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생각해 보자. 대학입시에 떨어졌을 때, 취업이 안 될 때, 사업에 실패했을 때, 좋아하는 사람이 마음을 받아주지 않을 때 등 말이다. 어떤 일이 내 마음대로 내 뜻대로 되지 않으면 우리는 많은 고통을 느낀다.
그리고 이러한 고통이 반복되면 쉽게 비관(悲觀)에 빠지거나 우울증에 빠지기도 한다. 이처럼 누구나 한 번쯤은 세상일이 내 마음과 같지 않다는 사실에 불만을 토로해 본 적이 있을 것이라고 우리는 보고 있다.
19세기 가장 유명한 철학자 중 한 명인 쇼펜하우어 역시 사는 것은 고통이라고
분명하게 말한다. 쇼펜하우어는 인생과 세계의 본질이 고통임을 깨달은 후, 삶의 고통이 어디에서 비롯되고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를 사유하는 데 한평생을
바친 것으로 유명하다.
당시 그의 哲學은 당시 사람들에게 많은 공감을 일으켰을 뿐 아니라 이후 니체 같은 철학자와 프로이트 같은 심리학자 등 당대 최고의 인물들에게도 지대한 “
影向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쇼펜하우어만 그렇게 느낀 것이 아니라 어느 시대를 살아가는 누구라도 사는 게 쉽다고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적어도 내 주변에서 그런 사람을 본 적이 없다.
이처럼 쇼펜하우어의 시대와 별반 다르지 않게 現在를 향유하는 우리의 인생 또한 결코 만만치 않다. 특히나 복잡한 이해관계와 이기심, 탐욕으로 얼룩진 昨今 시대는 우리 인간들로 하여금 무엇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지 잊은 채 쫓기듯 일상을 살아가게 만들고 있다.
인생이 고통인 이유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인생이 잘 풀린다고 해도 결국 인생을 고통스럽게 만들 요소가 常存하기 때문이다. 쇼펜하우어는 설령 모든 일이 뜻대로 이루어져도 인생이 고통이라고 본다.
다시 말해 모든 일이 뜻대로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평온한 幸福感을 느끼기 보다는 오히려 권태(倦怠)를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부족함이 없어 보이는 유명인사들이 마약이나 도박, 성추행 등으로 언론에 오르내리는 것을 보면 우리는 이를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한순간에 추락하는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권태이다.
서양의 전통 철학은 인간을 이성적 동물로 정의해 왔다. 그러나 쇼펜하우어는 이러한 정의에 반기를 들면서 인간을 욕망의 존재로 보고 있다. 인간의 욕망은 아무리 채워도 채울 수 없는 밑빠진 독과 같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성을 통해서 욕망을 제어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성인(聖人)이 아닌 일반적 인간은 욕망에 이끌려 살아간다. 이성은 욕망의 노예에 불과할 때가 많은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현명한 사람은 강렬한 쾌락보다는 차라리 고통이 없기를 바란다.
유명한 강연자이자 종교인인 법륜 스님 역시 진정한 행복은 고통이 없는 삶이라고 이야기 하시고는 한다.
많은 재산이나 높은 지위나 큰 부귀영화는 뭇사람들이 원하는 것이기에 큰 재앙이 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이러한 성공을 쟁취하게 되면 우리는 권태에 빠지기 쉬우며 이는 또 하나의 고통이 되는 것이다.
사실 우리 인간은 사는 것이 고통스럽다고 항상 생각하면서도 실제로 왜 우리가 힘든지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지는 못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한국 같은 경쟁 사회에서는 하루하루 살아남기가 힘들다 보니 더 그런 여유를 갖지 못하는 것
같다.
그리고 이러한 고통이 반복되면 쉽게 비관(悲觀)에 빠지거나 우울증에 빠지기도 한다. 이처럼 누구나 한 번쯤은 세상일이 내 마음과 같지 않다는 사실에 불만을 토로해 본 적이 있을 것이라고 우리는 보고 있다.
19세기 가장 유명한 철학자 중 한 명인 쇼펜하우어 역시 사는 것은 고통이라고
분명하게 말한다. 쇼펜하우어는 인생과 세계의 본질이 고통임을 깨달은 후, 삶의 고통이 어디에서 비롯되고 어떻게 극복할 것인지를 사유하는 데 한평생을
바친 것으로 유명하다.
당시 그의 哲學은 당시 사람들에게 많은 공감을 일으켰을 뿐 아니라 이후 니체 같은 철학자와 프로이트 같은 심리학자 등 당대 최고의 인물들에게도 지대한 “
影向을 미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쇼펜하우어만 그렇게 느낀 것이 아니라 어느 시대를 살아가는 누구라도 사는 게 쉽다고 말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 적어도 내 주변에서 그런 사람을 본 적이 없다.
이처럼 쇼펜하우어의 시대와 별반 다르지 않게 現在를 향유하는 우리의 인생 또한 결코 만만치 않다. 특히나 복잡한 이해관계와 이기심, 탐욕으로 얼룩진 昨今 시대는 우리 인간들로 하여금 무엇이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지 잊은 채 쫓기듯 일상을 살아가게 만들고 있다.
인생이 고통인 이유 중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인생이 잘 풀린다고 해도 결국 인생을 고통스럽게 만들 요소가 常存하기 때문이다. 쇼펜하우어는 설령 모든 일이 뜻대로 이루어져도 인생이 고통이라고 본다.
다시 말해 모든 일이 뜻대로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평온한 幸福感을 느끼기 보다는 오히려 권태(倦怠)를 느끼게 된다는 것이다. 부족함이 없어 보이는 유명인사들이 마약이나 도박, 성추행 등으로 언론에 오르내리는 것을 보면 우리는 이를 이해할 수 있다. 이렇게 한순간에 추락하는 이유 중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권태이다.
서양의 전통 철학은 인간을 이성적 동물로 정의해 왔다. 그러나 쇼펜하우어는 이러한 정의에 반기를 들면서 인간을 욕망의 존재로 보고 있다. 인간의 욕망은 아무리 채워도 채울 수 없는 밑빠진 독과 같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성을 통해서 욕망을 제어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성인(聖人)이 아닌 일반적 인간은 욕망에 이끌려 살아간다. 이성은 욕망의 노예에 불과할 때가 많은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현명한 사람은 강렬한 쾌락보다는 차라리 고통이 없기를 바란다.
유명한 강연자이자 종교인인 법륜 스님 역시 진정한 행복은 고통이 없는 삶이라고 이야기 하시고는 한다.
많은 재산이나 높은 지위나 큰 부귀영화는 뭇사람들이 원하는 것이기에 큰 재앙이 될 수 있다. 또한 앞에서도 이야기 했듯이 이러한 성공을 쟁취하게 되면 우리는 권태에 빠지기 쉬우며 이는 또 하나의 고통이 되는 것이다.
사실 우리 인간은 사는 것이 고통스럽다고 항상 생각하면서도 실제로 왜 우리가 힘든지에 대해서 깊이 생각하지는 못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한국 같은 경쟁 사회에서는 하루하루 살아남기가 힘들다 보니 더 그런 여유를 갖지 못하는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