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로봇산업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세계 로봇 산업의 일본
2. 일본의 지능형 로봇
1. 애완용 로봇
1) 강아지 로봇 아이보(AIBO)
2) 고양이 로봇 네코로(Necoro)
2. 휴머노이드
1) 아시모(Asimo)
2) 큐리오(QRIO)
3) 가정용 로봇 누보(Nuvo)
3. 로봇 콘테스트
1) 로봇 스모 대회
2) 로보컵 (로봇 축구 대회)
3) 그 외의 행사
4) 우리나라의 로봇관련 행사

3. 결론

본문내용

지키기만 하면 된다.
2. 로보컵 (로봇 축구 대회) 도지마 와코 『로봇의 시대』 (주)사이언스북 2002/4/10, p.101, p.111
1997년 최초의 국제 로보컵 대회가 나고야에서 열렸을 때는 10개국 36개 팀이 참가하는 데 그쳤으나, 현재는 35개국 150개 팀, 3천 명 이상의 과학자와 학생들이 참가하는 세계적인 이벤트가 되었다. 아직까지는 2족 보행 로봇이 발로 공을 차는 것보다 하체에 장착된 바퀴로 움직이면서 공을 몰고 가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3. 그 외의 행사
마이크로 마우스 로봇 경주 주니어, S.I.T 복서 로봇 대회, 로봇 스캐빈저, 로봇 그랑프리, 마이크로 마우스 로봇 경주, 가와사키 로봇 콘테스트, 수상 로봇 콘테스트 등 많은 행사가 열리고 있다.
4. 우리나라의 로봇관련 행사
로봇 축구 대회는 일본보다 우리나라에서 먼저 시작되었다. 즉, 1995년에 KAIST의 김종환 교수가 세계 최초로 로봇 축구 대회를 열었다. 1996년에는 세계 최초의 로봇 축구 국제 대회인 <국제 마이크로 로봇 월드컵>이 KAIST에서 개최되었다. 현재는 김종환 교수의 주도로 설립된 <세계 로봇 축구 연맹(FIRA)>이 FIRA 로봇 월드컵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2 한일 월드컵에 맞춰 5월에 제 4회 대회가 개최되었다.
3. 결론
일본이 세계 로봇 산업의 최강자라는 것은 누구도 부인하지 않을 것이다. 특히 2족 직립 보행 로봇 분야에서 그들의 축적된 기술력을 따라잡기는 당분간 어느 나라도 힘들 것으로 본다. 사실 직립 로봇의 실용성에 대해 의심의 여지가 많고 그렇기 때문에 기능적이고 실용적 사고관을 가진 서구나 미국의 경우 직립 로봇의 투자와 개발을 서두루지 않는 것이라 볼 수 도 있다. 청소기와 같은 가정용 로봇은 가격이 저렴하고 실용적이기 때문에 시장이 형성 되지만 아시모나 큐리오의 경우 수요가 적어 판매로 수익을 내기도 힘들다. 용도에서 알 수 있듯이 공공용이나 홍보용의 이벤트적인 기능만 할 뿐이다. 부차적인 기능이라면 대외적으로 과학기술을 통한 국위선양 정도로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일본인들은 민간업체나 정부 차원에서 로봇 산업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다. 이유는 무엇일까? 그 출발은 마음에 있는 아톰의 동경 일 지도 모르지만 외적으로는 미래의 로봇 산업에 대한 충분한 효용성을 믿기 때문이라고 본다. 앞으로 다가 올 사회가 로봇, 유비쿼터스 사회라는 것은 현재도 눈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일본은 다른 나라보다 멀리 보고 미리 준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그들의 생각이 일본을 로봇 과학의 선두자로 만들었다고생각한다.
1. 서론
2. 본론
1. 세계 로봇 산업의 일본
2. 일본의 지능형 로봇
1. 애완용 로봇
1) 강아지 로봇 아이보(AIBO)
2) 고양이 로봇 네코로(Necoro)
2. 휴머노이드
1) 아시모(Asimo)
2) 큐리오(QRIO)
3) 가정용 로봇 누보(Nuvo)
3. 로봇 콘테스트
1) 로봇 스모 대회
2) 로보컵 (로봇 축구 대회)
3) 그 외의 행사
4) 우리나라의 로봇관련 행사
3. 결론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3.16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883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