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서서히 몰락해 버리게 된다.
그러면 이제 삼국시대의 터전에 대해 논해 보도록 하자. 삼국시대의 전쟁은 성을 빼앗고 뺏기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성하나가 아니라 주변의 촌락과 주민, 그리고 그들의 토지를 함께 수렵하는 것이 바로 성이었다. 정쟁이 터지고 적군이 나타나게 되면 주변 주민들은 성곽으로 몰려와 성안에서 성을 방어하면서 그 지역을 방어하게 되었다. 성이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성을 건설할 당시 책임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공자실명제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다.
한편 방어를 위해 지어진 이러한 성과는 달리 지배자가 머무는 도성은 매우 크고 호화스러웠다. 초기부터 도성이 이러한 형태를 띠고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후반 지배자의 사치로 도성이 호화스럽게 꾸며지게 되며, 이는 곧 민중을 착취하게 되고 이러한 민중의 불만을 몰고 오는 이유가 되어 나라가 몰락하는 큰 이유가 되기도 하였다.
그럼 이제 마지막으로 고대시대의 이모저모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고대시대의 최초의 성씨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서는 두세가지의 학술적인 의견이 있다고 한다. 위만조선 초기에 쫓겨난 준왕이 한 땅에 들어가 한 왕을 칭하자, 고조선에 남아 있던 아들과 친족이 한(韓)을 성씨로 사용하였다 라는 기록이 전하며, 또 다른 중국의 역사책에서는 준 왕은 기원전 12세기경에 무왕의 명을 받고 조선의 제후로 온 기자의 후손이라 한다. 그렇다면 준 왕의 본래성은 기(箕) 씨였다는 말이 된다.
하지만 이 의견은 현재 학계에서는 인정하지 않고 있는 면이 있기도 하다. 성씨는 삼국시대 초기 때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하여 성씨 사용은 실제 귀족 신분의 징표를 나타내며 사용 층이 매우 제한적이기도 했다. 그러다 신라 말 고려 초의 사회변동이 한창이었던 10세기 전반부터 성씨 사용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게 되는데 이는 신라 말 신라 정부가 지방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는 이유에서였다.
이렇게 성씨를 사용하게 되면서 친족집단 안에는 부계 관념이 확고히 자리 잡히면서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친족관계가 성립되어갔다. 하지만 때문에 부계위주의 선호사상이 나타난 이유가 되지 않았나 생각이 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이 책을 통하여 실제 삼국시대의 사람들의 생활상에 대하여 많은 부분을 이해하고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미 딱딱한 역사책으로 머릿속에 주입된 지식들도 많았지만 소설처럼 진행되는 생활사 이야기는 보는 것만으로도 쉽게 이해가 되고 쉽게 머릿속에 그려졌다. 특히 유난히도 눈에 띄던 귀족과 서민의 생활차이에 대한 부분은 시대가 흐를수록 사람과의 관계는 지배 피지배 관계에서 평등한 관계로 변화된 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 있는 지금의 자신의 입장과 비교해 봤을 때 어쩌면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이 책을 통하여 과거 우리민족의 한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되면서 우리 조상들과 나와의 관계에 이전보다 더욱더 큰 민족적인 동질성을 느끼게 되고 그에 따라 나 자신도 자부심이 들 수 있었기에 좋은 경험을 이루어 낸 것만 같다.
그러면 이제 삼국시대의 터전에 대해 논해 보도록 하자. 삼국시대의 전쟁은 성을 빼앗고 뺏기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성하나가 아니라 주변의 촌락과 주민, 그리고 그들의 토지를 함께 수렵하는 것이 바로 성이었다. 정쟁이 터지고 적군이 나타나게 되면 주변 주민들은 성곽으로 몰려와 성안에서 성을 방어하면서 그 지역을 방어하게 되었다. 성이 이러한 중요한 역할을 하였기 때문에 성을 건설할 당시 책임성을 높이기 위하여 시공자실명제가 이루어지기도 하였다는 점은 매우 흥미로운 사실이다.
한편 방어를 위해 지어진 이러한 성과는 달리 지배자가 머무는 도성은 매우 크고 호화스러웠다. 초기부터 도성이 이러한 형태를 띠고 있었던 것은 아니지만 후반 지배자의 사치로 도성이 호화스럽게 꾸며지게 되며, 이는 곧 민중을 착취하게 되고 이러한 민중의 불만을 몰고 오는 이유가 되어 나라가 몰락하는 큰 이유가 되기도 하였다.
그럼 이제 마지막으로 고대시대의 이모저모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자. 고대시대의 최초의 성씨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서는 두세가지의 학술적인 의견이 있다고 한다. 위만조선 초기에 쫓겨난 준왕이 한 땅에 들어가 한 왕을 칭하자, 고조선에 남아 있던 아들과 친족이 한(韓)을 성씨로 사용하였다 라는 기록이 전하며, 또 다른 중국의 역사책에서는 준 왕은 기원전 12세기경에 무왕의 명을 받고 조선의 제후로 온 기자의 후손이라 한다. 그렇다면 준 왕의 본래성은 기(箕) 씨였다는 말이 된다.
하지만 이 의견은 현재 학계에서는 인정하지 않고 있는 면이 있기도 하다. 성씨는 삼국시대 초기 때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하여 성씨 사용은 실제 귀족 신분의 징표를 나타내며 사용 층이 매우 제한적이기도 했다. 그러다 신라 말 고려 초의 사회변동이 한창이었던 10세기 전반부터 성씨 사용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게 되는데 이는 신라 말 신라 정부가 지방에 대한 통제력을 상실하는 이유에서였다.
이렇게 성씨를 사용하게 되면서 친족집단 안에는 부계 관념이 확고히 자리 잡히면서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친족관계가 성립되어갔다. 하지만 때문에 부계위주의 선호사상이 나타난 이유가 되지 않았나 생각이 되기도 한다.
지금까지 이 책을 통하여 실제 삼국시대의 사람들의 생활상에 대하여 많은 부분을 이해하고 알 수 있게 되었다. 이미 딱딱한 역사책으로 머릿속에 주입된 지식들도 많았지만 소설처럼 진행되는 생활사 이야기는 보는 것만으로도 쉽게 이해가 되고 쉽게 머릿속에 그려졌다. 특히 유난히도 눈에 띄던 귀족과 서민의 생활차이에 대한 부분은 시대가 흐를수록 사람과의 관계는 지배 피지배 관계에서 평등한 관계로 변화된 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 있는 지금의 자신의 입장과 비교해 봤을 때 어쩌면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이 책을 통하여 과거 우리민족의 한 시대상을 간접적으로 체험하게 되면서 우리 조상들과 나와의 관계에 이전보다 더욱더 큰 민족적인 동질성을 느끼게 되고 그에 따라 나 자신도 자부심이 들 수 있었기에 좋은 경험을 이루어 낸 것만 같다.
추천자료
삼국시대 머리 장신구에 대한 연구
삼국시대회화
한국미술사 시험문제 및 답안 -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까지의 불상
삼국시대의 교육(고구려,백제,신라,통일신라)
한국 경호의 역사 - 경호의 역사, 고조선, 삼국시대, 고려, 조선
삼국시대의 국악 발전
우리나라 고대문명의 초기에 해당하는 삼국시대 건국 이전까지의 문화와 유적에 대한 자료조...
6.25전쟁 교훈과 과제과 삼국시대 수, 당과의 전쟁과 교훈을 약술하라
[한국사의 재조명] 삼국시대의 왕릉 - 무열왕릉(신라) & 무령왕릉(백제) & 악3호분(...
삼국시대 왕과 사건
삼국시대 정치 행정 체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