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고소불가분의 원칙의 의의
Ⅱ. 객관적 고소불가분의 원칙
Ⅲ. 주관적 불가분의 원칙
Ⅱ. 객관적 고소불가분의 원칙
Ⅲ. 주관적 불가분의 원칙
본문내용
존중하며 이를 취소할 수 있다고 인정하고 다만 제 1심 판결의 선고를 받은 자에게는 취소의 효력이 미치지 않는다고 해석하는 견해도 있으나 이는 고소의 주관적 불가분의 원칙에 반하고 고소권자의 선택에 의하여 불공평한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므로 고소를 취소할 수 없고 고소의 취소가 있어도 효력이 없다고 해석하는 통설과 판례의 태도가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추천자료
민사소송법상의 사물관할에 관한 문제
[민사소송법]신민사소송법(이시윤 저)요약 및 정리
불이익변경금지의 원칙
[인신구속제도][긴급체포제도]인신구속제도의 변천, 인신구속제도의 기본원칙, 인신구속제도...
행위시법주의의 예외로써의 경한 법 소급의 원칙 (형법)
직장업무와 관련된 위법부당행위 형사사례
민사소송법 요약
[민사소송법]서증
민법_레포트-민사소송법
범죄처리절차(형사사법체계)에 관하여 정리하고 바람직한 방안에 대해서 자신의 의견을 논하시오
[아동복지론] 아동복지의 이해 - 아동복지의 개념, 아동의 권리와 아동복지, 아동복지의 기본...
[경찰의 범죄수사] 범죄수사의 기본원리(범죄수사원칙) - 범죄수사상 준수원칙, 범죄수사의 ...
[사무관리 (Office Management)] 사무관리의 개념(정의)과 필요성, 공문서, 문서소통원칙, 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