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학에 대하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증상학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지능장애
(1) intelligence
(2) 지능 장애
① mental retardation ② dementia
2. 지각 장애
(1) perception
(2) 지각 장애
① auditory hallucination ② visual hallucination ③ tactile hallucination ④ gustatory hallucination ⑤ olfactory hallucination
3. 사고 장애
(1) thought
(2) 사고진행의 장애
① fight of idea ② retardation of thought) ③ blocking ④ circumstantiality
⑤ perseveration ⑥ neologism ⑦ incoherence
(3) disorders of thought contents
① paranoid of persecutory delusion
② delusion of grandeur, grandiose delusion
③ depressive delusion
④ erotic delusion
⑤ idea of reference, delusion or reference
4. 기억장애
(1) 기 억- 기억과정 registration, retention, recall
(2) 기억 장애
기억장애의 형태 - hypermnesia, amnesia, paramnesia
amnesia- psychogenic amnesia, organic amnesia, retrograde amnesia, anterograde amnesia.
5. 행동 장애
(1) 행 동
(2) 행동장애
① overactivity of increased activities, ② decreased activities, ③ repetitious activities
④ automatism, ⑤ negativism, ⑥ compulsive acts, ⑦ impulsive acts
6. 정동 장애 emotion, affect, mood
inappropriate affect, pleasant sensation, euphoria, elation, exaltation, ecstasy,
depression, anxiety, agitation, ambivalence, irritability, labile affect, deterioration

본문내용

㉡ Logorrhea - 말이 많으나 논리적일 때
㉢ Poverty of speech (언어빈약) - 말이 적고 대답이 단음절일 경우가 많을 때
㉣ Dysprosody (억양장애) - 말에 정상적 억양이 없을 때
㉤ Dysarthria (발음장애) - 단어 선택이나 문법은 올바르나 발음이 장애되었을 때
㉥ Aphasia (실어증)
Motor aphasia(Broca's aphasia, 운동성 실어증)-말은 이해하나 말하지 못하는 경우
Sensory aphasia(Wernicke's fluent aphasia, 지각성 실어증)-말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
Nominal aphasia(명사성 무언증)-대상애 데한 맞는 이름을 발견치 못한 것
Syntactical aphasia(문장적 실어증)-올바른 단어들의 연결을 못하는 것
Jargon aphasia-전적으로 신어증(neologism)과 의미 없는 단어로만 말하는 것
Global aphaisa(전반적 실어증)-운동성, 지각성 실어증 둘 다 있는 경우
[참고] 문제행동
문제행동의 양상은 매우 다양하다(예 : 때리기, 물어뜯기, 물건 집어 던지기, 기물 부수기, 소리 지르기, 벽에 머리 부딪히기 등). 문제행동을 통해 아동이 표현하고자 하는 요구, 즉 '문제행동의 기능'은 대체로 관심 끌기, 과제회피, 그리고 자기자극수단의 세 가지로 범주화 할 수 있으나 다음의 다섯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Ⅶ. 근육활동(Motor behavior), 활동의욕(Conation)의 장애
1. 반향언어(echolalia): 병리적으로 다른 사람의 말을 따라 반복하는 것
2. 반향동작(echopraxia): 병리적으로 다른 사람의 행동을 따라 반복하는 것
3. 납굴증 cerea flexibilitas(waxy flexibility): 외적인 힘에 의해 움직여진대로 자신의 신체 위치를 유지하는 상태.
심리 베개(psychological pillow): 몇 시간 동안 머리를 몇 인치 들고 누워 있음.
4. 강직증(catalepsy): 한 자세가 계속 유지되는 무의식 상태
5. 지시자동증(command automatism): 타인의 제안을 자동적강박적으로 따라하는 것.
자동적 순종(automatic obdience)과 유사함.
6. 긴장성 행동(catatonic behavior): 기질적 장애가 없는 근육운동 이상.
a. 흥분(excitement): 흥분된 근육 운동
b. 경직성(rigidity): 부적절한 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
7. 자동증(automatism): 무의식을 상징하는 행위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것. 의식이 없이 행동을 수행하고 전혀 기억해내지 못함.
반향 언어, 반향 동작, 지시자동증을 묶어 자동증이라고 부르기도 함.
8. 졸도발작(cataplexy): 다양한 정서 상태에 의해 야기된 갑작스런 근육 긴장도의 상실 및 약화. 발작성 수면인 기면병(narcolepsy)의 한 증상.
9. 상동증(stereotypy): 언어나 신체 활동의 연속적인 반복.
10. 거부증(negativism): 제안에 대한 빈번한 반대. 함구증, 음식 거부 등의 행동으로 나타남 ↔ command automatism.
11. 기행증(mannerisms): 같은 움직임을 반복하는 것. 정형화된 불수의적 움직임. Stereotypy의 행동화.
12. 음송증(音誦症: verbigeration): 의미 없는 말의 반복. 상동증이 특정 단어나 구에 대한 반복으로 나타날 때 음송증이라 부름.
13. 과잉운동(overactivity)
a. 정신운동성 흥분(psychomotor agitation): 내적인 긴장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나는 비생산적인 과잉운동
b. 과잉활동 hyperactivity(hyperkinesis): 안절부절못하고 공격적이고 파괴적인 행동
c. 틱(tic): 발작적이고(spasmodic) 반복적인 근육 움직임.
rapid, repetitive, co-ordinated, and stereotyped movements.
d. 몽유병(sleepwalking): 수면 중에 일어나는 근육 활동
14. 활동저하증(hypoactivity): 정신운동 지체와 같은 행동의 감소나 지체(retardation). 심리적 신체적 기능의 속도 둔화
15. 모방행동(mimicry): 어린아이들의 단순하고 모방적인 동작
Ⅷ. 실행기능의 장애(Disturbances of executive function)
실행 기능 executive functioning이란 계획 planning, 조직 organizing, 배열 sequencing, 추상화 abstracting 등을 말하는데, 실행 기능의 장애란 운동 기능, 감각 기능, 그리고 지시를 이해하는 능력은 정상인데도 어떠한 운동 행동을 실행하는 능력이 장애 된 것을 말한다. 실행 기능의 장애는 치매에서 흔히 나타나고 특히 전두엽이나 전두엽과 관계되는 피질하 경로의 장애와 관련된다.
[참조] disorders of activity 행동의 장애
이는 충동, 동기, 소원, 욕구, 본능, 갈망 등이 개인의 행동이나 운동으로 표현되는 바와 같은 정신의 측면이다.
1) 표정과 태도 : 환자의 표정이나 태도는 하나의 의사소통의 수단이므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2) 행동증가: 정신운동이 증가된 상태/흥분은 대체로 격정적이고 목적없는, 외부자극에 상관없는행동이 증가된상태.
3) 행동감퇴 : 정신운동이 느린 것, 말도 적고 움직임도 적다. 우울증에서 전형적으로 나타남.
4) 반복행동 : 같은행동을 반복하는 것, 상동증stereotype이라한다.
5) 자동행동 : 자동행동에는 타인의 말에 강박적으로 자동적으로 따른다.
6) 거절증 : 거절증은 주어진 것에 대해 저항하거나 반대하는 행동
7) 강박행동 : 불합리한 줄 알면서도 특정행동을 하려는 반복적 욕구에 저항할 수 없을 때 나타나는 행동이다.
8) 공격성 : 공격성은 분노, 화, 증오에 따른 강압적이고 목적이 있는 행위로서 언어나 행동으로 표현된다.
9) 자살 : 대체로 사랑의 결핍과 무능감, 거부감을 느끼기 때문이거나, 자기를 버린 사람에게 죄책감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것인 수가 많다.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5.01.31
  • 저작시기2005.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2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