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법 교육의 방향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화법'이란

3. 대인 의사소통의 성격과 화법 교육의 방향
3.1. 의미의 공유 과정
3.2. 내용과 관계
3.3. 문화적 배경
3.4. 듣기
3.5. 언어적 의사소통, 비언어적 의사소통, 의사소통 경영 전략

5. 결론

본문내용

도 마찬가지다. 의사소통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의사소통 자체에 대한 인식과 그것을 바탕으로 한 경영이 필연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할 수밖에 없다. 이런 의사소통 경영 전략을 화법 교육에서 제외할 수는 없다고 본다. 예를 들어, 대화 중 끼어들기,
. 대화 중 끼어들기가 언제나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대의 적극적인 관심 표명으로 해석되어 긍정적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자세한 내용은 Debora Tannen(1987) 참조.
말 순서 취하기, 사회적 관점 취하기, 청중의 반응에 따라 말하는 방법을 바꾸기, 인지적 부조화를 이용한 설득 전략, 불만의 표현 때 일차적 감정 표현하기, 상대의 불만에 일차적인 동의로 감정을 먼저 누그러뜨리기 등과 같은 것들이 화법 교육에서 제외될 수 없다.
. 물론 이런 것들이 국어과 교육 시간에 다루어져야 하는가, 혹은 '국어'와 직접적인 관련을 갖는 것인가라는 점에서는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대로 학교 교육에서 교과 구분은 편의상의 장치일 따름이다. 다시 말해 이런 내용을 말하기 듣기를 다루면서 가르치지 않으면 학생들은 학교 교육 과정상 어느 곳에서도 이런 내용들을 배우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이런 내용들은 국어 자체의 영역에는 속하지 않을런지 모르나 국어 생활의 영역에는 속해야 할 내용들이라고 본다.
화법의 경영 전략적인 측면들이 실제로 화법 교육에서 이미 다루어지고 있기는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마찬가지다. 토론, 회의와 같은 것들이 화법에서 다루어진다면 토론의 규칙, 회의의 규칙 등이 다루어지지 않을 수 없고 이런 규칙은 엄밀한 의미에서 언어적 의사소통의 영역이 아니라 말하기의 경영 전략적 측면에 해당되는 것이다. 또 청중을 고려하기와 같은 말하기의 경영에 관한 내용들도 이미 화법의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다.
. 그러므로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측면과 의사소통의 전략적 측면을 화법 교육에서 다루느냐 다르지 않느냐가 문제가 아니라 그것을 어느 정도로 어떻게 다루는 것이 효율적이고 현실적이냐가 문제가 될 것이다.
결국 화법 교육에서는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측면과 의사소통 경영 전략의 측면에도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이것이 국어과 화법 교육에서 학생들의 사회적 성장 단계에 맞추어 체계적으로 체득하도록 해야 한다고 본다.
5. 결론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은 국어과 교육의 일차적 목표다. 제5차 국어과 교육과정 이래 의사소통 능력(그리고 그를 통한 사고력 신장)이 실질적인 교육의 기반을 확고히 했다는 점은 바람직한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말하기 듣기 교육의 경우 국어과 교육을 통한 '바람직한' 인간 발달이라는 측면에서 보자면 여전히 상당한 문제가 있다고 본다. 의사소통 능력이란 무엇인가? 그것은 국어 내적인 현상에 머무르는 것인가? 사회학이나 심리학 혹은 정신의학 문화인류학의 의사소통 연구는 화법 교육과 무관한 것인가? 우리의 의사소통 교육은 우리 민족의 삶의 방식과 부합된 것인가? 이런 질문에 대해 고민해야 할 때라고 본다.
대부분의 교과목에서 사고력 신장을 그 목표로 하고 있지만 사고력 신장은 국어과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질 수밖에 없듯이 화법은 여러 가지 영역에 걸친 분야이지만 결국 국어과에서 다룰 수밖에 없다. 국어과에서 화법을 다루면서 언어 내적인 것에만 치우쳐 다룰 수는 없다. 화법은 근본적으로 의사소통이고 의사소통은 언어 내적인 것을 넘어 인간 관계와 삶의 문제에 걸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6. 참고문헌
김남두(1992) 서구 대화 문화의 그리스적 기원;크리스찬아카데미편(1992所收)
김인자역(1988). 「인간관계와 자기 표현」. 중앙적성출판사.
김희수(1987). 「話術의 理論」. 전남대출판부.
김희수·정병헌·서상준편(1995). 「국어와 국어교육」. 박이정.
성태용(1992) 유가에 있어서의 대화;크리스찬아카데미편(1992所收)
송영배(1992) <장자>에서의 대화의 의미;크리스찬아카데미편(1992所收)
심재룡(1992) 선문답과 대화;크리스찬아카데미편(1992所收)
이기문(1986) 「속담사전」. 일조각
이시형(1992). 「대인공포증의 치료」. 집현전.
이옥련·민현식외(1996). 「무슨 말을 어떻게 할 것인가」. 숙명여대출판부.
이응백(1989). 「續 國語敎育史硏究」. 신구문화사.
이정춘편(1988). 커뮤니케이션科學. 나남.
이주행(1983). 「話法의 原理와 實際」. 경문사.
임칠성(1991). 「중학교 국어」의 말하기 듣기 영역에 대하여. 「한국언어문학」 31.
임칠성(1995). 듣기 영역 교육; 김희수외편(1995所收).
전영우(1987). 「國語話法論」. 집문당.
전영우(1991). 「한국근대토론의 사적 연구」. 일지사.
크리스찬아카데미편(1992) 「대화의 철학」. 서광사
C. Stewart ed..(1972). On Speech Communication. Holt, Rinehart and Winston, Inc.
D. E. Broadbent(1958;1987).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Oxford Unversity Press.
D. Tannen(1987). That's Not What I Meant - How Conversational Style Makes or Breaks Relationships. Ballantine Books.
G.E.Myers & M.T.Myers(1985) The Dynamics of Human Communication.; 임칠성역(1995). 「대인관계와 의사소통」. 집문당.
K. Reardon(1987). Where Mind Meet -Interpersonal Communication. Wacsworth Publishing Company.
R. Budd & B. Ruben ed..(1972). Approaches to Human Communcation. Hyden Book Company, Inc.
V. Richmond, J. McCroskey, S. Payne(1991). Nonverbal Behavior 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rentice Hall.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04.16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1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