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촉진적 놀이
2. 집중적 자극
3. 수직적 구조화와 확장
4. Milieu teaching
(1)요구-모델 (Mand-modeling)
(2)모델: 아동-중심적 모델링 (Child-directed Modeling)
(3)기다리기 -시간 지연 (Time-delay)
(4)우연적 교수 (Incidental Teaching)
자발어 촉진을 위한 자연적 환경 이용 전략
1. 환경형 중재
(1)환경형 중재의 특성
(2)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
2. 집중적 자극
3. 수직적 구조화와 확장
4. Milieu teaching
(1)요구-모델 (Mand-modeling)
(2)모델: 아동-중심적 모델링 (Child-directed Modeling)
(3)기다리기 -시간 지연 (Time-delay)
(4)우연적 교수 (Incidental Teaching)
자발어 촉진을 위한 자연적 환경 이용 전략
1. 환경형 중재
(1)환경형 중재의 특성
(2)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
본문내용
적 아동에게는 찰흙 을 준다. 간식시간에 도너스와 당근을 양 손에 쥐고 아동으로 하여금 선택하게 한다. 선생님이 아동의 신발을 신고 있는다 아동들에게 물감과 종이를 주고 표적아동을 제외한 나머지에게만 붓을 준 다. 아동에게 외투를 입힐 때 거꾸로 입히고 가만히 기다린다
(2)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
1) 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의 특성
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는 어른과 아동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며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가장 자연적인 중재방법인 반응적 상호작용의 특성을 보면 첫째 아동의 관심사나 흥미를 어른이 따라간다. 둘째, 어른의 반응적 태도를 증가시킨다. 셋째, 어른과 아동간의 주고받기가 균형을 이룬다. 넷째, 아동이 먼저 시도하도록 촉구한다. 다섯째, 매일의 일과 속에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기회를 이용하여 중재한다. 마지막으로, 특정한 언어습득에 초점을 두기보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강조한다 (Prizant & Bailey, 1992).
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는 무엇보다도 어른과 아동간의 긍정적이고 상호적인 관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크다. 둘째, 다른 중재 방법에 비해 어른에게 주는 부담감이 적다. 셋째, 친숙하고 익숙한 상황에서의 상호작용이므로 아동이 의사소통 할 필요성을 제공한다. 넷째, 아동이 새롭게 습득한 의사소통 기술을 일반화하는 이차적 중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다섯째, 일단 어른이 중재전략을 습득하면 쉽게 일반화하고 유지한다. 그러나 직접적인 중재에 비해 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가 아동의 의사소통 발달에 미치는 단기적인 영향은 명확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2) 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 전략
① O W L (Observe, Wait, Listen)
아동을 관찰하고 반응을 기다리고 아동의 표현에 귀를 기울인다.
② 아동의 관심사나 흥미를 따라간다
아동이 관심가지는 것이나 아동이 하고있는 것에 대해 얘기하며 아동이 하고 있는 활 동에 참여한다.
③ 주고받기를 한다
아동이 표현하고 시도하며 반응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그리고 아동과의 주고받기가 균형을 이루게 한다.
④ 모방한다
아동이 내는 소리, 말, 동작 등을 흉내낸다.
⑤ 확장한다
아동의 언어적 수준보다 약간 복잡하게 확장한다.
⑥ 실제적인 대화를 한다
테스트 질문은 제한하고 칭찬도 적절하게 사용한다.
⑦ 반응적인 태도를 갖는다
아동이 시도하면 반응하고 지시적 행동을 삼간다.
(2)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
1) 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의 특성
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는 어른과 아동 사이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추며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가장 자연적인 중재방법인 반응적 상호작용의 특성을 보면 첫째 아동의 관심사나 흥미를 어른이 따라간다. 둘째, 어른의 반응적 태도를 증가시킨다. 셋째, 어른과 아동간의 주고받기가 균형을 이룬다. 넷째, 아동이 먼저 시도하도록 촉구한다. 다섯째, 매일의 일과 속에 자연스럽게 일어나는 기회를 이용하여 중재한다. 마지막으로, 특정한 언어습득에 초점을 두기보다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강조한다 (Prizant & Bailey, 1992).
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는 무엇보다도 어른과 아동간의 긍정적이고 상호적인 관계를 향상시키는 장점이 크다. 둘째, 다른 중재 방법에 비해 어른에게 주는 부담감이 적다. 셋째, 친숙하고 익숙한 상황에서의 상호작용이므로 아동이 의사소통 할 필요성을 제공한다. 넷째, 아동이 새롭게 습득한 의사소통 기술을 일반화하는 이차적 중재로서 유용하게 사용된다. 다섯째, 일단 어른이 중재전략을 습득하면 쉽게 일반화하고 유지한다. 그러나 직접적인 중재에 비해 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가 아동의 의사소통 발달에 미치는 단기적인 영향은 명확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2) 반응적 상호작용형 중재 전략
① O W L (Observe, Wait, Listen)
아동을 관찰하고 반응을 기다리고 아동의 표현에 귀를 기울인다.
② 아동의 관심사나 흥미를 따라간다
아동이 관심가지는 것이나 아동이 하고있는 것에 대해 얘기하며 아동이 하고 있는 활 동에 참여한다.
③ 주고받기를 한다
아동이 표현하고 시도하며 반응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 그리고 아동과의 주고받기가 균형을 이루게 한다.
④ 모방한다
아동이 내는 소리, 말, 동작 등을 흉내낸다.
⑤ 확장한다
아동의 언어적 수준보다 약간 복잡하게 확장한다.
⑥ 실제적인 대화를 한다
테스트 질문은 제한하고 칭찬도 적절하게 사용한다.
⑦ 반응적인 태도를 갖는다
아동이 시도하면 반응하고 지시적 행동을 삼간다.
추천자료
자폐증(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정의,원인, 자폐증(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증상,사회...
[자폐]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의 행동, 자폐아(자폐증아동, 자폐아동...
[자폐][전반적발달장애]자폐증(자폐, 자폐장애, 전반적 발달장애)의 원인, 자폐증(자폐, 자폐...
자폐(자폐증,자폐장애,전반적 발달장애) 개념, 자폐(자폐증,자폐장애,전반적 발달장애) 증상,...
[실어증][아동기 실어증][성인 실어증][실어증 진단검사][실어증 치료][실어증 회복]실어증의...
조음장애(발음장애, 음운장애)의 원인, 조음장애(발음장애, 음운장애)와 조음검사, 조음장애(...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의 의미, 자폐증아동(전반적 발달장애아동) 모방 놀이...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인) 정의와 원인, 뇌성마비(뇌성마비아동, 뇌성마비장애...
[자폐(전반적 발달장애)]자폐(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 자폐증)의 특징, 인지, 자폐(전반...
[자폐][전반적 발달장애][자폐아동]자폐(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아동)의 특성, 반향어, 자폐(...
[자폐증][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자폐증(자폐아동, 전반적 발달장애)의 특징, 자폐성정도...
[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자폐아동(전반적 발달장애, 자폐증)의 행동특성, 원인, 자폐아동...
[놀이치료]놀이치료의 역사, 놀이치료의 필요성, 놀이치료와 놀이, 놀이치료와 정신분석적 놀...
[아동미술] 아동미술과 미술치료의 특징을 통한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시오 [아동미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