칭을 표기하여 당시의 세계관이 아프리카 중부와 중국에까지 확대되었음을 보여준다. ‘비단의 나라’라는 뜻인 serica와 진나라를 뜻하는 sina는 중국을 말한다.
4) 아시아 지도(네덜란드/G.메르카트르/1545년)
메르카트르법으로 유명한 지도학자 메르카트르의 초기작으로 추정되는 아시아 지도이다. 동방무역의 중심지이던 동남아시아지역은 정확하게 그려지고 있지만, 중국 동남부의 해안선은 많이 왜곡되어 있다. 위치와 형태가 불확실했던 우리나라는 나타나 있지 않다.
5) 아시아 지도(네덜란드/메르카르트 2세/1595)
메르카르트 2세는 메르카르트의 손자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표현되지 않았고 일본도 마치 연과 같은 모습으로 부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유럽인의 지리인식이 아시아 동부에까지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도이다.
6) 신지구전도(네덜란드/W.J.블리치家/1636~1662)
네덜란드의 블리치家가 제작한 세계지도로 각 대륙의 윤곽은 나타나 있지만 탐험하지 못한 북아메리카의 캘리포니아 이북,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거대한 남방대륙 등이 아직도 불명확하다. 외곽장식 삽화가 뛰어나다. 한국‘Corea'로 표기했고 기다란 섬으로 그려졌다.
7) 역사종교지도(프랑스/M.A.샤틀랭/1719)
프랑스의 샤틀랭이 기독교 역사와 지리지식을 결합하려고 했던 특이한 지도이다. 구대륙의 개념도에 세계인종의 기원을 성경에 등장하는 아담 이후의 가계로 설명했다.
8) 신아시아지도(프랑스/샤틀랭/18세기초)
프랑스의 샤틀랭이 그린 아시아지도 중 우리 동쪽 바다에 동해(Mer Orientale)라는 명칭을 뚜렷하게 밝히고 있다.
4) 아시아 지도(네덜란드/G.메르카트르/1545년)
메르카트르법으로 유명한 지도학자 메르카트르의 초기작으로 추정되는 아시아 지도이다. 동방무역의 중심지이던 동남아시아지역은 정확하게 그려지고 있지만, 중국 동남부의 해안선은 많이 왜곡되어 있다. 위치와 형태가 불확실했던 우리나라는 나타나 있지 않다.
5) 아시아 지도(네덜란드/메르카르트 2세/1595)
메르카르트 2세는 메르카르트의 손자이다. 우리나라는 아직 표현되지 않았고 일본도 마치 연과 같은 모습으로 부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다. 유럽인의 지리인식이 아시아 동부에까지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도이다.
6) 신지구전도(네덜란드/W.J.블리치家/1636~1662)
네덜란드의 블리치家가 제작한 세계지도로 각 대륙의 윤곽은 나타나 있지만 탐험하지 못한 북아메리카의 캘리포니아 이북, 오스트레일리아를 포함한 거대한 남방대륙 등이 아직도 불명확하다. 외곽장식 삽화가 뛰어나다. 한국‘Corea'로 표기했고 기다란 섬으로 그려졌다.
7) 역사종교지도(프랑스/M.A.샤틀랭/1719)
프랑스의 샤틀랭이 기독교 역사와 지리지식을 결합하려고 했던 특이한 지도이다. 구대륙의 개념도에 세계인종의 기원을 성경에 등장하는 아담 이후의 가계로 설명했다.
8) 신아시아지도(프랑스/샤틀랭/18세기초)
프랑스의 샤틀랭이 그린 아시아지도 중 우리 동쪽 바다에 동해(Mer Orientale)라는 명칭을 뚜렷하게 밝히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