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날짜
3> 실험 목적
4> 재료
5> 방법
6> 실험결과
7> 토 의
3> 실험 목적
4> 재료
5> 방법
6> 실험결과
7> 토 의
본문내용
fer를 넣은 후에 여과를 시켜, 실험수치의 오차가 많이 발생하였다. 이는 plasma 여과 전 e.q buffer를 넣게 되면 plasma와 resin의 결합 정도가 약해져서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 없을 뿐 아니라, 처음 얻게되는 sample1 에 여과시킨 plasma뿐 아니라, e.q buffer까지 들어있어 농도가 예정된 수치에 비해 반으로 떨어지는 결과가 예상된다.
세 번째, 여과시킨 plasma의 일정량을 덜어내어 sample1을 만들었다. 이 sample에는 결합이 되지 않은 fibronectin뿐 아니라, plasma에 있는 많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조의 경우 e.q buffer를 미리 넣어서 여과시켰으므로 결합되지 않은 fibronectin과 column에 남아 있었던 많은 이물질이 들어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네 번째, 예정된 과정에서는 e.q buffer와 1M의 NaCl을 넣어주는 과정이지만,
e.q buffer는 미리 넣었으므로 생략하였다. e.q buffer를 넣어주는 목적은 column을 씻어내어 불순물을 줄이기 위함이다. 다음 750㎕ 의 NaCl을 두 번 차례대로 넣어주어 여과시킨 후 각각 sample2와 sample3을 얻어내었는데, NaCl은 염효과를 이용해 plasma와 약하게 결합된 protein을 제거해주는 목적이다. 차례로 채취한 sample2 와 3을 비교할 때, sample2가 처음 여과시킨 것이므로 3에 비해 많은 protein이 검출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섯 번째, 4M의 Urea를 처음은 1.5ml, 다음은 750㎕ 로 두번 넣어주었다. 여기서 4M의 Urea는 fibronectin과 gelatin의 결합을 끊는 최적의 농도로서, fibronectin과 gelatin의 결합구조를 변성시킨 후, affinity를 낮추어 결합을
끊어준다. 이 과정이 실질적으로 fibronectin을 분리해내는 과정이다.
여섯 번째, 8M의 Urea와 e.q buffer를 column에 넣어 resin에 결합한 모든 protein을 끊어 제거한 후, column을 washing한다.
전반적인 실험이 빠르게 진행되어 미리 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되는 실험이었다. 실험에 앞서 조원들 간의 토의와, 실험과정에서의 협동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실험과정 중에는 항상 e.q buffer가 column표면을 살짝 덮도록 약간을 남겨두어 resin이 마르는 것을 방지하였다.
세 번째, 여과시킨 plasma의 일정량을 덜어내어 sample1을 만들었다. 이 sample에는 결합이 되지 않은 fibronectin뿐 아니라, plasma에 있는 많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다. 우리조의 경우 e.q buffer를 미리 넣어서 여과시켰으므로 결합되지 않은 fibronectin과 column에 남아 있었던 많은 이물질이 들어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네 번째, 예정된 과정에서는 e.q buffer와 1M의 NaCl을 넣어주는 과정이지만,
e.q buffer는 미리 넣었으므로 생략하였다. e.q buffer를 넣어주는 목적은 column을 씻어내어 불순물을 줄이기 위함이다. 다음 750㎕ 의 NaCl을 두 번 차례대로 넣어주어 여과시킨 후 각각 sample2와 sample3을 얻어내었는데, NaCl은 염효과를 이용해 plasma와 약하게 결합된 protein을 제거해주는 목적이다. 차례로 채취한 sample2 와 3을 비교할 때, sample2가 처음 여과시킨 것이므로 3에 비해 많은 protein이 검출 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섯 번째, 4M의 Urea를 처음은 1.5ml, 다음은 750㎕ 로 두번 넣어주었다. 여기서 4M의 Urea는 fibronectin과 gelatin의 결합을 끊는 최적의 농도로서, fibronectin과 gelatin의 결합구조를 변성시킨 후, affinity를 낮추어 결합을
끊어준다. 이 과정이 실질적으로 fibronectin을 분리해내는 과정이다.
여섯 번째, 8M의 Urea와 e.q buffer를 column에 넣어 resin에 결합한 모든 protein을 끊어 제거한 후, column을 washing한다.
전반적인 실험이 빠르게 진행되어 미리 과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요구되는 실험이었다. 실험에 앞서 조원들 간의 토의와, 실험과정에서의 협동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실험과정 중에는 항상 e.q buffer가 column표면을 살짝 덮도록 약간을 남겨두어 resin이 마르는 것을 방지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