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한의 고려속요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남북한의 고려속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고려속요의 발생 및 명칭
(1) 남한
(2) 북한
2. 고려속요의 작자층과 향유계층
(1) 남한
(2) 북한
3. 고려속의 형식과 내용상의 고찰
(1) 남한
(2)북한
4. 작품분석
<동동>
(1) 남한
(2) 북한
<서경별곡>
(1) 남한
(2) 북한
<가시리>
(1) 남한
(2) 북한
<청산별곡>
(1) 남한
(2) 북한
<그 외의 작품들>
(1) 남한
(2) 북한
5. 문학사적 의의
(1) 남한
(2) 북한

Ⅲ. 결론

본문내용

이채를 띠는 작품의 하나이다.
당시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쓰던 구어를 그대로 자연스럽게 쓰고 있고 표현력이 풍부한 우리말의 우수성을 살려 생동한 시적 형상을 창조하였으며 아름답고 경쾌한 운율을 조성하고 있다.
<청산별곡>은 주제 사상적 내용에서 위에서 취급한 여전의 노래들과 구별되는 작품이다. 작품의 사상적 내용과 형상적 특성을 분석해볼 때 그 주인공은 당대의 현실에 불만을 품고 울분과 고민에 산촌을 방황하는 봉건서비로 인정된다.
다시 말하여 작품에는 자기의 뜻을 마음대로 펴 나갈 수 없는 당대의 어지러운 현실을 저주하면서 차라리 그러한 사회현실에서 동떨어져서 살아가려고 하나 머루, 다래가 새들이 우짖는 한적한 산 속에도, 해초와 조개가 나는 바닷가에도 마음을 붙일 수 없는 자신의 처지를 한탄하며 울분에 찬 봉건선비의 복잡한 내면세계가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 서정적 주인공의 형상은 고된 생활 처지로부터 오는 울분과 불만을 보여주는데 머물고 반봉건적 지향을 적극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제한성은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다. 서정적 주인공의 계급 사회의 현실에서 부닥친 문제를 올바로 풀려고 하는 대신에 독에 든 강술이나 마시면서 자기를 위안하려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제한성은 당시 농민들의 계급 의식의 미성숙과 결부되며 특히 가요 창작자들인 도시 주민들이 가난한 농민들의 입장에 철저하게 있으려 하는 대신에 봉건 도시 주민들의 향락적인 기분을 가지고 이 노래를 지은 데로부터 온다.
<그 외의 작품들>
(1) 남한
<만전춘> 제 1장에서는 生死(생사)보다도 사랑이 더 소중하고 의미 있는 것이라는, 사랑에 대한 극단적인 찬미가 나타나고 있다. 당시 도시 평민 층의 의식세계와 생활감정의 한부분을 이루고 있었다고 보이는 이러한 적극적인 사랑의 태도는 진솔한 인간의 발로이자 인간 성정의 긍정으로 중세 문학사에서 그것대로의 의의가 인정되지만, 동시에 자칫 퇴폐적이고 향락적인 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거능성도 내포하고 있다.
<쌍화점>과 같은 작품에서 그 전형적인 예를 발견할 수 있다. 이 작품이 세태풍자의 노래라는 견해도 없는 것은 아니자만, 당시 도시의 세태를 반영한 노래라고 보아야 자연스러울 것이다. 당대의 향락적 분위기와 성적 문란을 퇴폐적인 기분으로 그리고 있는 것이다.
(2) 북한
<쌍화점(雙花店)>
일정한 시기의 세태풍습을 반영하고 있음으로써 몽고 침략자들에게 묻어 들어온 상인들의 행패와 당시의 승려들의 부패한 생활상들을 폭로하고 있다.는 의미에서 복잡한 사상적 내용을 포괄하고 있다.
<이상곡(履霜曲)>과 <만전춘(滿殿春)>
<쌍화점>과 아울러 조선 유학자들에게 가장 혹독하게 배척을 받은 작품들 인만큼 부분적인 산개(刪改)에도 불구하고 열렬한 사랑의 감정으로 일관되어 있다.
이러한 대중적인 연애 감정은 그 언어 형상적 수단과 더불어 17세기 이후의 잡가 및 사설시조 작품들의 먼 전통으로 되고 있다.
<정석가>
『악장가사』에 가사가 실리고 『시용향악보』에 노래의 악보가 실려있다.
노동생활의 풍만한 체험을 바탕으로 하여 님과 함께 한 생을 곡절없이 단란하고 유덕하게 살리라는 지향을 뜨거운 열정 속에 노래하고 있다. 이 점에서 <정석가>의 주제 사상적 지향과 정서적 색깔은 님과 이별하게 되는 서정적 주인공 - 아내의 서글픈 심정을 노래한 <서경별곡>이나 <가시리>와 구별된다.
노동과정에서 행복한 생활을 찾으며 노동과정을 통해 변심을 모르는 깨끗한 사랑의 감정을 간직하고 님과 함께 그것을 꽃 피우려는 서정적 주인공의 소박하면서도 열정에 넘친 정신세계를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하여 정서적 색깔도 애조가 없이 명랑하며 깨끗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5. 문학사적 의의
(1) 남한
전시대의 지배적인 가요 형태였던 향가가 주로 지배층에 의해 창작된 노래임에 반해, 고려속요는 기본적으로 피지배민중의 생활감정을 표현한 노래라는 점에서 시가 사상적 획기적인 의의를 갖는다. 또한 시가사의 맥락에서 볼 때 고려속요는 고려 말의 시조와 가사의 발생에 영향을 끼쳤으며, 고려속요가 민요로부터 발전시킨 분절형식이나 후렴구는 이후 우리나라 민간가요의 중요한 전통을 이루게 되었다.
이처럼 고려속요는 표현양식을 다양하게 발전시킴으로써 민중정서에 생동감과 높은 예술성을 부여할 수 있었던 바, 거기서 거둔 성과는 후대의 시가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2) 북한
평범한 계층등 속에서 활발히 창작된 국어가요는 높은 예술성과로 고려의 시가문학을 빛나게 장식하였으며 후대의 다른 시가형태-시조, 가사 및 잡가들에 긍정적 영향은 거대하며, 특히 그 다양한 반복구 형식들과 다채로운 조흥사들로 쓰인 시 형식의 계승적 의의는 이 시기 이후의 전 문학사를 관통하고 있다.
<서경별곡>류 기타의 이련의 서정시들의 문학사적 의의는 이 서정시들의 사랑을 노래한 민요의 전통을 문학의 대열 속에 인입한 바로 거기에 있다. 민요와 서정시와의 이러한 교섭은 16세기의 탁월한 서정시인들이 황진이 및 정철에 의해서 획기적인 발전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는 바 이러한 사조의 진보적인 의의는 그 대중적이며 예술적인 언어의 관점에서도 설명되어야 할 것은 물론이고 더 중요하게는 중세기적 윤리를 반대하는 그 인간성의 해방적 지향에서 찾아진다.
Ⅲ. 결론
이상으로 고려속요에 대한 남북한의 관점을 살펴보았다. 한 장르, 한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그 해석상에는 여러 차이를 보일 수 있다. 서로 다른 체제와 이념 속의 남북한에서 그 차이는 지극히 당연한 것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어느 하나의 해석이 전적으로 옳을 수만은 없다.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인 고전문학에 있어 훌륭한 점을 지켜나가되 역사적으로 왜곡된 점은 바로잡는 자세로 대해야겠다. 이에는 어느 한쪽의 해석에만 치우치지 않는 열린 자세가 요구되며 그렇게 해야만 그 장르에 대한 진정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참고문헌>
1. 김헌영, 『조선문학사 Ⅰ』, 김일성종합대학편, 천지, 1989
2. 설성경, 유영대, 『북한의 고전문학』, 고려원,1990
3. 정흥교, 박종원, 『조선문학개관Ⅰ』, 인동, 1988
4. 정흥교, 『조선문학사』, 한국문화사, 1996
  • 가격3,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5.04.28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7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