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 실험결과
6. 고 찰
6. 고 찰
본문내용
.(뜨거운 질산이 아닌 물로 세척함)
● 시각적 관찰에 의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의 부정확성.
(각 농도별 에탄올용액 제조시 넣었던 증류수와 95%에탄올 용액의 양
모세관의 상승높이측정, 모세관과 용액표면사이의 접촉각<-90°라 정함)
● 온도의 변화 (큰 영향을 주었으리라고 생각할 수는 없다. 온도가 상승을 해
야 표면장력값이 떨어지는데 실험실온도가 20°보다 낮으면 낮았지 높았을거
라고는 생각되어지지 않는다.
● 모세관의 내경문제(모세관의 상승높이 측정과 같이 가장 큰 오차원인이라 생
각된다.)
모세관의 내경같은 경우 너무 작았고, 또 모세관마다 그 내경의 길이가 다를
수도 있었다. 위의 실험에서는 0.01㎝의 크기도 결과값에 적지않은 영향을
준다. 많은 실험을 해보았지만 이번 실험과 같이 간단한 실험은 없었다. 하지
만, 간단한것에 비해 결과 분석은 매우 까다로운 실험이었다. 특히 측정기계
가 없는 상황에서 너무 작은 수치를 관찰하다보니 오차가 많이 생긴 것 같
다. 하지만, 이번 실험을 준비하고 직접 측정하고 결과를 분석하다보니 이전
에는 이해가 힘들었던 표면장력을 잘 알 수 있었다. 기회가 된다면 장력계를
이용한 표면장력도 측정해보고 싶다.
● 시각적 관찰에 의한 측정이 필요한 경우의 부정확성.
(각 농도별 에탄올용액 제조시 넣었던 증류수와 95%에탄올 용액의 양
모세관의 상승높이측정, 모세관과 용액표면사이의 접촉각<-90°라 정함)
● 온도의 변화 (큰 영향을 주었으리라고 생각할 수는 없다. 온도가 상승을 해
야 표면장력값이 떨어지는데 실험실온도가 20°보다 낮으면 낮았지 높았을거
라고는 생각되어지지 않는다.
● 모세관의 내경문제(모세관의 상승높이 측정과 같이 가장 큰 오차원인이라 생
각된다.)
모세관의 내경같은 경우 너무 작았고, 또 모세관마다 그 내경의 길이가 다를
수도 있었다. 위의 실험에서는 0.01㎝의 크기도 결과값에 적지않은 영향을
준다. 많은 실험을 해보았지만 이번 실험과 같이 간단한 실험은 없었다. 하지
만, 간단한것에 비해 결과 분석은 매우 까다로운 실험이었다. 특히 측정기계
가 없는 상황에서 너무 작은 수치를 관찰하다보니 오차가 많이 생긴 것 같
다. 하지만, 이번 실험을 준비하고 직접 측정하고 결과를 분석하다보니 이전
에는 이해가 힘들었던 표면장력을 잘 알 수 있었다. 기회가 된다면 장력계를
이용한 표면장력도 측정해보고 싶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