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1.꽁트와 실증주의
2.밀과 스펜서
3. 뒤르깽의 실증주의
결론
본론
1.꽁트와 실증주의
2.밀과 스펜서
3. 뒤르깽의 실증주의
결론
본문내용
그의 주장은 신학적 단계, 형이상학적 단계, 실증적 단계로 나눌 수 있었고, 형이상학과 신학으로부터 여러 가지 학문들로의 분리는 꽁트의 실증적 방법에서 중요한 개념이었다. 여러 가지 학문은 사회학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렇지만, 인간에 대한 연구 (생물학)와 사회에 대한 연구(사회학)에서는 그 반대의 방법이 적절하다. 밀과 스펜서의 실증주의를 정리하여 보면 밀은 꽁트와 프랑스의 사회주의에 공감하면서 자발적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이 중요하다. 또한, 밀은 민주주의를 위한 가장 강력한 논의로써 민주주의는 곧 교육의 과정이라고 주장했다는 것이 생각해 볼 만한 것이라 하겠다. 스펜서는 과학적인 법칙은 본질이나 기원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고 단지 현실을 있는 그대로 기술할 뿐이라고 주장하는 견해를 결합시킨 점에서 주목할 만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뒤르깽은
넓게 보면 현대 서구 문명은 실용주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형이상학적 또는 종교적 양식이 이제는 현대생활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의 생활이 과학과 기술에 의해 규정되고 또 모든 것이 크게 합리화되어 있어서 이런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들의 정신생활이나 의식구조는 자연스럽게 "실증주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실험이나 경험적 근거에 바탕을 두지 않은 주장이나 신비주의는 현대세계에서 별로 관심을 끌지 못한다. 바로 이런 상황이 좋든 싫든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문화적 상황이다.
이처럼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회학에서 실증주의는 어떤 의미로서 밝혀지는 지를 알 수 있었고 그에 따른 실증주의자들의 이론들도 살펴보았다. 인간은 역사적 존재이자 사회적 동물이다. 그러기에 특정 시대의 사상이나 그 시대의 특정 인물의 세계관을 이해하는 데에는 그에 앞선 시대의 사상의 흐름과 그 시대의 사회적 상황의 성격을 동시에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사회학과 실증주의라는 제목으로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사상가들과 이론들에 대해 알아보았고, 현재 우리들의 생활과 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과거의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는 것이다.
각주 *******************
각주1)
그러므로 실증주의자들은 과학이론들을 "`해석된 형식적 계산'으로 분석해 왔다. 우리는 앞으로 이 개념을 논의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것의 주요한 특징에 대한 간단한 설명으로는 샤페어(1965)의 서론을 볼 것. 그것에 대한 이전의 옹호자의 비판적 평가는 헴펠(1970)에 실려 있다. 20세기 실증주의의 일반적 특징과 평가에 대해서는 아친스타인 과 바아커에 실린 논문들을 볼 것. 우리는 기호 형식화의 사용은 피하려고 하였지만, 그것을 사용할 때는 늘 그것에 앞서 비기호적인 언어들로 `번역'하였다.
각주2)
꽁트적 실증주의의 일반적인 역사에 관해서는 시몬(Simon, 1963)을 볼 것. 콩트는 자신의 저작으로는 『실증철학』제1권과 제2권(꽁트, 1853)있다. 유용하고 흥미로운 두 가지 19세기 논의로는 밀(1965)과 스펜서(1968)가 있는데, 다음절과 관련된다. 세 가지 현대적인 방법론 논의는 아롱(Aron,1968)과 콜라코프스키(1972) 그리고 로우단(1971)의 글 속에 있다. 꽁트의 체계에서 사회학의 역할에 관해서는 스윈지우드(1970)를 볼 것. 다음의 설명이 단지 꽁트에 대해서만 이루어졌다는 사실 때문에 생 시몽의 역할과 중요성이 역사적으로 축소되는 것을 독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우리는 꽁트의 체계가 단지 기본적으로 생 시몽의 주장들에 대한 체계화와 정련화 인가의 논평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다. 나아가 우리의 설명은 주로 1830년과 1842사이에 쓴 『실증철학 강의』에 제시된 꽁트의 명제들에 대한 것이다.
각주3)
일반적으로 밀(1898) 제1권, 『도덕과학의 논리에 관하여』와 밀(1965)을 볼 것. 최상의 방법론적 논의는 라이언(Ryan,1970a), 특히 연역에 관한 제1장, 귀납에 관한 제3장, 그리고 인식론적으로 그가 경험론자로 분류되는 것이 알맞은가에 관한 제4장에 담겨있다. 또 인과에 대한 밀의 접근에 관한 논의로는 이 책의 제2장 1절을 볼 것.
각주4)
사회사상의 이러한 재정향은 휴즈에서 흥미롭고 도움되게 논의되고 있다.
<참고문헌>
「과학으로서의 사회이론」 한올 아카데미 러셀 코트, 존 어리 1993.7.20
「사회사상의 흐름」 사상사 이고르 S. 콘 1993.10.6
「사회사상사」 문음사 김동일 1994.2.20
넓게 보면 현대 서구 문명은 실용주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형이상학적 또는 종교적 양식이 이제는 현대생활에 부합되지 않기 때문이다. 현대인들의 생활이 과학과 기술에 의해 규정되고 또 모든 것이 크게 합리화되어 있어서 이런 상황에 처해 있는 사람들의 정신생활이나 의식구조는 자연스럽게 "실증주의적"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실험이나 경험적 근거에 바탕을 두지 않은 주장이나 신비주의는 현대세계에서 별로 관심을 끌지 못한다. 바로 이런 상황이 좋든 싫든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아가는 문화적 상황이다.
이처럼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사회학에서 실증주의는 어떤 의미로서 밝혀지는 지를 알 수 있었고 그에 따른 실증주의자들의 이론들도 살펴보았다. 인간은 역사적 존재이자 사회적 동물이다. 그러기에 특정 시대의 사상이나 그 시대의 특정 인물의 세계관을 이해하는 데에는 그에 앞선 시대의 사상의 흐름과 그 시대의 사회적 상황의 성격을 동시에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 우리는 사회학과 실증주의라는 제목으로 그에 따른 여러 가지 사상가들과 이론들에 대해 알아보았고, 현재 우리들의 생활과 활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과거의 이론들을 살펴봄으로써 알 수 있는 것이다.
각주 *******************
각주1)
그러므로 실증주의자들은 과학이론들을 "`해석된 형식적 계산'으로 분석해 왔다. 우리는 앞으로 이 개념을 논의하지는 않을 것이다. 이것의 주요한 특징에 대한 간단한 설명으로는 샤페어(1965)의 서론을 볼 것. 그것에 대한 이전의 옹호자의 비판적 평가는 헴펠(1970)에 실려 있다. 20세기 실증주의의 일반적 특징과 평가에 대해서는 아친스타인 과 바아커에 실린 논문들을 볼 것. 우리는 기호 형식화의 사용은 피하려고 하였지만, 그것을 사용할 때는 늘 그것에 앞서 비기호적인 언어들로 `번역'하였다.
각주2)
꽁트적 실증주의의 일반적인 역사에 관해서는 시몬(Simon, 1963)을 볼 것. 콩트는 자신의 저작으로는 『실증철학』제1권과 제2권(꽁트, 1853)있다. 유용하고 흥미로운 두 가지 19세기 논의로는 밀(1965)과 스펜서(1968)가 있는데, 다음절과 관련된다. 세 가지 현대적인 방법론 논의는 아롱(Aron,1968)과 콜라코프스키(1972) 그리고 로우단(1971)의 글 속에 있다. 꽁트의 체계에서 사회학의 역할에 관해서는 스윈지우드(1970)를 볼 것. 다음의 설명이 단지 꽁트에 대해서만 이루어졌다는 사실 때문에 생 시몽의 역할과 중요성이 역사적으로 축소되는 것을 독해되지는 않아야 한다. 우리는 꽁트의 체계가 단지 기본적으로 생 시몽의 주장들에 대한 체계화와 정련화 인가의 논평에는 개입하지 않을 것이다. 나아가 우리의 설명은 주로 1830년과 1842사이에 쓴 『실증철학 강의』에 제시된 꽁트의 명제들에 대한 것이다.
각주3)
일반적으로 밀(1898) 제1권, 『도덕과학의 논리에 관하여』와 밀(1965)을 볼 것. 최상의 방법론적 논의는 라이언(Ryan,1970a), 특히 연역에 관한 제1장, 귀납에 관한 제3장, 그리고 인식론적으로 그가 경험론자로 분류되는 것이 알맞은가에 관한 제4장에 담겨있다. 또 인과에 대한 밀의 접근에 관한 논의로는 이 책의 제2장 1절을 볼 것.
각주4)
사회사상의 이러한 재정향은 휴즈에서 흥미롭고 도움되게 논의되고 있다.
<참고문헌>
「과학으로서의 사회이론」 한올 아카데미 러셀 코트, 존 어리 1993.7.20
「사회사상의 흐름」 사상사 이고르 S. 콘 1993.10.6
「사회사상사」 문음사 김동일 1994.2.20
추천자료
영어과교육평가(영어평가),국어과교육평가(국어평가),수학과교육평가(수학평가),과학과교육평...
[초등교육]초등학교 4학년 국어과교육과 영어과교육, 초등학교 4학년 수학과교육과 과학과교...
[학습동기][학습동기유발]국어과교육의 학습동기유발전략, 수학과교육의 학습동기유발전략, ...
성의 정치 사회학 - 정체성과 패미니즘으로 인한 성 정치학과 양성평등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인지갈등학습과 관찰학습, 과학과(과학과교육) 탐구학습 발견학...
국어과교육 수준별학습지도, 영어과교육 수준별학습지도, 수학과교육 수준별학습지도, 과학과...
영어과평가(영어교육평가), 국어과평가(국어교육평가), 수학과평가(수학교육평가), 과학과평...
실과교육 학습지도(수업지도), 기술가정과교육 학습지도(수업지도), 체육과교육 학습지도(수...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의미와 중요성, 사회교육(성인학습, 성인교육)의 이념과 참...
[문화교양학과 B형] 건강이 개인의 의지나 노력에 달린 문제가 아니라 사회문제라는 시각을 ...
[문화교양학과 C형] 한국전쟁이나 냉전 혹은 분단이 우리 삶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나, ...
방통대 인행사 가정학과 E형 프로이트 [인간행동과사회환경]
[정신분석] 인간행동과 사회 환경 B형(유아교육, 교육학과) 아들러 이론과 프로이드 이론 비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