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기기 및 장치
4. 실험결과
5. 토의
6. reference
2. 실험 목적
3. 기기 및 장치
4. 실험결과
5. 토의
6. reference
본문내용
에 있게된다.
(3) 공 명 (Resonance)
관속에서 음파는 양쪽 끝사이를 오가면서 여러번 반사되고, 반사되는 동안 서로 중첩되어 일반적으로는 작은 진폭을 보일 것이다. 하지만 모든 반사파가 같은 위상을 가지고 있을때 최대 진폭을 갖게 된다. 이때의 주파수를 공명 주파수라고 한다.
공기중에서 이론적인 음파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음속 v = 331.5×(1+T/273)½ ≒ 331.5 m/s + 0.607 T (T:섭씨온도)
막힌관과 열린관에서 공명 조건을 살펴보면
① 막힌관: L= nλ/4 (n=1,3,5,7…)
② 열린관: L= nλ/2 (n=1,2,3,4…)
[그림2] 관내의 정상음파
하지만 실험적으로는 관의 끝에 정확히 마디나 배가 만들어 지지않는다.
그것은 관의 끝부분에서 음파의 행동이 주파수와 관의 직경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끝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끝 보정인자는 보통 0.2~0.8정도이며, 여기서는 막힌 관에서는 0.6, 열린 관에서는 1.2 로 하였다. (d:관의 직경)
① 막힌관 : L + 0.6d = nλ/ 4 (n=1,3,5,7…)
② 열린관 : L + 1.2d = nλ/ 2 (n=1,2,3,4…)
(3) 공 명 (Resonance)
관속에서 음파는 양쪽 끝사이를 오가면서 여러번 반사되고, 반사되는 동안 서로 중첩되어 일반적으로는 작은 진폭을 보일 것이다. 하지만 모든 반사파가 같은 위상을 가지고 있을때 최대 진폭을 갖게 된다. 이때의 주파수를 공명 주파수라고 한다.
공기중에서 이론적인 음파의 속도는 다음과 같다.
음속 v = 331.5×(1+T/273)½ ≒ 331.5 m/s + 0.607 T (T:섭씨온도)
막힌관과 열린관에서 공명 조건을 살펴보면
① 막힌관: L= nλ/4 (n=1,3,5,7…)
② 열린관: L= nλ/2 (n=1,2,3,4…)
[그림2] 관내의 정상음파
하지만 실험적으로는 관의 끝에 정확히 마디나 배가 만들어 지지않는다.
그것은 관의 끝부분에서 음파의 행동이 주파수와 관의 직경과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끝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끝 보정인자는 보통 0.2~0.8정도이며, 여기서는 막힌 관에서는 0.6, 열린 관에서는 1.2 로 하였다. (d:관의 직경)
① 막힌관 : L + 0.6d = nλ/ 4 (n=1,3,5,7…)
② 열린관 : L + 1.2d = nλ/ 2 (n=1,2,3,4…)
추천자료
ICU case study
뇌실내출혈((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case study
[방사선] X-선 Film base의 변천과 구성 입자
[뇌졸중][중풍][뇌졸중(중풍) 진단][뇌졸중(중풍) 치료][뇌졸중 증후군]뇌졸중(중풍)의 원인,...
신경외과 중환자실 케이스
뇌실내출혈(IVH)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 소화기계 summary
RFID기술 및 응용사례
RFID기술 및 응용사례
기초전자 기말 [센서]
[성인간호학][생식세포종양][germ cell tumer]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언어장애 문헌고찰
요추간판탈출증 간호과정 케이스 스터디 A+ 받았어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