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희의 리더쉽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들어가며...

§1. 특성 이론적 접근방법
1) 독재적, 민주적, 자유방임적 리더십
* 박정희 정권의 산업화 전략의 형성과 특징

§2. 행동 이론적 접근방법

§3. 상황 이론적 접근방법
1. Fiedler의 상황 적합성 이론
2. V.Vroom & P.Yetton의 의사결정상황 이론
3. R.House의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
4. P.Hersey & K.Blanchard의 수명 주기이론

마치면서...

본문내용

조처였고, 이로 인하여 이른바 유신체제라 불리는 강력한 권위주의 체제가 성립되었다.
(1) 1972년 10월 17일 19시를 기하여 국회를 해산하고 정당 등의 정치활동을 중지시키는 등 헌법의 일부 조항의 효력을 정지시킨다.
(2) 효력이 정지된 일부 헌법조항의 기능은 비상국무회의가 수행하며 비상국무회의의 기능은 현행헌법의 국무회의가 수행한다.
(3) 비상국무회의는 1972년 10월 27일까지 헌법개정안을 공고하며 이 개정안은 공고한 날로부터 1개월 이내에 국민투표로써 확정한다.
(4) 헌법개정안이 확정되면 개정된 헌법절차에 따라 금년말 이전에 헌법질서를 정상화시킨다는 것으로 되어있다.
유신의 이념은 10월 27일의 유신헌법을 위한 개헌안의 제안 이유서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 있다. 그 이유서에 의하면 현행 헌법하의 정치체제가 가져다준 국력의 분산과 낭비를 지양하고, 이를 조직화하여 능률의 극대화를 기하며, 민주주의의 한국적 토착화를 가능케 하는 유신적 개혁을 단행하는 것만이 국가의 안전과 조국평화통일을 기약하는 유일한 길이라고 되어 있다. 이런 것으로 보아 지위권력은 절대적이라 할 수가 있다.
4) 효과적인 리더십
LPC를 통해 관계지향적인가 과업지향적인가 구분할 수가 있는데, 박정희 대통령은 관계지향적이다.
2. V.Vroom & P.Yetton의 의사결정상황 이론
박정희 대통령은 자기의 정보자료를 활용하여 단독으로 의사결정을 했다. 새마을 운동에서 자신이 '농민의 아들'이라는 자신의 이미지를 과시하기 위하여 해마다 모내기에 나서고 마을 어른들과 막걸리를 마시며 농민들과의 일체감을 형성시키고자 한 것과 독재를 위한 삼선개헌과 성장제일주의 등 독재 1형에 속한다.
3. R.House의 경로-목표이론(path-goal theory)
1후원적 리더
2참여적 리더
③성취 지향적 리더
4주도적 리더
: 박정희
박정희 대통령은 부하(국민)의 의견을 의사결정 시 많이 반영하지 않고 구조주도적 측면을 강조하는 주도적 리더, 또는 높은 수준의 목표 설정과 의욕적인 목표달성행동을 강조하는 후원적 리더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
4. P.Hersey & K.Blanchard의 수명 주기이론
참여적 리더
설득적 리더
위양적 리더
지시적 리더
(고)
(저)
(저) 과업지향적 행동 (고)
부하의 성숙도
M4
능력(유)
동기(강)
M3
능력(유)
동기(약)
M2
능력(무)
동기(강)
M1
능력(무)
동기(약)
: 박정희
박정희 대통령은 과업지향성은 높으나, 관계지향성은 낮은 지시적 리더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그는 경제개발과 농어촌 개발 등 엄청난 노력과 분석, 계획, 실행을 하지만 국민들에게는 소홀했다. 자신이 생각 하는 대로 업무를 수행을 하려고 했지만 국민들이 많은 반발이 일어났다. 실례로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에서도 알 수가 있다. 단 시간 내에 경제발전이란 어려운 정책에서 조그만 더 국민들을 생각을 했더라면 좋았을 거라고 생각이 든다.
마치면서...
리더십은 어떤 리더십이 일방적으로 좋고, 어떤 리더십이 일방적으로 나쁘더라도 절대적으로 평가될 수 없다. 이것을 볼 때 실패한 리더 박정희 대통령의 모든 측면에서 나쁘다는 고정관념을 버렸으면 한다.
레포트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내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서 힘들기도 했지만, "실패한 리더 박정희"로 인물을 정하고 그에 따른 자료를 구하는 과정에서 많은 것을 느낄 수 있었던 것 같다. 조원들은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일반적으로 들었든 것만 알았지만 사실 우리가 알지 못하는 많은 사실도 알게 되었다. 박정희라는 인물에 많은 감동을 받았다.
박정희에 대한 현재의 평가는 극과 극으로 그 의견을 달리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박정희에 대한 긍정 적인 평을 하는 의견들은 보통은 경제분야에서 이룩한 일련의 업적과 관련하여 우리나라를 후진국이라는 입장에서 개발도상국의 위치까지 이르게 하였으며, 북한과 대치하고 있는 상황에서 자주국방의 길을 열기 위한 노력했던 모습에서 민족주의자로서의 박정희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이점에 대한 비판의 의견도 만만 치 않은 것도 사실이다. 박정희 식의 산업화가 아니더라도 얼마든지 다른 형태의 산업화도 가능했을 것이고, 일련의 경제발전의 성과의 공을 일개 개인의 정치 지도자에게 모두 환원시킨다는 것도 무리가 있다는 것이다. 사실은 현장에서 노력했던 노동자야말로 경제발전의 최대 공로자이고, 주인공이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정희에 대하여 이야기할 때 빠지지 않는 부분이 정치적 리더십일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정치상황과 맞물려 박정희의 카리스마적인 정치 리더십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으로 보는 입장도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이점에 대해서도 박정희의 리더십에 숨어 있는 아집과 독선이라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박정희 대통령 리더십에 대한 이론들을 표로 통해 요약하며 조사를 마친다.
박정희 대통령
특성이론
육체적 특성
ㆍ동양인 기준 평균치 높음(그 당시)
사회적 배경
ㆍ육군 대장까지 지냄.
성격
ㆍ자신감ㆍ지배성ㆍ공격성(강함)
과업특성
ㆍ성취의욕ㆍ책임감ㆍ안정욕구ㆍ지구력ㆍ결과지향성
(고)
사회적 특성
ㆍ관리능력ㆍ협조성(저)
청렴성(고)
행동이론
독재적-민주적-자유방임적 리더십
ㆍ독재적 리더십
직무중심적-부하중심적 리더십
ㆍ직무중심적 리더십
구조주도적-고려적 리더십
ㆍ구조주도(고)ㆍ고려적(저) 리더십
관리격자
ㆍ과업형 리더 스타일
상황이론
상황적합성 이론
ㆍ과업 지향적 리더
의사결정 상황
이론
ㆍ독재1형 리더
경로-목표이론
ㆍ주도적 리더
수명주기 이론
ㆍ지시적 리더
자료출처
위인 박정희, 정재경, 집문당, 1992
아 박정희, 전 청와대 비서실장 김정렴, 1997
http://antidog.zoa.to/
http://www.surname.info/bak/db/bjh2.html
http://www.cwd.go.kr/korean/data/expresident/
http://www.cwd.go.kr/korean/data/expresident/pjh/profile.html
http://home.cein.or.kr/%7Eyounggnn/data/history/history6heandai/h6-5a-1.htm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5.05.15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0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