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내용요약
3. 공교육의 출현
4. 논평 및 의문점
5. 결론
2. 내용요약
3. 공교육의 출현
4. 논평 및 의문점
5. 결론
본문내용
는 여성이 감수한다.
UN의 1989년 조사 : "World Survey on the Role of Women in Development"
남성보다는 여성이 먼저 교육 기회를 포기하도록 강요받는 것이다. 이것은 어쩌면 당연한 이치로 받아들여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연적인 상태가 아닌 산업국가의 상황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몇 배나 큰 사망 요인을 가지게 된다. 가사에 대한 스트레스, 임신과 육아 등이 그것이다. 게다가 여성 교육 기회 감소에 따른 귀결로 여성 고용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출산율을 증가시키며, 보건 지식의 미확충으로 인해 산모의 사망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런 사실들은 분명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간과되어온 부분이 아닐 수 없다.
5. 결론
교육사회학적인 관점에서 경제 구조조정은 교육에 지대하고도 확실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얼핏 보면 경제의 문제가 교육을 좌지우지 한다는 것이 무척이나 마땅찮아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심각한 사실이다. 지금도 우리나라 곳곳의 대학가에서는 학생들이 교육투쟁을 전개하며 대학교육에 경제학적인 잣대가 대어지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98년 외환 위기를 계기로 교육에 있어 재정 중심의 구조조정이 밀어닥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몇 푼의 등록금을 위해서가 아닌 이 나라의 경제 구조, 공교육의 허점, 장기적인 대응을 인식하며 교육 투쟁에 임해야 한다.
이 책은 그런 점에서 대학생들, 그 중에서도 사범대 학생들이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독도서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나름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독재 정권이 쌓아 올린 우리나라의 공교육이 여러 가지 맹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밖에도 IMF를 비롯한 세계은행들의 움직임과 경향, 교육 구조조정에서 간과되기 쉬운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를 놓쳐서는 아니 된다. 이 책은 시대상황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지금 읽기에는 조금 늦은 감이 있고, 또한 논문을 번역한 내용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적인 부분에서 부족한 점이 없지는 않다. 그럼에도 이 책이 교육의 사회적 관점에서 우리에게 던져주는 시사점은 의외로 크다.
참고 도서
윤정일·문용린·한승희 편역 『IMF 구조조정과 교육』, 하우, 1998
김덕영, 『동아시아 경제론』, 해남, 2004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4
이홍우, 『교육의 목적과 난점』, 교육과학사, 2002
UN의 1989년 조사 : "World Survey on the Role of Women in Development"
남성보다는 여성이 먼저 교육 기회를 포기하도록 강요받는 것이다. 이것은 어쩌면 당연한 이치로 받아들여지는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자연적인 상태가 아닌 산업국가의 상황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몇 배나 큰 사망 요인을 가지게 된다. 가사에 대한 스트레스, 임신과 육아 등이 그것이다. 게다가 여성 교육 기회 감소에 따른 귀결로 여성 고용이 감소하게 되는데 이는 출산율을 증가시키며, 보건 지식의 미확충으로 인해 산모의 사망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런 사실들은 분명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간과되어온 부분이 아닐 수 없다.
5. 결론
교육사회학적인 관점에서 경제 구조조정은 교육에 지대하고도 확실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얼핏 보면 경제의 문제가 교육을 좌지우지 한다는 것이 무척이나 마땅찮아 보인다. 그러나 이것은 심각한 사실이다. 지금도 우리나라 곳곳의 대학가에서는 학생들이 교육투쟁을 전개하며 대학교육에 경제학적인 잣대가 대어지는 것을 거부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1998년 외환 위기를 계기로 교육에 있어 재정 중심의 구조조정이 밀어닥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은 몇 푼의 등록금을 위해서가 아닌 이 나라의 경제 구조, 공교육의 허점, 장기적인 대응을 인식하며 교육 투쟁에 임해야 한다.
이 책은 그런 점에서 대학생들, 그 중에서도 사범대 학생들이 반드시 읽어야 하는 필독도서가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나름의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특히 독재 정권이 쌓아 올린 우리나라의 공교육이 여러 가지 맹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누구도 부인할 수 없을 것이다. 이밖에도 IMF를 비롯한 세계은행들의 움직임과 경향, 교육 구조조정에서 간과되기 쉬운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배려를 놓쳐서는 아니 된다. 이 책은 시대상황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지금 읽기에는 조금 늦은 감이 있고, 또한 논문을 번역한 내용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설명적인 부분에서 부족한 점이 없지는 않다. 그럼에도 이 책이 교육의 사회적 관점에서 우리에게 던져주는 시사점은 의외로 크다.
참고 도서
윤정일·문용린·한승희 편역 『IMF 구조조정과 교육』, 하우, 1998
김덕영, 『동아시아 경제론』, 해남, 2004
김신일, 『교육사회학』, 교육과학사, 2004
이홍우, 『교육의 목적과 난점』, 교육과학사,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