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혜례 원문 및 해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우리말의 .과琴柱, .홰炬와 같다.
終聲二字三字合用 如諺語힝爲土 .낚爲釣 잎.딪爲酉時之類.
종성의 두,세 字짜리는 어울려 쓰임이 우리말의 힝土, .낚釣, 잎.딪酉時와 같다.
其合用 書 自左而右 初中終三聲皆同.
그 '어울려 쓰임에 나란히 씀'은 왼쪽에서 오른쪽이며, 초.중.종 3성이 모두 같다.
文與諺雜用則有因字音而補以中終聲者
漢文과 우리말을 뒤섞어 쓸 경우, 漢字의 音으로 인해 중.종성으로 보충하는 일이 있으니,
如孔子ㅣ魯ㅅ:사링之類.
'孔子ㅣ魯ㅅ:사링'과 같다.
諺語平上去入 如활爲弓而其聲平 :돌爲石而其聲上 .갈爲刀而其聲去 붇爲筆而其聲入之類.
우리말의 평.상.거.입성은 활弓-평성, :돌石-상성, .갈刀-거성, 붇筆-입성 과 같다.
凡字之左 加一點爲去聲 二點爲上聲 無點爲平聲
모든 글자의 왼쪽에 1점을 더하면 거성, 2점이면 상성, 점이 없으면 평성이고,
而文之入聲 與去聲相似.
한문의 입성은 (우리말의) 거성과 비슷하다.
諺之入聲無定 或似平聲 如긷爲柱 녑爲脅.
우리말 입성은 정해진 바가 없으니, 평성과 비슷하여, 긷柱, 녑脅과,
或似上聲 如:낟爲穀 :깁爲繒.
상성과 비슷하여, :낟穀, :깁繒과,
或似去聲 如.몬爲釘 .입爲口之類.
거성과 비슷하여, .몬釘, .입口과 같은 따위이나,
其加點則與平上去同.
)
四聲
加點
平聲
上聲
去聲
入聲
無點
二點
一點

활弓 긷柱 녑脅
:돌石:낟穀:깁繒
.갈刀.몬釘.입口
붇筆 활弓 긷柱 녑脅:돌石:낟穀:깁繒.갈刀.몬釘.입口
安而和
和而去
去而壯
促而塞
그 점찍기는 평.상.거성과 같다.
平聲安而和 春也 萬物舒泰. 평성은 수월하고 부드러우니 봄이며, 만물이 천천히 피어 자람이라.
上聲和而擧 夏也 萬物漸盛. 상성은 부드러우며 높아지니 여름이며, 만물이 점차 盛함이라.
去聲擧而壯 秋也 萬物成熟. 거성은 높아지면서 단단해지니 가을이며, 만물의 성숙이라.
入聲促而塞 冬也 萬物閉藏. 입성은 빠르며 막히니 겨울이며, 만물이 문득 자취를 감춤이라.
初聲之ㆆ與o相似 於諺可以通用也.
) h → / V__V
[ ]:유성음[h] -- 아하
알괴어늘 > 알외어늘
[al oj]
초성의 ㆆ과 o은 서로 비슷하여 우리말에서 통용될 수 있다.
半舌有輕重二音. 然韻書字母唯一
반혓소리에는 가볍고 무거움의 두 소리가 있다. 그러나 韻書의 字母에서는 오직 하나이며,
且國語雖不分輕重 皆得成音.
또한 우리 나랏말에서는 비록 가볍고 무거움으로 나누지 않으나 모두 말소리가 될 수 있다.
若欲備用 則依脣輕例
만일 별도로 쓰고자 한다면, 입술가벼운소리의 보기
) 脣輕音: ㅱ ㅸ ㅹ ㆄ
를 따라,
o連書ㄹ下 爲半舌輕音 舌乍附上月 .
o을 ㄹ 아래 붙여 써 '반입술가벼운소리'가 되는데, 혀가 윗잇몸에 잠깐만 붙는다.
) 半舌音 ㄹ + 半舌輕音 가[ ]: 음절 초성 -- 彈舌音
+ 半舌重音 ㄹ[l]: 음절 종성 -- 舌側音
ㆍㅡ起ㅣ聲 於國語無用. 兒童之言 邊野之語 或有之
ㆍ와ㅡ가 ㅣ소리에서 임은 우리 나랏말에서 쓰임이 없고, 어린이 말이나 시골 말에 있기도 하는데,
當合二字而用 如삥삥之類. 其先縱後橫 與他不同.
) 삥[kj ] 삥[kj ]
이엉등포 ← /영등포/
마땅히 두 글자를 어울려 쓸 것이니 삥,삥 따위와 같다. 그 세로-앞, 가로-뒤가 다른 것과 다르다.
用字例
初聲ㄱ 如:감爲枾 .까爲蘆. 초성의 ㄱ은 :감枾, .까蘆과 같고,
ㅋ 如우.케爲未 稻 콩爲大豆. ㅋ은 우.케未 稻, 콩大豆과 같고,
ㆁ 如러.힝爲獺 서.힝爲流 . ㆁ은 러.힝獺, 서.힝流 와 같고,
ㄷ 如.뒤爲茅 .담爲墻. ㄷ은 .뒤茅, .담墻과 같고,
ㅌ 如고.티爲繭 두텁爲蟾 . ㅌ은 고.티繭, 두텁蟾 과 같고,
ㄴ 如노로爲獐 납爲猿. ㄴ은 노로獐, 납猿과 같고,
ㅂ 如빛爲臂 :벌爲蜂. ㅂ은 빛臂, :벌蜂과 같고,
ㅍ 如.파爲 하爲蠅. ㅍ은 .파 , 하蠅과 같고,
ㅁ 如:뫼爲山 .마爲薯 . ㅁ은 :뫼山, .마薯 와 같고,
ㅸ 如사.힝爲蝦 드.힝爲瓠. ㅸ은 사.힝蝦, 드.힝瓠와 같고,
ㅈ 如.자爲尺 죠.힝爲紙. ㅈ은 .자尺, 죠.힝紙와 같고,
ㅊ 如.체爲□ 채爲鞭. ㅊ은 .체□, 채鞭와 같고,
ㅅ 如.손爲手 :셤爲島. ㅅ은 .손手, :셤島과 같고,
ㅎ 如.부헤爲 .힘爲筋. ㅎ은 .부헤 , .힘筋과 같고,
o 如.비육爲鷄雛 .빛얌爲蛇. o은 .비육鷄雛, .빛얌蛇과 같고,
ㄹ 如.무뤼爲雹 어.름爲氷. ㄹ은 .무뤼爲雹, 어.름氷과 같고,
ㅿ 如아힝爲弟 :너힝爲 . ㅿ은 아힝弟, :너힝 와 같고,
中聲 ㆍ 如.팅爲 .하爲小豆 딪리爲橋 까래爲楸.
중성의 ㆍ는 .팅 , .하小豆, 딪리橋, 까래楸와 같고,
ㅡ 如.믈爲水 .발.측爲 그력爲雁 드.레爲汲器.
ㅡ는 .믈水, .발.측 , 그력雁, 드.레汲器와 같고,
ㅣ 如.깃爲巢 :밀爲蠟 .피爲稷 .키爲箕.
ㅣ는 .깃巢, :밀蠟, .피稷, .키箕와 같고,
ㅗ 如.논爲水田 .톱爲鉅 호.밑爲 벼.로爲硯.
ㅗ는 .논水田, .톱鉅, 호.밑 , 벼.로硯와 같고,
ㅏ 如.밥爲飯 .낟爲鎌 이.힝爲綜 사.싶爲鹿.
ㅏ는 .밥飯, .낟鎌, 이.힝綜, 사.싶鹿과 같고,
ㅜ 如숫爲炭 .울爲籬 누.에爲蠶 구.리爲銅.
ㅜ는 숫炭, .울籬, 누.에蠶, 구.리銅와 같고,
ㅓ 如브힝爲 :널爲板 서.리爲霜 버.들爲柳.
ㅓ는 브힝 , :널板, 서.리霜, 버.들柳과 같고,
ㅛ 如:죵爲奴 .고욤爲 쇼爲牛 삽됴爲蒼朮菜.
ㅛ는 :죵奴, .고욤 , 쇼牛, 삽됴蒼朮菜와 같고,
ㅑ 如남섀爲龜 약爲 다야爲 쟈감爲蕎麥皮.
ㅑ는 남섀龜, 약 , 다야 , 쟈감蕎麥皮과 같고,
ㅠ 如율믓爲薏苡 쥰爲飯□ 슈룹爲雨 쥬련爲 .
ㅠ는 율믓薏苡, 쥰飯□, 슈룹雨 , 쥬련 과 같고,
ㅕ 如.엿爲飴 뎔爲佛寺 벼爲稻 :져비爲燕.
ㅕ는 .엿飴 , 뎔佛寺, 벼稻, :져비燕와 같고,
終聲 ㄱ 如닥爲楮 독爲甕
종성의 ㄱ은 닥楮, 독甕과 같고,
ㆁ 如:굼베爲 올찾爲 .
ㆁ은 :굼베 , 올찾 과 같고,
ㄷ 如.갇爲笠 싣爲楓.
ㄷ은 .갇笠, 싣楓과 같고,
ㄴ 如.신爲 .반되爲螢.
ㄴ은 .신 , .반되螢와 같고,
ㅂ은 如섭爲薪 .굽爲蹄.
ㅂ 섭薪, .굽蹄과 같고,
ㅁ은 如:범爲虎 :싶爲泉.
ㅁ :범虎, :싶泉과 같고,
ㅅ은 如:잣爲海松 .못爲池.
ㅅ :잣海松, .못池과 같고,
ㄹ은 如.딪爲月 :별爲星之類.
ㄹ .딪月, :별星 따위와 같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5.04.16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316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