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음소
-음절
-낱말의 독자성
-형태소의 종류
-통어적 합성어와 통어론적 짜임새
-형태론 통어론의 연구대상
-음절
-낱말의 독자성
-형태소의 종류
-통어적 합성어와 통어론적 짜임새
-형태론 통어론의 연구대상
본문내용
언어형식 가운데의 어떤 것은 그것만으로서 다른 언어형식과 따로 떨어져 자립할 수 있는 것이 있고, 어떤 것은 반드시 다른 언어형식에 기대거나, 또는 다른 언어형식과 결합해야만 자립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사람, 집, 돌, 먹는다’는 앞뒤에 다른 말을 붙이지 않고, 따로 떼어서 말하여도 충분히 그 뜻을 알아 차릴 수 있는데. 이러한 언어형식을 ‘자립형식’이라고 한다. 이와 달리 ‘사람이’ ‘범을’에서 ‘-이’ ‘-을’은 그것이 일정한 소리와 일정한 뜻을 가지고 있는 점으로 보면 각각 하나의 언어형식이기는 하지만, 이것들은 따로 떨어져서는 쓰일 수 없고, 반드시 어떠한 다른 언어형식에 붙는지, 다른 언어형식과 어울리든지 해야만 자립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언어형식을 ‘구속형식’이라고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