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영혼을 따뜻하게 데워주는 음료, 커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의 영혼을 따뜻하게 데워주는 음료, 커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ⅰ) 커피의 탄생과 전파
ⅱ) 유럽으로의 커피전파
ⅲ) 커피 재배의 확산
ⅳ) 유럽의 커피
ⅴ) 브라질의 커피 독점

Ⅲ. 결 론

본문내용

710년 커피의 수익성을 간파한 판사 후안 알베르토 브랑코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넓은 커피 농장을 시작한 데서 비롯된다. 1800년 브라질은 최초로 커피를 수출하게 되는데 그때의 교역량은 불과 13포대(포대당 60kg)에 불과했다. 이후 50년도 채 안 되는 1845년에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45%까지 도달했고, 이즈음 브라질 커피는 커피의 대명사로 알려지기 시작한다. 브라질 커피의 전성기인 20세기 초 브라질 커피는 전세계 커피 생산량의 90% 이상을 차지했다. 브라질이 커피 산업에 성공하게 된 데에는 커피 재배에 알맞은 기후와 토양의 자연 조건과 노예제도로 대규모 농원을 만들 수 있었기에 가능했다. 이후 그 명성이 조금씩 쇠락한다.
당시 브라질은 세계 커피시장에서 자신들이 차지하는 생산량에 비중을 두어 코니론이라고 부르는 로부스타종과 저급 아라비카 커피의 대량 생산에 치중했다. 시장 경제 논리가 그렇듯 커피가 과잉 생산되는 가운데서 고품질의 커피를 선호하는 것이 일반적인 성향이 아니던가. 여타의 중남미 커피 생산국들이 오랜 기간의 품종 개량을 거쳐 마일드 커피라는 고품종 커피 군(群)을 탄생시키자, 당연 브라질 커피의 위상이 하락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브라질 커피는 블렌딩(배합용)용에나 알맞은 B급 커피라고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마일드 커피 군(群)에게 세계 커피 수출량 1위 자리를 내주게 된다.
그래도 브라질은 단일국가로는 여전히 세계 1위의 커피 생산국이자 수출국이다. 그 때문에 브라질의 커피 생산에 따라 국제 커피시장이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브라질은 재배 면적이 넓고 자연 조건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각 지역마다 특유의 향미(香味)를 가지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블렌딩용 브라질 커피를 브라질 커피의 모든 것이라는 생각은 접어두는 편이 좋다. 브라질에서도 좋은 아라비카 커피가 생산되며 유기농(organic) 커피나 자메이카 블루마운틴의 변종이 재배되기도 한다.
한국에서 유통되는 고급 브라질 커피는 거의 산토스 버본이라고 보면 된다. 아직도 브라질 커피는 단종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극히 제한적인데 이는 브라질의 최상급 커피가 국내에 소개되지 않은 까닭이다
Ⅲ. 결 론
고려 말 문익점이 목숨을 걸고 중국에서 가져온 목화 씨앗 열 개 가운데 단 한 개만이 싹을 틔웠고 이로 인해 조선의 백성들은 더 이상 헐벗지 않을 수 있었다는 것은 너무나 잘 알려진 이야기이다. 인류는 이처럼 '한 개의 씨앗' 으로 인해 역사의 새로운 장을 써왔다. 역사의 주인공으로 떠오른 씨앗인 커피와 그 씨앗의 전파자인 인간들이 이를 둘러싸고 벌이는 크고 작은 사건들을 살펴보았다.
이 조그만 씨앗이 지금은 세계 곳곳에서 ‘커피중독증’이라는 말도 있듯이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음료가 되었다. 이제 커피도 점점 다양화되고 새로워진다. 오늘만이라도 처음 커피가 나왔을 때는 어떤 맛이었는지 생각하면서 한번 음미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참고문헌>
커피의 역사, 하인리히 에두아르트 야콥, 2002년, 우물이 있는 집
커피, 알랭 스텔라, 2000년, 창해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5.05.16
  • 저작시기2005.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972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