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와 컴퓨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정보처리방식에서의 직렬과 병렬, 기호조작과 커넥셔니즘, 컴퓨터와 뇌

2. 직렬 정보처리의 원리 - 현재의 컴퓨터

3. 병렬 정보처리의 기본원리 - 뇌

4. 인공지능, 인지과학, 신경모델론 - 기호조작주의 vs. 커넥셔니즘

5. 결론 - 전망

본문내용

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인간은 이를 위해 각종 언어를 발명하고, 그것을사용하여 논리와 알고리즘을 실현했다. 직렬의 프로세서를 감시하는 것으로써 의식이 발생했는지도모른다. 직렬의 정보처리라고 하더라도 인간의 사고의 상징화 또는 모델화였던 것이다.
5. 결론 - 전망
학습능력을 지닌 병렬처리에 관해서는 우리는 아지까지 그것을 원리로 하여 체계적으로 구축하는데까지는 오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그러한 원리적 인식체계는 어차피 이루어질 것이다. 뇌는 이러한원리의 생물학적 구현에 불과하다. 생물은 생물적 재료, 특히 분자기계로 말할 수 있는 생체고분자의작용을 재료로 하여 긴 진화 발전과정 끝에 사람의 뇌와 같은 지적 기능을 갖는 것을 실현하였다.그러나 뇌속에 이 원리가 사용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은 역사적 생물학적 사정에 속박된 특수한것이다. 뇌를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병렬원리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대단히 중요지만 또 지극히어려운 일이다. 오히려 원리를 먼저 설정하여, 그 입장에서 그것이 어떠한 형태로 뇌 속에 구성되어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마찬가지로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이것이 계산이론적 신경과학이다.
한편 원리 그 자체를 지향하여 여러 구조의 신경회로망 모델을 만들어 동작의 특징적인 성질이나학습, 자기조직의 가능성을 추구하는 모델에 대한 연구도 예전부터 계속되어 왔다. 이러한 모델은직접 뇌의 특정부위를 모델화한 것이 아니며, 실용적인 정보처리를 목적으로 한 것도 아니다. 오히려단순한 모델을 수학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그러한 구조의 회로망 정보처리의 가능성과 한계, 학습법의가능성과 한계를 밝히려고 하는 것이다.
사람은 지적기능을 실현하는 데 있어서 동물의 병렬 사고만으로는 한계에 부딪혔다. 아것을 타파할 수있었던 이유는 언어라는 기호를 써서 사고를 기호화 하였기 때문이다. 아것으로 순차적 기호처리가가능해지고 논리가 싹트고 지적기능을 획득하였다. 의식이 생긴 것도 이러한 순차과정을 살펴 볼필요성에 의한 것인 듯 하다. 사람은 뇌라는 병렬 하드웨어 위에 갖은 노력 끝에 기호 처리 과정을올려 놓았다. 우리는 이것을 현재 컴퓨터의 알고리즘으로 실현할 수 있으며, 구태여 신경회로망으로실현할 필요는 없다. 현재의 컴퓨터는 지관적 사고나 학습의 능력은 가질 수 없다. 미래의 지적 기능실현은 사람이 하듯이 순차형과 병렬형의 두 가지 기술의 협조 위에 구축될 것이며, 여기에인공지능의 장래 방향이 있다고 생각된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5.02.03
  • 저작시기2005.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46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