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의 AgrP와 NegP
본 자료는 미만의 자료로 미리보기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닫기
  • 1
  • 2
  • 3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의 AgrP와 Neg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NegP를 뒷받침하는 증거
1.1. 부정 극어 허가(Negative Polarity Item Licensing)
1.2. NegP의 접속

2. NegP 논거 검토
2.1. 부정 극어 관련 논거

3. 작용역 표지로서의 '지' 분석

4. 설명을 요하는 문제

본문내용

. Tense 위치는 주어 위치를 성분통어 할 수 있다. 만일 Neg 요소가 Tense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면 이 위치에서 주어 위치의 부정 극어를 허가하는 방법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효과는 한국어에서 동사인상(V-raising)을 가정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즉 주어 위치의 부정 극어 허가를 설명하기 위하여 (5)의 경우 Neg와 V가 함께 동사 인상의 적용을 받는다고 가정하고 부정 극어 허가는 동사 인상 후에 결정된다고 규정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리라 본다. 이때 부정 극어 허가를 Neg의 작용역과는 별도로 Neg가 최종 부착된 요소의 성분통어 영역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고 규정해야 하며 이는 한국어에서 Neg의 작용역과 Neg의 부정 극어 허가 영역이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추천자료

  • 가격800
  • 페이지수3페이지
  • 등록일2005.04.25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3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