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조의 치료심리적 의미
2. 점토활동과 대상관계 발달
3. 특수아동의 대상관계 문제
4. 소조를 통한 자폐아동의 대상관계 치료 사례
4.1 연구대상과 절차
4.2 연구결과
4.2.1 놀이에서의 변화
4.2.2 대인관계에서의 변화
4.2.3 행동에서의 변화
4.2.4 KHTP검사에서의 변화
4.2.5 맺음말
2. 점토활동과 대상관계 발달
3. 특수아동의 대상관계 문제
4. 소조를 통한 자폐아동의 대상관계 치료 사례
4.1 연구대상과 절차
4.2 연구결과
4.2.1 놀이에서의 변화
4.2.2 대인관계에서의 변화
4.2.3 행동에서의 변화
4.2.4 KHTP검사에서의 변화
4.2.5 맺음말
본문내용
았다. 친구들과도 노는 것을 쳐다보고만 있지 않고 친구한테 가서 같이 놀고, 먹을 것이 있으면 친구에게 갖다주게도 되었다.
4.2.3 행동에서의 변화
지시따르기와 자발성, 집중성, 자발적 모방 등에서 대상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보는 것이 연구목적의 세번째이다. 사례 1은 치료 전에는 일반적 지시를 따르기는 하였으나 좋아하거나 집착하는 것에 대해서는 저항하였고, 자발성이 없었다. 소조활동후에는 집착하는 것에 대한 지시에도 울거나 화냄이 없이 따르게 되었고 인사를 하거나 질문을 할 때 자발성을 갖게 되었다.
사례 2의 경우 치료 전에는 하고 싶은 것을 못하게 하면 떼쓰며 소리지르고, 자발성이 없어 인사도 시켜야 했고, 질문을 하여 말을 걸어야 대답만이라도 얘기를 했었다. 치료 후에는 지시에 잘 따르고 인사도 먼저 하고 스스로 와서 안기기도 하며 말을 걸지 않아도 먼저 얘기를 건내게 되었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소조활동을 통한 미술치료는 자폐성 아동의 대상관계에 매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사례 1, 2 아동의 K-HTP검사에서도 입증되고 있다.
4.2.4 KHTP검사에서의 변화
치료 종료후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 KHTP를 실시한 결과에서는 <그림 12.1> 및 <그림 12.2>와 같은 몇가지 특성을 보였다. 우선 나무를 먼저 그려 성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보였다. 그림의 크기가 커졌고, 해가 없어졌으며, 집과 창문의 크기가 커진 것을 볼 수 있다. 즉,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환경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자기확대의 욕구를 느끼게 된 것 같다. 반면, 줄기를 가늘게 그려 놓은 것에서 자신에 대한 무력감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새로 입학한 학교에서의 문제(친구의 구타)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림 12.1> 사례1의 KHTP 사전검사
<그림 12.2> 사례1의 KHTP 사후검사
사례2에 대한 변화를 보기 위한 사전·사후 검사로서 KHTP를 실시한 결과는 <그림 12.3> 및 <그림 12.4>와 같다.
사전·사후 그림을 비교해 보면 여전히 귀를 강조하고 있으나 그림의 크기(특히 나무)가 커졌고 팔의 길이가 길어졌으며, 어깨가 강조되었고, 집의 벽선이 분명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타인의 비판에 대해 여전히 과민하기는 하나 목표 달성과 획득에 대한 욕구가 커졌고, 자아가 강해졌으며 또한 자기현시의 욕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지 하단을 나무의 지면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아 경직된 성격에서 융통성을 지니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림 12.3> 사례2의 KHTP 사전검사
<그림 12.4> 사례2의 KHTP 사후검사
<회기별 소조 작품의 예>
<그림 12.5> 자폐성 아동이 제 3회기때 만든 그릇
<그림 12.6> 제 3회기때 만든 그릇을 그림으로 표현함
<그림 12.7> 제 6회기때 만든 나무
<그림 12.8> 제 3회기때 만든 나무를 그림으로 표현함
<그림 12.9> 제 12회기때 여러 사람 만들기
<그림 12.10> 제 12회기때에 만든 사람을 그림으로 표현함
4.2.5 맺음말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조활동을 통한 미술치료는 자폐성 아동의 아이들, 어른들과의 놀이관계증진 및 놀이종류의 증가와 같은 대상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소조활등을 통한 미술치료는 자폐성 아동의 부모·형제와의 관계, 다른 아이들과의 관계의 증진과 같은 대상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다른 어른과의 대인관계는 변화가 적었다.
셋째, 소조활동을 통한 미술치료가 자폐성 아동의 지시따르기 및 자발성, 집중성, 자발적 모방행동의 증가와 같은 대상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4.2.3 행동에서의 변화
지시따르기와 자발성, 집중성, 자발적 모방 등에서 대상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보는 것이 연구목적의 세번째이다. 사례 1은 치료 전에는 일반적 지시를 따르기는 하였으나 좋아하거나 집착하는 것에 대해서는 저항하였고, 자발성이 없었다. 소조활동후에는 집착하는 것에 대한 지시에도 울거나 화냄이 없이 따르게 되었고 인사를 하거나 질문을 할 때 자발성을 갖게 되었다.
사례 2의 경우 치료 전에는 하고 싶은 것을 못하게 하면 떼쓰며 소리지르고, 자발성이 없어 인사도 시켜야 했고, 질문을 하여 말을 걸어야 대답만이라도 얘기를 했었다. 치료 후에는 지시에 잘 따르고 인사도 먼저 하고 스스로 와서 안기기도 하며 말을 걸지 않아도 먼저 얘기를 건내게 되었다.
이상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소조활동을 통한 미술치료는 자폐성 아동의 대상관계에 매우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사례 1, 2 아동의 K-HTP검사에서도 입증되고 있다.
4.2.4 KHTP검사에서의 변화
치료 종료후의 변화를 보기 위해서 KHTP를 실시한 결과에서는 <그림 12.1> 및 <그림 12.2>와 같은 몇가지 특성을 보였다. 우선 나무를 먼저 그려 성장하고자 하는 욕구를 보였다. 그림의 크기가 커졌고, 해가 없어졌으며, 집과 창문의 크기가 커진 것을 볼 수 있다. 즉, 환경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환경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고, 자기확대의 욕구를 느끼게 된 것 같다. 반면, 줄기를 가늘게 그려 놓은 것에서 자신에 대한 무력감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것은 새로 입학한 학교에서의 문제(친구의 구타)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림 12.1> 사례1의 KHTP 사전검사
<그림 12.2> 사례1의 KHTP 사후검사
사례2에 대한 변화를 보기 위한 사전·사후 검사로서 KHTP를 실시한 결과는 <그림 12.3> 및 <그림 12.4>와 같다.
사전·사후 그림을 비교해 보면 여전히 귀를 강조하고 있으나 그림의 크기(특히 나무)가 커졌고 팔의 길이가 길어졌으며, 어깨가 강조되었고, 집의 벽선이 분명해진 것을 알 수 있다. 즉, 타인의 비판에 대해 여전히 과민하기는 하나 목표 달성과 획득에 대한 욕구가 커졌고, 자아가 강해졌으며 또한 자기현시의 욕구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화지 하단을 나무의 지면으로 사용한 것으로 보아 경직된 성격에서 융통성을 지니게 된 것으로 보여진다.
<그림 12.3> 사례2의 KHTP 사전검사
<그림 12.4> 사례2의 KHTP 사후검사
<회기별 소조 작품의 예>
<그림 12.5> 자폐성 아동이 제 3회기때 만든 그릇
<그림 12.6> 제 3회기때 만든 그릇을 그림으로 표현함
<그림 12.7> 제 6회기때 만든 나무
<그림 12.8> 제 3회기때 만든 나무를 그림으로 표현함
<그림 12.9> 제 12회기때 여러 사람 만들기
<그림 12.10> 제 12회기때에 만든 사람을 그림으로 표현함
4.2.5 맺음말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조활동을 통한 미술치료는 자폐성 아동의 아이들, 어른들과의 놀이관계증진 및 놀이종류의 증가와 같은 대상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소조활등을 통한 미술치료는 자폐성 아동의 부모·형제와의 관계, 다른 아이들과의 관계의 증진과 같은 대상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다른 어른과의 대인관계는 변화가 적었다.
셋째, 소조활동을 통한 미술치료가 자폐성 아동의 지시따르기 및 자발성, 집중성, 자발적 모방행동의 증가와 같은 대상관계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추천자료
[아동상담] 미술치료의 이해 - 미술치료의 역사와 개념 및 주 적용대상, 미술의 치료적 요소...
자폐성 장애 아동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자폐아치료, 자폐아미술치료, 미술치료사례, 자폐, ...
★우수자료★[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미술치료 이론, 미술치료 표현, 미술 치료 종류, 미술치...
★평가우수자료★[현대인의 정신건강] 미술치료 - 미술치료 개념, 미술치료 종류, 미술치료 방...
★추천자료★ 미술치료를 통한 자가 스트레스 진단 - 미술치료 개념, 미술치료 종류, 미술치료 ...
★추천자료★[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정의와 장점 및 적용, 미술치료의 상징적 표현과 이해, 미...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장단점과 적용 방법 - 미술치료 역사, 미술치료 목적, 미술치료 장점,...
[미술美術치료와 뇌의 관계] 뇌 연구의 필요성과 미술치료의 상관관계, 미술치료와 뇌연구, ...
[★발표자료★][미술치료] 미술치료 소개, 미술치료 특징, 미술치료 효과, 미술치료 실제 및 인...
[★발표자료★][미술치료 Art Therapy] 미술치료의 개념과 미술치료의 특징 및 절차와 미술치료...
[가족미술치료] 가족미술치료기법(미술활동의 이론적 배경, 미술치료과정)
미술치료기법의 활용 - 진단도구 및 치료도구로서의 미술, 미술진단기법 및 미술치료방법
[미술치료기법] 미술치료와 기본가정과 치료과정(치료목표), 미술치료기법과 절차(미술심리상담)
[미술치료의 원리와 요소] 미술치료의 환경, 미술치료사의 자질과 역할, 미술치료 진행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