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자료★[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정의와 장점 및 적용, 미술치료의 상징적 표현과 이해, 미술치료에서의 표현매체 이해, 미술치료에서의 표현매체 활용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추천자료★[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정의와 장점 및 적용, 미술치료의 상징적 표현과 이해, 미술치료에서의 표현매체 이해, 미술치료에서의 표현매체 활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미술치료란?

미술치료의 장점

미술치료의 적용

조형심리
1.조형의 요소와 원리
2. 조형의 생리적, 심리적 의미
3. 조형활동에서의 심상

도형심리
1.삼각형
2.사각형
3. 나선형
4. 원
5. 십자형
6.별

색체심리
1.빨강
2.주황
3.노랑
4.녹색
5.파랑
6.보라
7.갈색
8.검정
9.흰색
10.은색
11.금색
12. 회색
13.분홍색
14.자주색
미술치료에서의 표현매체 이해

미술치료에서의 매체활용
1) 매체의 개념정리
2) 매체의 종류
3) 미술치료를 위한 재료 활용의 유의점

미술치료의 표현매체 기법 및 활용
1. 미술치료에서의 미술매체의 중요성

미술치료에서의 표현매체 활용
1. 조형활동을 위한 재료의 표현 가능성
2. 미술재료와 매체의 활용기법 (30가지)

본문내용

제시>
자유화는 내담자가 재료나 방법을 스스로 결정하여 그리게 하는 것으로서 진단과 치료에 모두 활용한다. 내담자의 자발적인 표현은 무의식을 의식화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그러나 미술치료과정에서 중요한 주제는 자연스럽게 나타나지만 때로는 특별히 주제를 제시해야 할 시기가 있다. 특별히 과제를 주는 과제화법은 인물, 가족, 친구, 집, 나무, 산, 동물, 길 등의 과제를 미리 주고 내담자가 상상화를 그리듯 그리게 하는 것 등이 있다.
<꿈의 활용>
정신분석적 미술치료에서 꿈을 활용하듯이, 아동가운데 말로 표현하는 것보다 그림으로 자기 의사를 잘 전달할 수 있는 경우에는 꿈을 그리게 할 수 있다. 꿈을 그리게 함으로써 악몽을 통한 경험을 명료화하고 이야기를 함으로써 꿈에서 상징화된 분노의 충돌들을 잘 이해하도록 도와준다.
<자신 표현하기>
개인치료나 집단치료 시에 "나는 누구인가"를 알리고자 할 때 자신을 표현토록 하기 위해서 "인물화" 를 그리게 한다. 자신의 표현은 자아감각을 발달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많이 활용된다. 특히 심신 장애인이나 섭식증 환자 등 자신의 신체에 대한 자기감이 낮은 내담자들에게 유용하다.
<가족화 그리기>
가족화와 동적 가족화는 가족을 그리게 한여 내담자의 심리나 가족의 체계 및 가족지각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가족화는 진단에도 활용하고 가족치료에도 도움이 된다. 예를 들어 개별 치료에서는 동적 가족화를 통해서 개인의 내적문제 및 가족 내의 관계를 드러내게 하여 스스로를 통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합동가족치료에서는 가족 전원이 동적 가족화를 그리도록 해서 가족전원의 심상을 형상화하면서 이야기를 만드는데 활용한다.
<학교생활 그림 그리기>
학교생황그림은 아동의 학교생활을 파악하는데 좋으며, 치료에도 활용하고 가족화와 함께 받아보면 아동생활 전체를 이해하는데 유용하다. 교사, 친구 본인을 포함해서 그리게 한다.
<풍경구성법>
풍경구성법은 도화지에 "강, 산, 밭, 길, 집, 나무, 꽃, 동물, 돌, 만족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나 그리고 싶은 것 한 가지"를 순서대로 그려 넣게 하고 하나의 풍경이 되게 채색하도록 한 다름 그것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는 기법이다. 치료가능성의 평가와 문제점의 추측과 관찰에 유용하다.
<협동화, 그림 대화하기>
가족이나 소집단들이 크레용을 한 개씩 쥐고 한 장의 종이에 함께 그림을 그리게 한다. 비언어적 방법과 언어적인 방법 모두를 경험케 한다. 진단시에는 그 집단의 체계를 분석할 수 있고, 치료시에는 협동심, 의사소통 기능, 자발성, EQ, 사회성, 집단이해, 인간관계 등을 높이는데 매우 유용한 기법이다.
<꼴라쥬>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는 미술치료 기법이다. 거부의 감소, 분노의 탈출, 희망에 대한 상징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표현이 쉽고 그리는 것보다 정확한 감정전달이 우수하나 선택할 수 있는 사진 매체가 많아야 한다. 자기감정을 나타내기, 가족이나 친구에게 말하고 싶은 것, 선물주고 받고 싶은 것, 타인에 대한 느낌 표현, 문제의 예방 및 대책 방법 등을 쉽게 표현할 수 있다.
<조소 기법>
조소는 촉지각과 관계하는 조형 활동이다. 그리기가 중심이 되는 미술치료 영역에서 매체의 연구에 중요한 대상이 되는 것이 조소이다. 조소 활동 법은 점토로 인문상을 만들거나 자기의 느낌을 표현하게 하여 해석하게 한다. 묽은 점토는 수채물감과 같이 액체 도구로서 언어화가 결핍된 내담자에게 유용하며 과조한 언어화를 나타내는 사람에게는 감각적 요소를 강조할 때 사용한다. 특히, 분노나 적개심의 표현, 대상관계가 부족한 내담자의 치료에 유용하다.
<손과 신체본뜨기>
인간은 자기 신체를 매우 중요시하고 신체개념이나 신체이미지로부터 긍정적 또는 부정적 자기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손뜨기 은 자기의 손을 도화지에 놓고 본은 떠서 각 손가락에 가지가 하고 싶은 말을 적거나 꾸미게 한다. 신체본뜨기는 큰 종이를 벽에 붙여 놓고 내담자의 신체와 같은 크기로 본을 떠서 준 후에 스스로 장식하게 한다.
<이미지 묘화법>
그림을 환자와 치료자 사이에 두고 그것이 산출한 이미지를 매개로 하여 환자와 치료자 사이의 사고 수준(인식과정)과 각각 지식 수준에서 교류를 도모한다.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심리치료법이다. 구체적 이미지, 심리적 이미지, 가족 이미지 등의 과제를 사용할 수 있다. HTP, 색의 연상, 추억, 꿈, 신앙, 선과 악, 애정, 음악 등에서도 연상할 수 있고 이상적인 아버지, 생각나는 사람 등을 통해서도 이미지를 떠오르게 한다. 자유화 또는 과제화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자아감각 발달법>
심신장애인의 신체 영상이나 자아개념이 부정적일 때 이를 높이기 위해서 starter sheet나 묘화완성법, 손도장과 발 도장 찍기, 조소활동, 동그라미 기법, 씨앗으로 얼굴 만들기, 가면 만들기, 자기신체 본뜨기, 인체퍼즐게임, 거우보고 자기 그리기, 손 본뜨기 등을 할 수 있다. 특히, 섭식장애 환자나 신체 장애인에게는 효과적이다.
<감정차트 만들기>
도화지에 몇 개의 칸을 구분하고 최근의 감정을 그리거나 색종이로 나타나게 한다. 감정을 표현한 후에는 모든 인간은 불편한 감정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시킨다. 또한 칸 없이 한자의 종이에도 표현할 수 있다. 스펙트럼 형태의 띠로도 나타낼 수 있다.
<과거, 현재, 미래 나타내기법>
과거와 현재, 미래를 꼴라쥬 사진을 골라 나타내게 하고, 특히 10년 후 또는 5년 후의 자기의 미래를 표현케 한다. 자신을 발견하고 새로운 삶의 각본을 계획하는데 좋다.
<생활선 그리기>
유아시절부터 현재까지 그리고 미래에 대하여 생활선으로 표시하고 연령 단계별로 높낮이, 선의 굵고 가는 정도 등으로 자신의 생의 주기를 나타내게 한다. 그리고 환자가 설명하면서 자신을 발견하고 느끼게 할 수 있다.
<만다라 그리기>
개별적인 작업 또는 생활 만다라를 그리게 한다. 크레용, 크레파스 등을 이용하거나 색종이도 사용할 수 있다. 자유연상을 그려도 좋다. 그리고 심상을 시로 써서 나타내기도 한다. 색채를 사용하면 좋으며 환자의 기억과 감정을 통합하는데 유용하다.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28페이지
  • 등록일2015.06.25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47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