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형)중의적(ambiguity), 반의어의 종류,하위관계 층위, 동사의 하위어, 이행성(transitivity)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제형)중의적(ambiguity), 반의어의 종류,하위관계 층위, 동사의 하위어, 이행성(transitivit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다음 문장에서 case의 의미가 중의적(ambiguity)인지 애매한지(vagueness) 'do so identity test' 와 'sense relation'에 판별하여라.

2. 다음 단어들의 관계의 반의어의 종류로 규명하시오.

3. 명사를 사용하여 하위관계의 예를 제시하고 얼마나 많은 층위로 이루어져있는지 알아보 아라.

4. 부분관계의 예를 제시하고 이행성(transitivity)에 대해 논하시오.

본문내용

an의 root meaning 에 대하여
① I can lift the rock
②That can't be true.
③ Can he be still alive after all these years?
①의 'can'의 경우 '능력을 나타낸다. ②의 경우는 '강한 추측'을 나타낸다. ③의 경우는 ''가능성을 추측'하는 경우이다. 그렇다면 can의 root meaning을 무엇으로 해야 할까?
흔히 can의 의미를 deontic can 과 epistemic can로 나누며 이 둘 중하나를 root meaning로 잡아야 한다.
①번의 경우 내가 그렇게 할 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어떤 대상에 대해 내가 취할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ability can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이는 논리적인 능력으로 어떤 사람이 상태나 세계에 혹은 사건들에 대해 필연적으로 가하는 것으로 그렇게 할 수 있다는 의미를 나타낸다.
②③은 ①과는 사뭇 다른 양상을 가진다. 이것은 우리의 인식론적인 무언가가 첨가되어 그렇게 결론 내려지도록 한다. ②That can't be true.와 같은 경우는 그것이 사실일 리가 없다는 우리의 생각이 들어간 추측이고 ③ Can he be still alive after all these years? 은 그가 능력이 있어서 살아 있는 것이 아니라 그런 가능성을 추측하는 것으로 이 둘 모두를 epistemic can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can의 root meaning 는 필연 적으로 그렇게 규정되어지고 우리의 인식론적 의식이 첨가되지 않은 ability can 으로 생각 할 수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5.04.29
  • 저작시기2005.0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49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