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연구배경
2. 연구제목
3. 연구주제
4. 연구문제
5. 개념화
6. 조작적 정의
7. 조사개요
8. 조사내용
9. 조사진행
10. 결과예측
2. 연구제목
3. 연구주제
4. 연구문제
5. 개념화
6. 조작적 정의
7. 조사개요
8. 조사내용
9. 조사진행
10. 결과예측
본문내용
부모는 자녀에게 아무 말도 안했다.
6. 자녀가 숙제를 해가는지, 안 해가는지 부모는 몰랐다.
7. 자녀가 나쁜 책이나 비디오를 보더라도 부모는 자녀에게 아무 말도 안했다.
8. 자녀가 몰래 남의 물건이나 돈을 가진 것을 알아도 부모는 이를 모른 체 했다.
9. 자녀와의 약속을 잊어버렸다.
10. 부모가 자녀를 여러 날 동안 친척에게 맡기고 외출하여 전화나 편지 등의 연락을 하지 않았다.
11. 부모가 매질을 할 때 부모 자신이 점점 더 흥분하여 심하게 매질을 했다.
12. 부모가 술기운에 자녀를 때렸다.
13. 자녀가 잘못할 때 회초리로 때렸다.
14. 자녀가 잘못할 때 부모가 자녀의 눈앞에서 주먹을 쥐어 보이면서 자녀를 위협했다.
15. 자녀가 잘못할 때 부모가 자녀를 발로 찼다.
16. 자녀가 잘못할 때 부모가 자녀의 머리를 벽에 부딪혔다.
17. 부모가 자녀를 때려 맞은 부위에 멍이 들었다.
18. 자녀가 맞아서 두통을 호소했다.
19. 부모가 자녀를 때려 자녀의 이빨이 흔들거린다.
20. 부모가 자녀를 걷지 못할 정도로 때렸다.
21. 부모 자신의 그때그대 기분에 따라 자녀에게 대하는 태도가 달라진다.
22. 자녀가 부모에게 욕설을 듣는 이유도 모르는데 부모는 자녀에게 욕설을 했다.
23. 자녀가 수치심과 모욕감을 느낄 정도로 부모가 자녀에게 심하게 대했다.
문 항
학대
아니다
학대이다
1주에 6회 발생하면
1주에 1회 발생하면
6달에 1회 발생하면
1년에 1회 발생하면
24. 자녀가 가출을 생각할 정도로 대했다.
25. 부모가 바라는 높은 수준에 맞추도록 자녀를 다그쳤다.
26. 다른 아이와 비교하면서 꾸중했다.
27. 부모가 자녀의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을 버리거나부수어 버렸다.
28. 부모는 자녀를 집밖으로 쫓아냈다.
29. 부모가 자녀에게 ‘너를 괜히 낳았다’고 말했다.
30. 부모가 자녀에게 ‘나가 죽어라’고 말했다.
31. 보모가 강제로 자녀에게 애무를 시켰다.
32. 자녀에게 나체사진을 보여주었다.
33. 강제로 자녀의 옷을 벗겼다.
34. 포르노 비디오를 자녀에게 보여주었다.
35. 자녀의 나체를 부모가 보는 것을 즐겼다.
◈ 다음은 여러분의 경험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곳에 "O"나 “V” 로 표시해 주십시오.
1. 최근(1년 이내)에 학대받은 아동을 보신 적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2. 귀하는 지금까지 학대받은 아동을 봤을 때 어떻게 대처하셨습니까?
① 모른척 했다.
② 아동상담기관이나 아동학대신고 센타에 신고해 도움을 요청했다.
③ 학대받은 아동의 부모와 면담을 했다.
④ 학대받은 아동에게 관심을 갖고 따뜻하게 대해 주었다.
⑤ 학대받은 아동과 면담을 했다.
⑥ 기타 (구체적으로 : )
3. 귀하는 학대받은 아동에게 도움을 줄만한 기관이나 사람을 알고 계십니까?
① 알고 있다. ② 모른다.
4. 귀하는 ‘아동학대(1391)’ 신고전화를 알고 계십니까?
① 알고 있다. ② 모른다.
5. 귀하는 대학생을 위한 아동학대 프로그램이나 세미나가 필요하다고 느끼십니까?
① 필요하다. ② 필요 없다.
6. 자녀가 숙제를 해가는지, 안 해가는지 부모는 몰랐다.
7. 자녀가 나쁜 책이나 비디오를 보더라도 부모는 자녀에게 아무 말도 안했다.
8. 자녀가 몰래 남의 물건이나 돈을 가진 것을 알아도 부모는 이를 모른 체 했다.
9. 자녀와의 약속을 잊어버렸다.
10. 부모가 자녀를 여러 날 동안 친척에게 맡기고 외출하여 전화나 편지 등의 연락을 하지 않았다.
11. 부모가 매질을 할 때 부모 자신이 점점 더 흥분하여 심하게 매질을 했다.
12. 부모가 술기운에 자녀를 때렸다.
13. 자녀가 잘못할 때 회초리로 때렸다.
14. 자녀가 잘못할 때 부모가 자녀의 눈앞에서 주먹을 쥐어 보이면서 자녀를 위협했다.
15. 자녀가 잘못할 때 부모가 자녀를 발로 찼다.
16. 자녀가 잘못할 때 부모가 자녀의 머리를 벽에 부딪혔다.
17. 부모가 자녀를 때려 맞은 부위에 멍이 들었다.
18. 자녀가 맞아서 두통을 호소했다.
19. 부모가 자녀를 때려 자녀의 이빨이 흔들거린다.
20. 부모가 자녀를 걷지 못할 정도로 때렸다.
21. 부모 자신의 그때그대 기분에 따라 자녀에게 대하는 태도가 달라진다.
22. 자녀가 부모에게 욕설을 듣는 이유도 모르는데 부모는 자녀에게 욕설을 했다.
23. 자녀가 수치심과 모욕감을 느낄 정도로 부모가 자녀에게 심하게 대했다.
문 항
학대
아니다
학대이다
1주에 6회 발생하면
1주에 1회 발생하면
6달에 1회 발생하면
1년에 1회 발생하면
24. 자녀가 가출을 생각할 정도로 대했다.
25. 부모가 바라는 높은 수준에 맞추도록 자녀를 다그쳤다.
26. 다른 아이와 비교하면서 꾸중했다.
27. 부모가 자녀의 가장 소중히 여기는 것을 버리거나부수어 버렸다.
28. 부모는 자녀를 집밖으로 쫓아냈다.
29. 부모가 자녀에게 ‘너를 괜히 낳았다’고 말했다.
30. 부모가 자녀에게 ‘나가 죽어라’고 말했다.
31. 보모가 강제로 자녀에게 애무를 시켰다.
32. 자녀에게 나체사진을 보여주었다.
33. 강제로 자녀의 옷을 벗겼다.
34. 포르노 비디오를 자녀에게 보여주었다.
35. 자녀의 나체를 부모가 보는 것을 즐겼다.
◈ 다음은 여러분의 경험에 관한 질문입니다. 해당하는 곳에 "O"나 “V” 로 표시해 주십시오.
1. 최근(1년 이내)에 학대받은 아동을 보신 적이 있습니까?
① 있다. ② 없다.
2. 귀하는 지금까지 학대받은 아동을 봤을 때 어떻게 대처하셨습니까?
① 모른척 했다.
② 아동상담기관이나 아동학대신고 센타에 신고해 도움을 요청했다.
③ 학대받은 아동의 부모와 면담을 했다.
④ 학대받은 아동에게 관심을 갖고 따뜻하게 대해 주었다.
⑤ 학대받은 아동과 면담을 했다.
⑥ 기타 (구체적으로 : )
3. 귀하는 학대받은 아동에게 도움을 줄만한 기관이나 사람을 알고 계십니까?
① 알고 있다. ② 모른다.
4. 귀하는 ‘아동학대(1391)’ 신고전화를 알고 계십니까?
① 알고 있다. ② 모른다.
5. 귀하는 대학생을 위한 아동학대 프로그램이나 세미나가 필요하다고 느끼십니까?
① 필요하다. ② 필요 없다.
추천자료
가정폭력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아동학대)
가정폭력의 실태분석과 대응방안
아동학대의 개선방안의 연구
아동학대에 대한 연구고찰
아동학대의 원인과 문제점에 관한 레포트
아동학대에 관한 설문조사
아동문제의 해결을 위한 아동복지 정책과제
아동기의 정신건강이 잘못 발달되었을 때 성인이 되어 미칠 수 있는 영향에는 어떤 것들이 있...
(한국의 아동복지시설) 한국의 아동복지시설(생활, 이용)의 종류와 세부사업내용을 서술하고...
아동학대의 개념, 정의, 아동 범죄 처벌에 관한특례법 문제점 개선 방안
[아동발달이론]아동발달이론의 필요성과 전제조건, 유전과 환경, 아동발달의 초기이론 및 일...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대한 자신의 의견
아동복지시설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아동복지시설의 한 유형을 들어 소개 및 사회적 역할을 설...
[ 아동학대 연구 보고서 ] 아동학대 개념,원인및 사례분석과 아동학대 예방사례및 아동학대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