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발점이 되는 물음이 생긴다. 사회개념이 해체됨과 더불어 거대한 사회학적, 역사적 담론이 사라지게 된다.(그 예로는 합리화, 근대화, 분리독립을 들 수 있다.) 사회적인 것에 대한 시각이 순차적인 진보담론을 포기함으로써 어떻게 바뀌게 되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Lyotard의 근대 메타담론비판과 Foucault의 인류학이 짧게 소개될 것이다.(제4장) 사회학의 주도적인 거대담론이 붕괴함에 따라 그것과 결부된 주체개념도 변하게 된다. 탈구조주의적 관점에서 보면 마르크시즘에서의 프롤레타리아와 같이 통합에 대한 보증이 사라지게 되고, 또 자유로이 행동하던 행위자나 자기반성적인 주체도 확실성 있던 상태를 상실하게 된다. 사회학 이론에서 중심적이었던 구조/행동의 이원론은 이제 주체하 기술, 이질적인 주체성, 정체성 확립과정의 실패에 대한 관심으로 대체되게 된다.(제5장) 왜냐하면 탈구조주의 사회학은 존재하지 않고, 그것은 스펙트럼 논리, 즉 미확정된 사이 지점을 고려하는 유령의 논리에 따라 사회학 내에서 출몰하며, 또 그것은 이렇게 출몰하는 지도의 마지막 부분에 설계되어질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학은 어디에서 탈구조주의의 유령에 대해 수용적인 태도를 나타내고 있는가?
키워드
추천자료
[성의 사회학]동거에 대한 사회적 인식 조사 분석
[사회학] 한국의 환경정책 및 자연환경훼손사례 분석연구
[사회과학](사회학) 김승연 한화회장 보복폭행사건에 대한 분석, 비판
‘학생운동의 침체’에 대한 사회학적 원인 분석
[사회학] 셰논과 위버의 커뮤니케이션의 수학이론-커뮤니케이션 과정 모델에 대한 분석.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적 성격이론과 에릭슨의 심리사회학적 성격이론
[사회학개론]빈곤의 갈등주의,기능주의관점에 의한 정의및 이론 분석 과 빈곤 지역 사례 분석
[A+] 농어촌과 도시간 교육 격차 - 교육사회학, 都農간 교육격차의 실태, 원인 및 분석, 해결...
교육사회학 측면에서 바라보는 한국 교육의 문제와 개선방안
사회복지실천에서 응용되는 학문에는 정신분석학, 심리학, 사회학, 문화. 인류학, 정치학, 법...
[교육사회학] 사회화를 담당하는 사회집단으로서 가족, 교우 집단, 학교, 지역사회 중 한 ...
[사회학개론] 일탈과 사회통제에서 벌어지는 많은 사회문제들의 뉴스를 검색하여 원인을 분석...
[교육사회학] 수월성교육과 평등화교육 중 본인이 찬성하는 교육의 정책을 교육평등의 이론적...
방통대 중간과제 인간과 사회 A형 쓰레기, 반갑지 않은 문명의 그림자 -사회학적 상상력과 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