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연극에 대한 논의의 초점이 Jessie의 삶에 맞추어져 있었다면 이제는 엄마 Thelma의 삶에 주목하여 정체성을 해석하는 편이 보다 깊은 공감을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왜냐하면, 근본적으로 Thelma 라는 인물은 가부장적 사회 하에서 자라나고 학습된 대부분의 여성을 표상한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대부분의 여성들은 극 중 Thelma Cates처럼, ‘여자의 행복’을 결혼생활의 순탄함에 한정시키고, 고정되고 수동적인 여성의 역할에 만족하려 해왔다는 점을 전제할 때 더욱 그러하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을 설명할 수 있는 예는, 대표적으로 결혼 후의 여성의 Identity로부터 살펴볼 수 있는데, 이것은 극중에서 엄마 Thelma가 단지 'Mama'로만 통하고 있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이해 할 수 있는 것이다. 모든 여성들은 결혼 전, 자신의 이름(정체성으로 표상 될 수 있는 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사회만 살펴보더라도 결혼 초 아이가 없을 경우, 가정 내에서 그녀들의 명칭은 남편의 이름 혹은 시댁의 고향을 따라 '○○댁'으로 불리다가, 아이가 태어나면 '○○엄마'로 불리게 된다. 물론 편의를 위한 것이라 한다면 할 말이 없지만, 결과적으로 여성은 그렇게 서서히 자신의 이름을 잊어가며, 한 남자의 아내로, 아이들의 엄마로서만 남겨지게 되는 것이다. 물론, 가정의 평화를 위해서 아내의 자리에 그리고 엄마의 자리에 있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며, 사랑하는 가족들을 위한 마음에서 우러나온 희생은 아름답다. 하지만 「인간의 정체성」측면에서 볼 때, 자신을 잃어가고 주변에 대해서 돌아보는 시각을 잃어가게 된다는 것은 한 인간으로서 불행한 일임에는 틀림없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이러한 여성의 모습을 대표하는 Thelma의 모습은, 이러한 고정된 틀에서 벗어나고자 몸부림치며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선택(자살)한 Jessie와의 대화과정의 과정을 통해서 부각되는 것이고 딸의 죽음을 통해서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되는 기회를 얻게 되는 것이다.
Mama : (생략)I didn't know! I was here with you all the time. How could I know you were so alone? Jessie! Please! Jessie, Jessie, child -- Forgive me. I thought you were mine. (P.89)
이렇게 극을 재해석할 때, 우리는 엄마 Thelma를 이 세상의 모든 원형적인 엄마 그리고 여성으로 그 대상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의식은 관객 속에 자리잡아 보다 깊은 공감을 얻을 수 있게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1) Norman, Marsha,. 'night Mother, Hill and Wang, New York, 1983.
2) 신은수 편역 '잘자요 엄마.',도서출판 예니, 1997.
3) 류영균, 'night Mother에서의 클라이막스 그리고 삶과 죽음의 교차,
서울市立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人文科學] 제8집 2001년 2월
Mama : (생략)I didn't know! I was here with you all the time. How could I know you were so alone? Jessie! Please! Jessie, Jessie, child -- Forgive me. I thought you were mine. (P.89)
이렇게 극을 재해석할 때, 우리는 엄마 Thelma를 이 세상의 모든 원형적인 엄마 그리고 여성으로 그 대상을 확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의식은 관객 속에 자리잡아 보다 깊은 공감을 얻을 수 있게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고 문헌〕
1) Norman, Marsha,. 'night Mother, Hill and Wang, New York, 1983.
2) 신은수 편역 '잘자요 엄마.',도서출판 예니, 1997.
3) 류영균, 'night Mother에서의 클라이막스 그리고 삶과 죽음의 교차,
서울市立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人文科學] 제8집 2001년 2월
키워드
추천자료
[영미문학페이퍼] night. Mother 왜 Jessie는 자살을 택할 수밖에 없는가?
하나의 자아에서 두 개의 자아로 : 가부장적 억압구조 속에서의 모녀관계
[영미문학페이퍼] The Metamorphosis in Getting Out :
[영미문학 페이퍼] Night Mother - 아직 나에게 살아야 할 이유가 있다.
Night Mother - Marsha Norman [ Jessie의 주체성과 자살]
나이트마더(night mother) : 평범한 일상생활 속에 나타난 Thelma의 “인식”의 과정과 Jessie...
가부장제에 의한 보이지 않는 살인 : Marsha Norman의 night, Mother
[과외]고1 영어 출판사공통 예상 내신문제 48
[과외]고등 영어 1-1 기말 출판사공통 예상문제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