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문제

Ⅱ. 이론적 배경
1. 통합교육의 효과
2. 청각장애 유아의 특성
3. 청각장애 유아의 의사소통 신장을 위한 청능훈련의 중요성
4. 어음변별력 신장을 위한 청능훈련의 중요성
5. 청능훈련 프로그램의 선행연구고찰

Ⅲ. 연구 방법
1. 검사 도구
2. 청능훈련 프로그램의 구성

Ⅳ. 결과 및 해석
1. 어음변별력 향상을 위한 청능훈련 프로그램 효과
2. 의사소통 개선을 위한 청능훈련 프로그램 효과

Ⅳ. 결론 및 제언
Ⅰ. 결론
Ⅱ. 제 언

본문내용

.0%
대상 2
3/30
10.0%
19/30
63.3%
22/30
73.3%
대상 3
5/30
16.7%
14/30
46.7%
16/30
53.3%
표에 의하면 프로그램 실시전에 비하여 프로그램 실시 후 일반유아의 질문에 대한 이해점수가 연구대상자 전원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2) 청각장애 유아가 일반교사의 질문을 듣고 이해하여 방응하기 결과
일반교사의 질문에 대한 청각장애 유아의 말 이해도
점수
대상
사전 검사
사후 검사
차후 검사
정반응개수
백분율
정반응개수
백분율
정반응개수
백분율
대상 1
0/30
0%
3/30
10.0%
3/30
10.0%
대상 2
4/30
13.3%
26/30
86.6%
28/30
93.3%
대상 3
10/30
33.3%
16/30
53.3%
18/30
60.0%
표에 의하면 프로그램 실시전에 비하여 프로그램 실시 후 일반교사의 질문에 대한 이해점수가 연구대상 유아 모두 높게 나타났다.
2) 청각장애 유아의 질문에 상대방이 듣고 이해하여 반응하기 결과
(1) 청각장애 유아의 질문에 일반유아가 듣고 이해하여 반응하기
청각장애 유아의 질문에 대한 일반유앙의 말 이해도
점수
대상
사전 검사
사후 검사
차후 검사
정반응개수
백분율
정반응개수
백분율
정반응개수
백분율
대상 1
0/30
0%
9/30
30.0%
9/30
30.0%
대상 2
4/30
13.3%
25/30
83.3%
28/30
93.3%
대상 3
8/30
26.7%
20/30
66.7%
22/30
73.3%
표에 의하면 프로그램 실시전에 비하여 프로그램 실시 후 청각장애 유아의 질문에 대한 일반유아의 말 이해 점수가 연구대상 유아 모두 높게 나타났다.
(2) 청각장애 유아의 질문에 일반교사가 듣고 이해하여 반응하기 결과
청각장애 유아의 질문에 대한 일반교사의 말 이해도
점수
대상
사전 검사
사후 검사
차후 검사
정반응개수
백분율
정반응개수
백분율
정반응개수
백분율
대상 1
5/30
16.7%
12/30
40.0%
15/30
50.0%
대상 2
15/30
50.0%
28/30
93.3%
30/30
100.0%
대상 3
17/30
56.7%
24/30
80.0%
26/30
86.6%
표에 의하면 프로그램 실시전에 비하여 프로그램 실시 후 청각장애 유아의 질문에 대한 일반교사의 말 이해 점수가 연구대상 유아 모두 높게 나타났다.
Ⅳ. 결론 및 제언
Ⅰ. 결론
첫째, 청능훈련 프로그램을 적용시킨 결과 연구대상 유아 모두 어음변별력이 향상되었다.
1. 최중도 청각장애 유아는 연구 대상 유아 중에서 청능 훈련 프로그램 진전 속도가 가장 느리며, 어음 변별 개선도도 낮게 나타났으며, 훈련 종료 후에도 청능 훈련 효과가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어음 변별 검사결과 분석에 의하면 모음이 다른 어휘의 변별에서만 개선을 보였다.
2. 인고와우 수술을 한 유아는 연구 대상 유아 중에서 청능 훈련 프로그램 진전 속도가 가장 빠르며, 어음 벼별 개선도도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훈련 종료 후에도 어음 변별도가 계속 향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음 변별 검사 결과 분석에서 보면, 모음이 다른 어휘의 변별은 거의 개선되고, 모음이 같고 자음이 다른 어휘 중에서 특히 비음과 구읍의 차이 마찰음의 변별에서 개선 되었다.
3. 부모가 모두 청각장애자인 가족성 청각 장애 유아는 어음 변별에서 개선도가 청력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훈련 종료후 어음 변별력이 유지되고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어음 변별 검사결과 분석에 의하면 모음이 다른 어휘의 변별에서 많은 개선을 보였으나, 모음이 같은 자음의 변별은 곤란함을 볼 수 있다.
둘째, 청능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 시킨 결과 연구 대상 유아 모두 의사 소통 능력이 향상되었다.
1. 연구 대상 유아가 일반 유아의 말을 알아듣는 것(질문에 답하기)에 대한 말 이해력은 연구 대상 유아 모두가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2. 연구 대상 유아가 일반 교사의 말을 알아듣는 것(질문에 답하기)에 대한 말 이해력은 연구대상 유아 모두가 향상되는 효과를 타나내었다.
일반 유아나 일반 교사의 질문을 알아듣는 말 이해력은 일반 유아보다는 일반교사의 질문을 더 잘 이해하고 알아들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일반 유아가 연구대상 유아의 말을 알아듣는 것(질문하기)에 대한 말 전달력은 연구대상 유아 모두가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4. 일반 교사들이 연구대상 유아의 말을 알아 듣는 것(질문하기)에 대한 말 전달력은 연구대상 유아 모두가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일반 유아나 일반 교사가 연구대상 유아의 질문을 알아듣는 말 전달력은 일반 교사가 더 잘 이해하고 알아듣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인공 와우이식 수술을 했던 연구대상 유아의 경우에 다른 연구대상 유아보다 통합교육 환경에서 자연스런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Ⅱ. 제 언
첫째. 인공와우 수술을 한 유아의 어음 변별력과 의사소통 능력 향상이 가장 현저하게 나타났다.
둘째, 부모가 청각 장애자인 경우도 청능훈련 프로그램 적용으로 어음변별력과 의사소통 능력에 향상을 가져 왔지만 더 높은 개선을 위하여 언어 환경조성을 위해 부모외의 정상인 가족이 돌보아 주는 것과 조기에 일반 유치원으로 통합을 권장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연구대상 유아 모두가 일반 유아 보다는 일반 교사의 말 이해도와 말 전달에 영향력이 컸다. 따라서 청각장애 유아의 성공적인 통합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반 유치원 교사에게 청각장애 유아의 언어적 심리적 특성의 이해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고 할 수 잇다.
따라서 일반 유치원 교사에게 장애유아에 관한 전문적인 연수기회의 확대와 대학 유아교육 과정 속에 장애유아 이해에 관한 전문 과목들이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연구대상 유아3의 경우 청각장애인 부모를 가졌지만 조기 교육으로 어음 변별력과 의사소통능력에 향상을 가져왔다.
청각장애 유아의 발견 시기는 생후 1년 이내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발견과 동시에 조기 교육과 조기 청각활용이 되도록 법적 조치가 이루어져야 하며, 조기 청각활용 위하여 인공와우 수술과 보청기의 무상 지급에 대해 국가에서 적극적인 지원이 조속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5.03.27
  • 저작시기2005.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0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