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 회 학
2. 사회학자들에 대하여
3. 사회학자들에 대한 나의 생각
2. 사회학자들에 대하여
3. 사회학자들에 대한 나의 생각
본문내용
만나 사람들과 유대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의 집단을 만들어 생활하게 되는 것이다.
3. 사회학자들에 대한 나의 생각
사회학은 여러 학문들에 많은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했다. 사회학이란 이름을 창시한 사람은 사회학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 바로 콩트이다. 이는 사회학의 아버지라고 불리 우는 사회학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아주 유명한 사람이다. 일류를 예측할 수 있는 학문이 사회학이라 하였고, 사회학을 과학과 같은 맥락에서 보았다. 사회학과 과학이 같다는 것은 실증주의( 사회학을 과학의 이론인 인과론적인 이론으로 설명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로 증명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콩트와 같은 주장을 한 사람은 베버이다. 베버도 콩트와 마찬가지로 사회학을 과학으로 설명하려 하였고 같은 맥락으로 보았다. 하지만 짐멜은 이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고, 사회학도 다른 학문처럼 고유한 영역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과학처럼 어떤 이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과학과 같은 맥락에서 보는 것을 거부한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학문이든지 그 학문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다른 학문에 영향을 받고 도움을 받아야 만이 학문이 형성되고 발전 할 수가 있다. 어떠한 학문이든 독립적인 학문이 될 수가 없는 것이다. 사회학은 어떤 행위의 과정을 이해하려 하는 학문이기에 과학으로는 설명할 수가 없다. 즉, 사회 현상을 이해하려 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더 나은 것, 합리적인 것을 추구하는 학문이 사회학이라 할 수 있다. (다른 학문과의 차이점)
사회학자들은 찰스 부스에서 볼 수 있듯이 자신의 시간과 비용을 이용해서 사회의 문제와 현상에 대해 조사하고 연구하였다. 이들의 희생을 어떻게 보면 아무 것도 아닌 그냥 몇 사람의 비용과 시간으로 생각할지 모르지만 이들의 희생으로 인해서 그 시대 사회의 여러 문제와 현상들이 파악되고 다음 시대에 또다시 그런 사회 문제가 생기지 않는 예방을 낳은 것이다. 즉 여러 많은 사람들이 조금 더 편한 사회 생활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회학은 그 시대의 사회 문제를 단순히 연구하는 학문이 아니다. 문제를 파악하고 더 나은 사회 생활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회학인 것이다. 사회학의 가장 기초가 진보와 발전이다. 사회학은 그냥 그 자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여러 식물과 동물처럼 진화하는 것이다. 동물들은 환경이 변하면 그 환경에 맞추어 몸이 변한다. 바로 이것이 진화이다.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사회도 시대가 변하면 그 시대에 맞추어서 변하는 것이다. 예전보다 삶의 기회를 확대하고 보다 합리적인 사회가 되어 가는 것이다.
사회는 그 시대의 문화나 사람들의 성향에 따라 변화가 심하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에서
18
좀더 좋은 삶을 영위하고 삶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그 시대 사회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변화에 빠르게 적응해야 한다.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그 사회에서 살수가 없다. 그리고 그 시대 사회의 법이나 제도에 수긍하면서 살아야 한다. 자기가 하기 싫다고 그리고 하고 싶다고 아무 일이나 해서는 안 된다. 그 시대 사회에서 허용되는 일이 있고 해서는 안 되는 일이 있는 것이다. 그 시대 사회의 법이나 제도가 맘에 안 들거나 지키기 싫다면 그 사람은 다른 사회로 갈 수밖에 없다.
사회는 혼자 살아가는 것이 아니다. 사회는 여러 사람이 같이 공유하면서 살아가는 공동체인 것이다. 뒤르켐은 사회학을 연구할 때 개인과 사회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중 개인보다 사회에 더 중심을 두었다. 즉 사회 집단의 행위와 현상을 연구한 것이다. 사회학은 둘 이상 있을 때 존재하는 학문이다. 사람들간 즉, 공동체간의 갈등과 분쟁을 해결하는 학문이다.
앞으로도 앞에서 다룬 사회학자들과 같은 여러 사회학자들이 나타날 것이다. 이들은 자신이 본 사회에 대하여 여러 이론들은 내놓고 다른 이론을 비판하며 사회학을 더 더욱 발전 시켜나갈 것이다. 사회가 변함에 따라 연구하는 방향도 달라지겠지만 서로의 주장을 내놓고 갈등하고 비판하는 것은 사회학이 존재하는 한 영원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학자들은 자신의 주장만을 무조건적으로 주장하는 것이 아닌 객관적이 측면에서 사회학을 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자기의 주장을 내놓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즉, 자신의 주장을 펴더라도 너무 나서지 말고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사회학을 이끌어 나가야 할 것이다.
사회학은 독립적인 학문이 되기 위해서 앞으로도 노력할 것이다. 하지만 어느 학문이든 독립적인 학문이 될 수는 없다. 모든 학문은 서로 연관을 맺고 조금이라도 공통성을 가지고 발전하고 있다. 사회학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독립적인 학문이 되려고 노력 할 것이 아니라 다른 학문에 도움이 되도록 그리고 다른 학문과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Sylvain Auroux(ed.), Encyclopedie philosophique universelle, Puf, 1990.
Emile Brehier, Histoire de la philosophie, Puf, 1981.
Paul Edward(ed.),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Macmillan, 1967.
Andre Lalande, Vocabulaire technique et critique de la philosophie, Puf, 1926.
Jacques Muglioni, Auguste Comte, Kime, 1995.
강순원(역), ぢ교육사회학의 연구동향っ, 교육과 사회구조, 서울;한울,1983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1985
김억환, 신교육사회학 입문, 박영사, 1987
김용일,ぢ그람시의 혁명전략과 교육론っ, 한국교육문제연구회 월례발표회
발표논문,1986
박영신, 갈등의 사회학, 서울:까치, 1977
----- ,현대사회의 구조와 이론, 서울:일지사, 1979
이규환, 강순원(편). 자본주의 사회의 교육, 서울:창작과 비평사, 1984
----- , 비판적 교육사회학, 한울, 1987
최정웅, 새로운 교육학, 서울;한긱사,1981
------, 교육사회학이론과 연구방법론, 문음사, 1990
3. 사회학자들에 대한 나의 생각
사회학은 여러 학문들에 많은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했다. 사회학이란 이름을 창시한 사람은 사회학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 바로 콩트이다. 이는 사회학의 아버지라고 불리 우는 사회학을 말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아주 유명한 사람이다. 일류를 예측할 수 있는 학문이 사회학이라 하였고, 사회학을 과학과 같은 맥락에서 보았다. 사회학과 과학이 같다는 것은 실증주의( 사회학을 과학의 이론인 인과론적인 이론으로 설명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로 증명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콩트와 같은 주장을 한 사람은 베버이다. 베버도 콩트와 마찬가지로 사회학을 과학으로 설명하려 하였고 같은 맥락으로 보았다. 하지만 짐멜은 이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고, 사회학도 다른 학문처럼 고유한 영역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과학처럼 어떤 이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과학과 같은 맥락에서 보는 것을 거부한 것이다. 그러나 어떠한 학문이든지 그 학문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다른 학문에 영향을 받고 도움을 받아야 만이 학문이 형성되고 발전 할 수가 있다. 어떠한 학문이든 독립적인 학문이 될 수가 없는 것이다. 사회학은 어떤 행위의 과정을 이해하려 하는 학문이기에 과학으로는 설명할 수가 없다. 즉, 사회 현상을 이해하려 하는 것이 아니라 보다 더 나은 것, 합리적인 것을 추구하는 학문이 사회학이라 할 수 있다. (다른 학문과의 차이점)
사회학자들은 찰스 부스에서 볼 수 있듯이 자신의 시간과 비용을 이용해서 사회의 문제와 현상에 대해 조사하고 연구하였다. 이들의 희생을 어떻게 보면 아무 것도 아닌 그냥 몇 사람의 비용과 시간으로 생각할지 모르지만 이들의 희생으로 인해서 그 시대 사회의 여러 문제와 현상들이 파악되고 다음 시대에 또다시 그런 사회 문제가 생기지 않는 예방을 낳은 것이다. 즉 여러 많은 사람들이 조금 더 편한 사회 생활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사회학은 그 시대의 사회 문제를 단순히 연구하는 학문이 아니다. 문제를 파악하고 더 나은 사회 생활을 영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사회학인 것이다. 사회학의 가장 기초가 진보와 발전이다. 사회학은 그냥 그 자리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여러 식물과 동물처럼 진화하는 것이다. 동물들은 환경이 변하면 그 환경에 맞추어 몸이 변한다. 바로 이것이 진화이다.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사회도 시대가 변하면 그 시대에 맞추어서 변하는 것이다. 예전보다 삶의 기회를 확대하고 보다 합리적인 사회가 되어 가는 것이다.
사회는 그 시대의 문화나 사람들의 성향에 따라 변화가 심하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에서
18
좀더 좋은 삶을 영위하고 삶의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그 시대 사회의 흐름을 잘 파악하고 변화에 빠르게 적응해야 한다. 그렇지 못한 사람들은 그 사회에서 살수가 없다. 그리고 그 시대 사회의 법이나 제도에 수긍하면서 살아야 한다. 자기가 하기 싫다고 그리고 하고 싶다고 아무 일이나 해서는 안 된다. 그 시대 사회에서 허용되는 일이 있고 해서는 안 되는 일이 있는 것이다. 그 시대 사회의 법이나 제도가 맘에 안 들거나 지키기 싫다면 그 사람은 다른 사회로 갈 수밖에 없다.
사회는 혼자 살아가는 것이 아니다. 사회는 여러 사람이 같이 공유하면서 살아가는 공동체인 것이다. 뒤르켐은 사회학을 연구할 때 개인과 사회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중 개인보다 사회에 더 중심을 두었다. 즉 사회 집단의 행위와 현상을 연구한 것이다. 사회학은 둘 이상 있을 때 존재하는 학문이다. 사람들간 즉, 공동체간의 갈등과 분쟁을 해결하는 학문이다.
앞으로도 앞에서 다룬 사회학자들과 같은 여러 사회학자들이 나타날 것이다. 이들은 자신이 본 사회에 대하여 여러 이론들은 내놓고 다른 이론을 비판하며 사회학을 더 더욱 발전 시켜나갈 것이다. 사회가 변함에 따라 연구하는 방향도 달라지겠지만 서로의 주장을 내놓고 갈등하고 비판하는 것은 사회학이 존재하는 한 영원할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학자들은 자신의 주장만을 무조건적으로 주장하는 것이 아닌 객관적이 측면에서 사회학을 보는 것이 필요하다. 그렇다고 자기의 주장을 내놓지 말라는 것은 아니다. 즉, 자신의 주장을 펴더라도 너무 나서지 말고 서로 조화를 이루면서 사회학을 이끌어 나가야 할 것이다.
사회학은 독립적인 학문이 되기 위해서 앞으로도 노력할 것이다. 하지만 어느 학문이든 독립적인 학문이 될 수는 없다. 모든 학문은 서로 연관을 맺고 조금이라도 공통성을 가지고 발전하고 있다. 사회학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독립적인 학문이 되려고 노력 할 것이 아니라 다른 학문에 도움이 되도록 그리고 다른 학문과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Sylvain Auroux(ed.), Encyclopedie philosophique universelle, Puf, 1990.
Emile Brehier, Histoire de la philosophie, Puf, 1981.
Paul Edward(ed.), The Encyclopedia of philosophy, Macmillan, 1967.
Andre Lalande, Vocabulaire technique et critique de la philosophie, Puf, 1926.
Jacques Muglioni, Auguste Comte, Kime, 1995.
강순원(역), ぢ교육사회학의 연구동향っ, 교육과 사회구조, 서울;한울,1983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1985
김억환, 신교육사회학 입문, 박영사, 1987
김용일,ぢ그람시의 혁명전략과 교육론っ, 한국교육문제연구회 월례발표회
발표논문,1986
박영신, 갈등의 사회학, 서울:까치, 1977
----- ,현대사회의 구조와 이론, 서울:일지사, 1979
이규환, 강순원(편). 자본주의 사회의 교육, 서울:창작과 비평사, 1984
----- , 비판적 교육사회학, 한울, 1987
최정웅, 새로운 교육학, 서울;한긱사,1981
------, 교육사회학이론과 연구방법론, 문음사, 1990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사회학(한국 사회의 현실 조망)
[종교사회학]한국사회 종교적 세속화 현상에 관한 고찰
자살론의 사회학적 의의 및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적용 가능성
스포츠 사회학, 스포츠와 사회, 스포츠와 국가, 스포츠와 여가, 스포츠와 정보
(사회학개론) 사회화, 생애과정, 고령화 보고서
사회학적인 관점으로 바라본 세종 시대에 대한 사회자본 개념의 총체적 조사분석
[사회학개론] 루이스 코저의 갈등 기능주의 4가지 명제 (갈등의 원인, 갈등의 폭력성, 갈등의...
[교육사회학] 사회이동
2014년 1월 1일 부터 6월 30일까지 일어났던 사건 가운데 하나를 골라서사회학적 사고나 사회...
사회학사 레포트 (사회학에 관련된)
위험사회와 사회학이론 - 마르크스의 갈등이론, 비판이론(프랑크 푸르트 학파)과 후기 구조주...
[교육사회학 공통]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기능이론, 갈등이론)을 비교하고,...
[교육사회학]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기능이론, 갈등이론)을 비교하고, 각 주...
[교육사회학] 교육의 사회적 기능에 대한 대립된 시각(기능이론, 갈등이론)을 비교하고 각 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