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序
2. 基本權 制限의 一般原則
3. 基本權의 例外的 制限
2. 基本權 制限의 一般原則
3. 基本權의 例外的 制限
본문내용
함.
ii) 相對的 區別設양자의 차이는 상대적인 것으로 특별권력관계는 일반국민으로서의 지위가 특수화 된 것에 불과하다 하며, 법치주의에 대한 상대적 제한만을 인정함.
iii) 區別否認設법치주의와 기본권을 보장하는 헌법 하에서 一般公權力과 구별되는 特別權力을 인정할 근거는 없으므로 法治主義가 당연히 적용되어야 한다고 함.
iv) 結 語특별권력관계의 존재의의는 특별한 행정목적의 수행을 위해 일반결합관계보다 강력한 결합관계가 필요하다는 점에 있음. 따라서 양자의 차이를 상대적인 것으로 볼 수도 있음.
그러나 특별권력관계이론의 남용은 법치주의의 이념에 위배되기 때문에 특별권력관계의 개념을 부인, 신분의 특수성에서 오는 기본권의 제한이라고 파악하여야 할 것임.
(다) 特殊身分關係와 基本權
절대적 기본권은 제한할 수 없지만 상대적 기본권에 대하여는 헌법 또는 법률의 근거 하에 특수신분관계를 설정한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하고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제한할 수 있을 것임. 特殊身分關係에 있어서 憲法에 의한 基本權 制限의 事例
- 군인 공무원의 기본권제한 - 영내거주, 제복착용, 군사법원의 재판, 국가배상의 이중배상 배제(제29조 2항)
- 공무원의 기본권제한 - 정당가입 정치활동 제한, 근로3권 제한 등
- 기타 - 수형자의 통신검열, 국공립학생의 정치활동 제한, 전염병환자의 격리수용 등
(라) 特殊身分關係와 司法的 統制
i) 學 說특수신분관계에 있어서의 행위에 대한 사법심사 여부에 관하여는 법률의 근거가 없는 한 부정하는 입장, 전면적으로 긍정하는 입장, 특수신분관계의 행위를 외부적 행위와 내부적 행위로 나누어 전자에 한정하여 긍정하는 입장 등으로 학설이 대립함.
ii) 結 語기본권 제한의 한계를 일탈하는 행위나 자유재량의 한계를 일탈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司法審査를 인정하여야 할 것임.
(4) 條約에 의한 制限
조약 및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는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지므로 법률과 같은 효력이 인정되는 제60조 1항에 열거된 조약 등에 의하여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을 것임(던, 제37조 2항의 요건은 당연히 적용됨).
(5) 憲法改正에 의한 制限
改憲으로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나, 개헌으로 기본권을 폐지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는 自然法 思想을 배경으로 하는 부정설, 法實證主義 思想에 다른 긍정설이 대립되는 바,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거나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는 개헌은 부정된다고 보아야 할 것임.
ii) 相對的 區別設양자의 차이는 상대적인 것으로 특별권력관계는 일반국민으로서의 지위가 특수화 된 것에 불과하다 하며, 법치주의에 대한 상대적 제한만을 인정함.
iii) 區別否認設법치주의와 기본권을 보장하는 헌법 하에서 一般公權力과 구별되는 特別權力을 인정할 근거는 없으므로 法治主義가 당연히 적용되어야 한다고 함.
iv) 結 語특별권력관계의 존재의의는 특별한 행정목적의 수행을 위해 일반결합관계보다 강력한 결합관계가 필요하다는 점에 있음. 따라서 양자의 차이를 상대적인 것으로 볼 수도 있음.
그러나 특별권력관계이론의 남용은 법치주의의 이념에 위배되기 때문에 특별권력관계의 개념을 부인, 신분의 특수성에서 오는 기본권의 제한이라고 파악하여야 할 것임.
(다) 特殊身分關係와 基本權
절대적 기본권은 제한할 수 없지만 상대적 기본권에 대하여는 헌법 또는 법률의 근거 하에 특수신분관계를 설정한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하고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제한할 수 있을 것임. 特殊身分關係에 있어서 憲法에 의한 基本權 制限의 事例
- 군인 공무원의 기본권제한 - 영내거주, 제복착용, 군사법원의 재판, 국가배상의 이중배상 배제(제29조 2항)
- 공무원의 기본권제한 - 정당가입 정치활동 제한, 근로3권 제한 등
- 기타 - 수형자의 통신검열, 국공립학생의 정치활동 제한, 전염병환자의 격리수용 등
(라) 特殊身分關係와 司法的 統制
i) 學 說특수신분관계에 있어서의 행위에 대한 사법심사 여부에 관하여는 법률의 근거가 없는 한 부정하는 입장, 전면적으로 긍정하는 입장, 특수신분관계의 행위를 외부적 행위와 내부적 행위로 나누어 전자에 한정하여 긍정하는 입장 등으로 학설이 대립함.
ii) 結 語기본권 제한의 한계를 일탈하는 행위나 자유재량의 한계를 일탈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司法審査를 인정하여야 할 것임.
(4) 條約에 의한 制限
조약 및 일반적으로 승인된 국제법규는 국내법과 같은 효력을 가지므로 법률과 같은 효력이 인정되는 제60조 1항에 열거된 조약 등에 의하여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을 것임(던, 제37조 2항의 요건은 당연히 적용됨).
(5) 憲法改正에 의한 制限
改憲으로 기본권을 제한할 수 있을 것이나, 개헌으로 기본권을 폐지할 수 있는지에 관하여는 自然法 思想을 배경으로 하는 부정설, 法實證主義 思想에 다른 긍정설이 대립되는 바, 인간의 존엄과 가치를 침해하거나 기본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는 개헌은 부정된다고 보아야 할 것임.
추천자료
노동삼권의 제한
국가배상법위헌시비에 대한 고찰과 국민의 기본권과 특별권력관계
건축법상 제3자보호문제와 기본권
[인터넷법률]정보사회 인터넷에서의 표현의 자유와 기본권 문제
미국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입법례
일본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입법례
외국의 공무원 노동기본권 입법례 연구
프랑스 공무원의 노동기본권 입법례
2011년 1학기 헌법의 기초 중간시험과제물 D형(기본권의침해와구제)
국가권력이 적극적으로 보장해야 할 기본권
교원(교사)의 권위, 교원(교사)의 전문성, 교원(교사)의 신분, 교원(교사)의 복지, 교원(교사...
2011년 2학기 기본권의기초이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채플과 종교의 자유)
[국세우선권][국세우선권 개요][국세우선권 이론][국세우선권 원칙][국세우선권 의의][국세우...
[국제인권]국제인권의 정의, 국제인권의 역사, 국제인권의 규범적 가치, 국제인권의 인권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