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발전위(Evoked potential)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발전위(Evoked potential)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총론

2.뇌 간청(청각) 유발 전위 검사(BAEP)

3.체성 감각 유발전위 검사(SSEP)

본문내용

위에서 자극을 가함으로 얻을 수 있으나, 주로 임상에서 시행되는 부위는 정중신경(median nerve), 척골신경(ulnar nerve), 후 경골신경(posterior tibial nerve), 비골신경(peroneal nerve)등이 임상에서 많이 이용 된다. 전기 자극을 가할 때 감각신경 회로를따라 대뇌에 도달되는 신경계의 주행이 VEP나 BAEP 비하여 매우 길어 각각의 임상적인 응용이 다소 복잡하고 다양하다. 감각신경계의 주행 부위가 매우 길어 임상적으로 여러 방면에 많이 이용되는 반면에, 각각 질환에서 특이하게 나타나는 특이적 이상 소견이 뚜렷치 않다는 단점도 고려 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 적응증
1) 어지러움증, 현기증이 심할 때
2) 청력에 이상이 있을 때
3) 신생아의 뇌성마비 예측
4) 기타 담당 주치의가 필요하다고 권장한 경우
체성감각유발전의 검사의 목적은 체성감각경로의 전도기능의 이상여부 및 이상부위를 밝혀내기 위한 것으로 밀초신경증, 신경근병변, 신경총병변, 척수병변, 수술중 척수기능 평가에도 이용되며, 그밖에 말초신경의 직접적 손상 이외도 당뇨병성 신경병증, 신경재생여부의 판별에도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2. 검사방법
: 이 검사는 청각신경 및 뇌간내 청각 전달 경로를 확인하는데 이용되는 검사로 귀에서 자 극하여 뇌의 외피에서 기록하는 검사입니다.
한쪽 귀에 이어폰을 통해 click sound(딱,딱하는 소리)로 자극을 가하고, 반대쪽 귀에는 masking noise(쉭거리는 소음)를 주어 약 2,000회 가량의 평균화(averaging) 과정을 거친다. 자극은 통증이 없다. 검사시간은 약 30분에서 1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감각 유발전위 검사는 말초 신경에 전기자극을 가하는 부위에 따라 상지에는 정중신경(median nerve), 척골 신경(ulnar nerve) 등이 있으며, 하지에는 경골 신경(tibial nerve), 비골 신경(Fibula nerve), 비복신경(sulal nerve) 의 자극을 가하여 감각 신경 경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며 병변을 추적하여 감각 기능의 평가에 도움이 된다. 신체내 존재하는 감각성 말초신경을 자극함으로써 감각신경 주행부위 또는 두피에서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전위를 얻어 그 전위를 분석하는 방법이다. 자극하는 방법은 주로 전기자극을 이용하며 자극 정도는 바늘로 약간 찌르는 듯한 통증을 느낄 정도로 참을 만 하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1.16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25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