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들어가기
I
I. 인도 언어의 정치적 역사
III. 인도의 지정어
IV. 인도의 주(州) 재편성
V. 맺기
I
I. 인도 언어의 정치적 역사
III. 인도의 지정어
IV. 인도의 주(州) 재편성
V. 맺기
본문내용
것으로 나타나 이전의 46%에서 37%로 감소하는 현상을 보여준다. 국가 형성의 맥락에서 이러한 현상은 인위적이고 부자연스런 동질화 과정의 결과로 분석해 볼 수 있따.
독립 직후 마울라나 아자드(Maulana Azad)와 사르다르 빠뗄(Sardar Patel) 등은 인도의 결속을 유지하는 유일한 길은 중앙에 절대적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주장은 기본적으로 동질적 민족주의의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으로 네루 등은 복합적인 민족주의가 다양한 종교 언어 부족들에 의해 제기될 것으로 예견하였다. 어쨋든 정책은 각각의 문화 정체성을 인정하는 쪽보다는 통합과 동화의 정책이었다. 비록 다르 위원회(1948)가 언어를 기준으로 한 주의 편성을 반대하였지만 1953년 안드라 쁘라데시의 정치적 전개와 더불어 불가피한 일이 되었다. 분열을 두려워 하는 정치 지도자들은 아직도 언어를 기준으로 한 분리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에 있으며 따라서 소수어들의 주장은 순수하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결국 각 주에서의 소수어들은 중앙과 주의 정부에 의해 인정을 받지 못하는 형편에 있다. 실제로 지역어와 공용어가 강제되고 있으며 소수어 인정의 주장은 접수되지 않고 있다. 결국 언어 병용이 강요되고 병용이 일방적으로 소수어 사용자들에만 강요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소수어들이 사라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인도에서 반정도의 소수어 사용자들이 그들의 모어를 상실했거나 다른 언어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 Annamalai (1991:3-11) 참조.
인도의 사회 언어학적 지도는 언어를 바탕으로 한 주의 재편성 이후 크게 변화하였다. 대부분의 주들은 해당 지역에서 다수가 사용하는 언어를 주의 공용어로 선택하였다. 다만 동북 산악지역에 위치한 다수의 주들은 지배적인 언어가 없는 이유로 예외가 된다. 주의 재편성 과정에서 소수의 언어와 문화는 무시되었다. 언어를 기준으로 구성된 주에서 비공용어들은 단지 구어체의 언어나 방언 또는 민속 문화의 표현을 위한 매개어로 남아 있게 되었다. 이 언어들은 지역에서 교육이나 행정에서 제 기능을 갖고 있지 못하다. 주요 언어 사용자들은 소수어들을 단지 방언으로 격하시킴으로써 자신들을 최대의 언어 공동체로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인도의 사회 문화적 현상을 무시한 채 주요 언어를 기준으로 한 통합적인 방향으로의 주 재편성은 많은 소수 그룹들에게 인위적이고 강제적인 동질화를 요구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중앙 정부와 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주는 지역적 사회적 갈등을 야기시켰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 볼 때 언어를 기준으로 한 주 재편성은 적어도 지역내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대다수에게 동질감을 부여함으로써 지역 정체성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장점도 보여주고 있다.
V. 맺기
인도 독립 이후의 언어와 관련한 정치적 맥락을 지정어와 주 재편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언어 사회의 국가 형성에서 언어 문제는 정치적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고 사회와 지역의 정체성 확립에서도 종교 이상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인도의 정치 지도자들은 언어와 사회 및 지역의 정체성 관계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사회문화의 다원성을 인정하면서도 단일체적이고 통합적인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이에 따른 정치적 부담을 겪어 왔다. 합리적인 수준의 해결 방안들이 여러 각도에서 모색되었지만 정책 추진 과정에서 인도의 다원적 특성들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조화롭게 발전시키지는 못하였다. 다원적인 사회 문화 구조와 여러 집단들의 정치적 이해관계 등의 한계성을 넘어 서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힌디어를 비롯한 지정어들의 발전을 원만히 추진하는데 성공하지 못하였다. 인도 정부는 향후 공용어의 강력한 재추진과 동시에 영어 사용의 재검토, 그리고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지정어들의 조화로운 발전과 현실적인 소수어 보장 정책 추진 등 산적한 과제들을 남겨 놓고 있다.y
참고문헌
Annamalai, E. 1991 "Linguistic Dominance and Cultural Dominance: A Study of Tribal Bilingualism in India". International Journal of Dravidian Linguistics, Vol.XIX, Nos.2, 3-11.
Breton, R. 1997. Atlas of the Languages and Ethnic Communities of South Asia. New Delhi, Sage Publications.
Bose, Nirmal Kumar. 1959. Modern Bengal. Calcutta, Vidyodaya
Gandhi, M. K. 1936. "The Question of Hindi." Karnatak Hindi Convocation Address, Harijan June 27.
Jha, Shailjanand 1995. "Maithili Spearkers and the Eighth Schedule Mirage." in Gupta and Abbi eds. Language and the State. New Delhi , Creative Books. 206-210.
Krishnamurti, Bh. 1995. "Official Language Policies: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Eighth Schedule of the Constitution of India." In Gupta and Abbi eds. Language and the State. New Delhi , Creative Books. 8-23.
Kubchandani, Lachman M. 1997. Revisualizing Boundaries: A Plurilingual Ethos. New Delhi, Sage Publications.
Misra, Bal G. 1979. "Language Movements in the Hindi Region." in Annamalai E. ed. Language Movement in India. Mysore, Central Institute of Indian Languages. 70-79.
독립 직후 마울라나 아자드(Maulana Azad)와 사르다르 빠뗄(Sardar Patel) 등은 인도의 결속을 유지하는 유일한 길은 중앙에 절대적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라고 주장했으며 이러한 주장은 기본적으로 동질적 민족주의의 입장이라고 볼 수 있다. 한편으로 네루 등은 복합적인 민족주의가 다양한 종교 언어 부족들에 의해 제기될 것으로 예견하였다. 어쨋든 정책은 각각의 문화 정체성을 인정하는 쪽보다는 통합과 동화의 정책이었다. 비록 다르 위원회(1948)가 언어를 기준으로 한 주의 편성을 반대하였지만 1953년 안드라 쁘라데시의 정치적 전개와 더불어 불가피한 일이 되었다. 분열을 두려워 하는 정치 지도자들은 아직도 언어를 기준으로 한 분리주의에 반대하는 입장에 있으며 따라서 소수어들의 주장은 순수하게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결국 각 주에서의 소수어들은 중앙과 주의 정부에 의해 인정을 받지 못하는 형편에 있다. 실제로 지역어와 공용어가 강제되고 있으며 소수어 인정의 주장은 접수되지 않고 있다. 결국 언어 병용이 강요되고 병용이 일방적으로 소수어 사용자들에만 강요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은 소수어들이 사라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인도에서 반정도의 소수어 사용자들이 그들의 모어를 상실했거나 다른 언어로 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 Annamalai (1991:3-11) 참조.
인도의 사회 언어학적 지도는 언어를 바탕으로 한 주의 재편성 이후 크게 변화하였다. 대부분의 주들은 해당 지역에서 다수가 사용하는 언어를 주의 공용어로 선택하였다. 다만 동북 산악지역에 위치한 다수의 주들은 지배적인 언어가 없는 이유로 예외가 된다. 주의 재편성 과정에서 소수의 언어와 문화는 무시되었다. 언어를 기준으로 구성된 주에서 비공용어들은 단지 구어체의 언어나 방언 또는 민속 문화의 표현을 위한 매개어로 남아 있게 되었다. 이 언어들은 지역에서 교육이나 행정에서 제 기능을 갖고 있지 못하다. 주요 언어 사용자들은 소수어들을 단지 방언으로 격하시킴으로써 자신들을 최대의 언어 공동체로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결론적으로 인도의 사회 문화적 현상을 무시한 채 주요 언어를 기준으로 한 통합적인 방향으로의 주 재편성은 많은 소수 그룹들에게 인위적이고 강제적인 동질화를 요구하였으며 다른 한편으로 중앙 정부와 주 정부에 정치적 부담을 주는 지역적 사회적 갈등을 야기시켰다. 그러나 넓은 의미에서 볼 때 언어를 기준으로 한 주 재편성은 적어도 지역내의 커뮤니케이션을 활성화시키고 대다수에게 동질감을 부여함으로써 지역 정체성의 발전에 기여했다는 장점도 보여주고 있다.
V. 맺기
인도 독립 이후의 언어와 관련한 정치적 맥락을 지정어와 주 재편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언어 사회의 국가 형성에서 언어 문제는 정치적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고 사회와 지역의 정체성 확립에서도 종교 이상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인도의 정치 지도자들은 언어와 사회 및 지역의 정체성 관계를 조정하는 과정에서 사회문화의 다원성을 인정하면서도 단일체적이고 통합적인 방향으로 나아갔으며 이에 따른 정치적 부담을 겪어 왔다. 합리적인 수준의 해결 방안들이 여러 각도에서 모색되었지만 정책 추진 과정에서 인도의 다원적 특성들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고 조화롭게 발전시키지는 못하였다. 다원적인 사회 문화 구조와 여러 집단들의 정치적 이해관계 등의 한계성을 넘어 서지 못했고 결과적으로 힌디어를 비롯한 지정어들의 발전을 원만히 추진하는데 성공하지 못하였다. 인도 정부는 향후 공용어의 강력한 재추진과 동시에 영어 사용의 재검토, 그리고 다원주의적 입장에서 지정어들의 조화로운 발전과 현실적인 소수어 보장 정책 추진 등 산적한 과제들을 남겨 놓고 있다.y
참고문헌
Annamalai, E. 1991 "Linguistic Dominance and Cultural Dominance: A Study of Tribal Bilingualism in India". International Journal of Dravidian Linguistics, Vol.XIX, Nos.2, 3-11.
Breton, R. 1997. Atlas of the Languages and Ethnic Communities of South Asia. New Delhi, Sage Publications.
Bose, Nirmal Kumar. 1959. Modern Bengal. Calcutta, Vidyodaya
Gandhi, M. K. 1936. "The Question of Hindi." Karnatak Hindi Convocation Address, Harijan June 27.
Jha, Shailjanand 1995. "Maithili Spearkers and the Eighth Schedule Mirage." in Gupta and Abbi eds. Language and the State. New Delhi , Creative Books. 206-210.
Krishnamurti, Bh. 1995. "Official Language Policies: With Special References to the Eighth Schedule of the Constitution of India." In Gupta and Abbi eds. Language and the State. New Delhi , Creative Books. 8-23.
Kubchandani, Lachman M. 1997. Revisualizing Boundaries: A Plurilingual Ethos. New Delhi, Sage Publications.
Misra, Bal G. 1979. "Language Movements in the Hindi Region." in Annamalai E. ed. Language Movement in India. Mysore, Central Institute of Indian Languages. 70-79.
추천자료
독일낭만주의의 불교수용에 관한 고찰
구조주의와 소쉬르에 대한 고찰
유럽문자의 기원
[동남아시아][동남아시아문화]동남아시아의 민족, 동남아시아의 언어, 동남아시아의 명칭, 동...
[카스트제도] 카스트제도 완전분석
동남 아시아의 Indianization
방글라데시 디아스포라 역사와 규모, 특징, 이주요인, 해외이주정책, 언어, 주민, 용어 경제...
티베트 청년회(TYC) 역사와 규모, 특징, 이주요인, 해외이주정책, 언어, 주민, 용어 경제적 ...
쿠르디스탄 디아스포라(Kurdistan diaspora) 역사와 규모, 특징, 이주요인, 해외이주정책, 언...
베트남 보트피플(Vietnamese Boat People) 역사와 규모, 특징, 이주요인, 해외이주정책, 언어...
LG전자를,글로벌경영,해외진출,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산스크리트어 (Sanskrit)
[류시화시인론] 『영혼존재 의미를 찾는 신비적 글쓰기』
[국제정치의 이해] 개입과 간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