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체액
2. 혈액의 조성과 성질
3. 순환계의 일반적 양식
4. 심장의 기능
5. 말초순환
6. 심장혈관 작용의 조절(심장박동의 보조조절)
2. 혈액의 조성과 성질
3. 순환계의 일반적 양식
4. 심장의 기능
5. 말초순환
6. 심장혈관 작용의 조절(심장박동의 보조조절)
본문내용
는 세동맥 저항 증가): 조직공간으로의 조직액의 여과(방출) 감소→조직공간의 팽대 감소
③ 혈액 속의 단백질 농도저하(장시간 단백질 결핍): 교질 삼투압 감소→조직 액의 여과량 증가 및 재흡수량의 감소→ 조직액이 조직공간에 축적(부종)
④ 혈액 속의 단백질 농도증가: 교질삼투압 증가→조직액이 조직공간에서 빠 져 나감.
⑤ 세정맥의 압력증가: 조직액 재흡수 방해→조직액이 조직공간에 축적(부종)
2) 모세혈관을 이루고 있는 상피세포 사이에 작은 구멍들이 존재: 어느 정도의 단백질이 방출됨.
cf. 조직액의 구성성분: 혈장과 비슷, 단백질 포함(혈장보다는 작은 양, 삼투압 발생. 25mmHg, 주로 알부민)
cf. 혈류속도: 혈관의 총단면적에 반비례
예) 대동맥 총단면적 2.5cm2 혈류속도 33cm/sec,
모세혈관 총단면적 대동맥의 800배 혈류속도 대동맥의 1/800 0.1cm/sec
<혈압>
* 혈액의 순환에 따라 혈관벽이 받는 힘.
* 보통 동맥의 압력 측정: 왼쪽 윗 팔뚝의 동맥을 찌부리는데 필요한 외부압력 을 측정.
* 재는 위치, 재는 사람, 생리적 상태, 재는 시간 등에 따라 차이
* 심실수축시 최대: 수축압(systolic pressure 120∼140mmHg)
* 심실이완시 최소: 이완압(diastolic pressure 75∼90mmHg)
* 맥압=수축압-이완압
cf. 시간에 따른 인체의 변화: 신발(밤), 신장(아침)
<림프계>
1) 기능
① 조직액을 혈류로 되돌림: 유용한 혈장단백질을 혈액으로 되돌려 보냄
(지방분자들도)
* 모세혈관으로 들어가는 혈장의 1/3∼2/3가 조직공간으로 방출됨. 대부분은 모세혈관의 정맥 끝에서 회수. 일부(혈청 단백질량이 풍부한 것)는 모세림프 관(가는 혈관)에 의하여 회수됨.
cf. 모세림프관: 엉성하게 짜여져 있어 혈관벽에 구멍이 많음. 거대한 단백질도 쉽게 통과. 단백질(혈장의 1/2정도)을 함유한 림프액이 혈액속 으로 되돌아감.
예) 유미관→왼쪽 림프관(몸의 왼쪽 거의 전부, 소화관, 몸 아랫쪽 림프액) →흉관→왼쪽 쇄골하정맥
유미관→오른쪽 림프관(머리, 목, 가슴의 오른쪽에서 생긴 림프액)→우 측 쇄골하 정맥
② 감염과 싸우는 것을 도움(림프구와 단구를 만듬)
③ 여과작용을 통해 체액으로부터 미생물, 암세포 등을 제거
2) 이동: 정맥혈과 비슷한 방법. 근육운동, 판막존재. 100㎖/hr
* 림프액의 정상적 생성과 흐름 방해:
* 모세혈관의 혈압증가, 혈장단백질의 감소→림프액의 과잉생성→림프액의 조 직 속 축적→조직의 부종.
* 림프관의 파괴: 열대지방 사상충의 감염에 의함→부종→팔다리의 감염부위가 매우 굵어짐→상피병(elephantiasis)
<림프절>
* 림프액이 흘러 들어오는 많은 공동 포함
(작은 림프관이 합쳐져 큰 덩어리 형성)
* 공동의 내면 벽세포: 림프액 속의 이물질 입자를 삼키는 내포운동세포 존재. → 혈액을 세균의 침입으로부터 방어(서혜부, 겨드랑이, 복부, 목)
* 심한 감염시 가래톳
<콩팥에 의한 혈압조절>
* 혈압저하→콩팥에서 renin 분비(단백질 분해효소)→
혈장단백질인 angiotensinogen을 angiotensinⅠ(10개의 aa)으로→
혈장의 peptidase에 의해 angiotensinⅠ이 angiotensinⅡ(8개의 aa)로→ angiotensinⅡ가 소동맥 근육수축→모세혈관 조직이 닫힘→
혈액회수량 증가→혈압상승
* angiotensinⅡ가 부신피질을 자극, aldosterone분비를 촉진→
공팥세뇨관에 작용, Na+ 재흡수 촉진→물, 산 재흡수→혈액량, 혈압 정상 유지
6. 심장혈관 작용의 조절(심장박동의 보조조절)
1) 순환계에 대한 화학물질의 영향(신경전달물질)
(1) 부교감신경(억제신경): 음성주기변동효과
* 아세틸콜린 분비
* 심장수축의 빈도와 강도를 감소시킴
* (심방에서 심실로의 전도속도를 감소시킴)
* 농도가 높을 때 방실결절을 통한 전달을 차단시킴.
* 2∼3개의 흥분 중 1개만 전달시킴(심방 2∼3회 수축, 심실 1회 수축)→
* 심실의 임시적 박동원 동작→심방과 심실이 서로 다른 박동원에 의하여 조절 됨→박동원이 조화되지 못함.
(2) 교감신경(촉진신경: acceleratory nerve): 양성조절 기작
* norepinephrine, epinephrine 분비: 심방박동율과 수축력 증가(속도와 강도), * 방실 결절을 통한 전도속도를 증가시킴→ 혈관수축을 일으킴. 동맥혈압과 심 박출량이 현저히 증가
2) 순환계에 대한 중추신경계의 영향
(1)압수용기(압력수용기):
* 동맥계에 많이 분포(경동맥, 동맥궁, 쇄골하동맥, 폐동맥 등)
* 경동맥수용기가 가장 잘 알려짐.
* 혈압이 정상수준 이상일 때 흥분을 수질로 전달→미주신경→심장박동과 혈압 감소
cf. 미주신경:
* 부교감콜린효능성 섬유. 정맥, 동맥, 방실결절을 신경지배.
* 정상적 생리 조건하에서는 정전기적 방전상태로 있다가 혈관벽이 신장(혈압 상승)됨에 따라 방전빈도가 증가됨→심박출량 감소→동맥의 혈압을 감소시 킴→동맥의 혈압이 감소되면 압력수용기의 방전도가 감소→심박출량 증가→ 동맥의 혈압상승
cf. 겨울잠 고슴도치: 맥박 1분당 188회에서 21회로 호흡횟수는 1분에 40∼50회 에서 2∼5회로 줄어듬. 혈당량은 거의 절반수준으로, 체온 은 외부보다 약간 높은 정도.
(2) 동맥의 화학수용기
* 혈관내 탄산가스 증가(또는 산소의 감소), 심장근의 긴장, 체온증가, pH 감소 에 민감: 박동율 증가
* 세포외액의 K+ 과잉: 휴지막전위 감소→심장이 극히 약하고, 이완되게 하며, 심장박동율을 느리게. 정상의 2∼3배시 죽음.
* Ca2+의 과다: 심장의 경련적 수축
* histamine: 감염이나 손상된 부위에서 분비. 동맥확장, 혈류량 증가→부종, 홍조, 가려움증
* 공포, 격렬한 운동시 심장박동 180회, 25∼30ℓ/min
* 이산화탄소증가→경동맥과 대동맥의 이산화탄소 수용체 자극→수질에 전 달→촉진신경자극→심장에 전달→심박동율, 수축력 증가
* 근육펌프에 의하여 혈액이 우심방에 집중→심장벽에 있는 신장수용기 자 극→수질→심장에 전달→심박동율, 수축력 증가.
③ 혈액 속의 단백질 농도저하(장시간 단백질 결핍): 교질 삼투압 감소→조직 액의 여과량 증가 및 재흡수량의 감소→ 조직액이 조직공간에 축적(부종)
④ 혈액 속의 단백질 농도증가: 교질삼투압 증가→조직액이 조직공간에서 빠 져 나감.
⑤ 세정맥의 압력증가: 조직액 재흡수 방해→조직액이 조직공간에 축적(부종)
2) 모세혈관을 이루고 있는 상피세포 사이에 작은 구멍들이 존재: 어느 정도의 단백질이 방출됨.
cf. 조직액의 구성성분: 혈장과 비슷, 단백질 포함(혈장보다는 작은 양, 삼투압 발생. 25mmHg, 주로 알부민)
cf. 혈류속도: 혈관의 총단면적에 반비례
예) 대동맥 총단면적 2.5cm2 혈류속도 33cm/sec,
모세혈관 총단면적 대동맥의 800배 혈류속도 대동맥의 1/800 0.1cm/sec
<혈압>
* 혈액의 순환에 따라 혈관벽이 받는 힘.
* 보통 동맥의 압력 측정: 왼쪽 윗 팔뚝의 동맥을 찌부리는데 필요한 외부압력 을 측정.
* 재는 위치, 재는 사람, 생리적 상태, 재는 시간 등에 따라 차이
* 심실수축시 최대: 수축압(systolic pressure 120∼140mmHg)
* 심실이완시 최소: 이완압(diastolic pressure 75∼90mmHg)
* 맥압=수축압-이완압
cf. 시간에 따른 인체의 변화: 신발(밤), 신장(아침)
<림프계>
1) 기능
① 조직액을 혈류로 되돌림: 유용한 혈장단백질을 혈액으로 되돌려 보냄
(지방분자들도)
* 모세혈관으로 들어가는 혈장의 1/3∼2/3가 조직공간으로 방출됨. 대부분은 모세혈관의 정맥 끝에서 회수. 일부(혈청 단백질량이 풍부한 것)는 모세림프 관(가는 혈관)에 의하여 회수됨.
cf. 모세림프관: 엉성하게 짜여져 있어 혈관벽에 구멍이 많음. 거대한 단백질도 쉽게 통과. 단백질(혈장의 1/2정도)을 함유한 림프액이 혈액속 으로 되돌아감.
예) 유미관→왼쪽 림프관(몸의 왼쪽 거의 전부, 소화관, 몸 아랫쪽 림프액) →흉관→왼쪽 쇄골하정맥
유미관→오른쪽 림프관(머리, 목, 가슴의 오른쪽에서 생긴 림프액)→우 측 쇄골하 정맥
② 감염과 싸우는 것을 도움(림프구와 단구를 만듬)
③ 여과작용을 통해 체액으로부터 미생물, 암세포 등을 제거
2) 이동: 정맥혈과 비슷한 방법. 근육운동, 판막존재. 100㎖/hr
* 림프액의 정상적 생성과 흐름 방해:
* 모세혈관의 혈압증가, 혈장단백질의 감소→림프액의 과잉생성→림프액의 조 직 속 축적→조직의 부종.
* 림프관의 파괴: 열대지방 사상충의 감염에 의함→부종→팔다리의 감염부위가 매우 굵어짐→상피병(elephantiasis)
<림프절>
* 림프액이 흘러 들어오는 많은 공동 포함
(작은 림프관이 합쳐져 큰 덩어리 형성)
* 공동의 내면 벽세포: 림프액 속의 이물질 입자를 삼키는 내포운동세포 존재. → 혈액을 세균의 침입으로부터 방어(서혜부, 겨드랑이, 복부, 목)
* 심한 감염시 가래톳
<콩팥에 의한 혈압조절>
* 혈압저하→콩팥에서 renin 분비(단백질 분해효소)→
혈장단백질인 angiotensinogen을 angiotensinⅠ(10개의 aa)으로→
혈장의 peptidase에 의해 angiotensinⅠ이 angiotensinⅡ(8개의 aa)로→ angiotensinⅡ가 소동맥 근육수축→모세혈관 조직이 닫힘→
혈액회수량 증가→혈압상승
* angiotensinⅡ가 부신피질을 자극, aldosterone분비를 촉진→
공팥세뇨관에 작용, Na+ 재흡수 촉진→물, 산 재흡수→혈액량, 혈압 정상 유지
6. 심장혈관 작용의 조절(심장박동의 보조조절)
1) 순환계에 대한 화학물질의 영향(신경전달물질)
(1) 부교감신경(억제신경): 음성주기변동효과
* 아세틸콜린 분비
* 심장수축의 빈도와 강도를 감소시킴
* (심방에서 심실로의 전도속도를 감소시킴)
* 농도가 높을 때 방실결절을 통한 전달을 차단시킴.
* 2∼3개의 흥분 중 1개만 전달시킴(심방 2∼3회 수축, 심실 1회 수축)→
* 심실의 임시적 박동원 동작→심방과 심실이 서로 다른 박동원에 의하여 조절 됨→박동원이 조화되지 못함.
(2) 교감신경(촉진신경: acceleratory nerve): 양성조절 기작
* norepinephrine, epinephrine 분비: 심방박동율과 수축력 증가(속도와 강도), * 방실 결절을 통한 전도속도를 증가시킴→ 혈관수축을 일으킴. 동맥혈압과 심 박출량이 현저히 증가
2) 순환계에 대한 중추신경계의 영향
(1)압수용기(압력수용기):
* 동맥계에 많이 분포(경동맥, 동맥궁, 쇄골하동맥, 폐동맥 등)
* 경동맥수용기가 가장 잘 알려짐.
* 혈압이 정상수준 이상일 때 흥분을 수질로 전달→미주신경→심장박동과 혈압 감소
cf. 미주신경:
* 부교감콜린효능성 섬유. 정맥, 동맥, 방실결절을 신경지배.
* 정상적 생리 조건하에서는 정전기적 방전상태로 있다가 혈관벽이 신장(혈압 상승)됨에 따라 방전빈도가 증가됨→심박출량 감소→동맥의 혈압을 감소시 킴→동맥의 혈압이 감소되면 압력수용기의 방전도가 감소→심박출량 증가→ 동맥의 혈압상승
cf. 겨울잠 고슴도치: 맥박 1분당 188회에서 21회로 호흡횟수는 1분에 40∼50회 에서 2∼5회로 줄어듬. 혈당량은 거의 절반수준으로, 체온 은 외부보다 약간 높은 정도.
(2) 동맥의 화학수용기
* 혈관내 탄산가스 증가(또는 산소의 감소), 심장근의 긴장, 체온증가, pH 감소 에 민감: 박동율 증가
* 세포외액의 K+ 과잉: 휴지막전위 감소→심장이 극히 약하고, 이완되게 하며, 심장박동율을 느리게. 정상의 2∼3배시 죽음.
* Ca2+의 과다: 심장의 경련적 수축
* histamine: 감염이나 손상된 부위에서 분비. 동맥확장, 혈류량 증가→부종, 홍조, 가려움증
* 공포, 격렬한 운동시 심장박동 180회, 25∼30ℓ/min
* 이산화탄소증가→경동맥과 대동맥의 이산화탄소 수용체 자극→수질에 전 달→촉진신경자극→심장에 전달→심박동율, 수축력 증가
* 근육펌프에 의하여 혈액이 우심방에 집중→심장벽에 있는 신장수용기 자 극→수질→심장에 전달→심박동율, 수축력 증가.
추천자료
CAVH(continuous arterio venous hemofiltration) 환자간호
해양환경의 생태 요인
면역과 면역반응
임상정상치
울혈성 심부전(CHF; Congestive Heart Failure)
투석(복막투석, 혈액투석) 레포트
신경계 CNS, PNS, ANS의 구조 및 특징 신경학적 검사
정맥주사에대해서
CRRT(지속적 신대체 요법)
췌장(pancreas)과 급성췌장염(Acute Pancreatitis)에 대한 문헌고찰
[성인간호학] RCC (Renal cell carcinoma :신장세포암) 케이스
[신부전증] 신부전의 종류 - 급성신부전과 만성신부전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사요법(식이...
빈혈의 증상과 식이요법(출혈성 빈혈, 거대적아구성 빈혈, 철결핍성 빈혈, 용혈성 빈혈, 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