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애
⑴ 유년시절
⑵ 소년 시절
⑶ 성산(星山)에서의 수학시절
⑷ 관료시절
2. 문학의 양상
⑴ 정치현실의 고뇌와 연군시가
⑵ 자연시가
3. 문학사적 의의
⑴ 유년시절
⑵ 소년 시절
⑶ 성산(星山)에서의 수학시절
⑷ 관료시절
2. 문학의 양상
⑴ 정치현실의 고뇌와 연군시가
⑵ 자연시가
3. 문학사적 의의
본문내용
있다. 엊그제 관복을 다 벗어버리고 동경하던 시골에 왔는데도 마음은 좀처럼 산수자연과 시골생활에 친숙해지지 않는 자기를 발견케 된 것이다. 벼슬살이의 혼탁함에 염증을 느끼고 귀향을 했음에도 좀처럼 편치 못한 심사, 정이 붙지 않는 환경, 그러한 심리를 그는 이렇게 노래한 것이다. 산수자연과 질박한 생활이 자기를 유혹하여 오라 해 두고는 좀처럼 자기에게 마음을 주지 않는 것처럼 표현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정철을 술을 좋아했기 때문에 술에 관한 많은 시문을 남겼고, 술에 얽힌 일화도 만기고 있다. 취흥을 노래하고 있거나 술자리에서 지어진 것들이 많다는 점 이외에도, 술 자체를 대상화하여 말을 건네거나 이렇게 술에 탐닉하는 자기자신을 관조적 시선으로 대상화하고 있는 작품들이 있다.
3. 문학사적 의의
정철의 작품들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일까. 우선 먼저 꼽을 수 있는 것은 한국어를 통해 이루어낸 그 언어 예술적 성취의 측면이다. 고려에서 조선을 통틀어 대부분의 문인들이 남긴 작품 가운데서 한국어 작품이 한문작품의 수준을 앞서는 경우는 전무한 형편이지만, 정철은 한문시를 훨씬 능가하는 국문시가들을 남겼다. 대개 그의 가사가 높은 평가를 받아왔지만, 시조 작품의 경우에도 가사 못지 않은 문학적 성취를 이룩하고 있다. 그는 국문 시가를 본격문학으로 한 차원 높여 놓았다. 그의 풍류며 작품 세계는 당파를 달리하는 사람들조차 높이 평가하고 모방할 정도로 후세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정철의 국문시들은 대중성을 지니고 있다. 그의 작품이 지닌 대중성은 대체로 언어적 자질에서 말미암은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언어는 기본적으로 일상적 생활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점은 대부분의 사대부 국문시가가 관념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두고 볼 때, 매우 특이한 점이다.
마지막으로 그의 작품이 지니는 시대적 전형성의 문제를 살펴볼 수 있다. 그는 계산 풍류의 전통 가운데서 호남사림의 풍류 취향을 전형적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16세기 사림정치의 구도 속에서 형성된 독특한 군신지도의 전형을 연군의 문학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술노래를 통해서는 당대 선비들의 질박한 음주문화를 잘 형상화했을 뿐 아니라 술꾼의 자기성찰 자기관조를 독특한 어법으로 그려내기도 했다. 그리하여 그의 시가 작품은 당대적 삶의 모습을 좀 더 구체적 형상으로 만날 수 있게 해준다.
참고문헌
민족문학사 연구소, 『한국고전문학 작가론 소명출판』, 1998.
이 밖에도 정철을 술을 좋아했기 때문에 술에 관한 많은 시문을 남겼고, 술에 얽힌 일화도 만기고 있다. 취흥을 노래하고 있거나 술자리에서 지어진 것들이 많다는 점 이외에도, 술 자체를 대상화하여 말을 건네거나 이렇게 술에 탐닉하는 자기자신을 관조적 시선으로 대상화하고 있는 작품들이 있다.
3. 문학사적 의의
정철의 작품들이 가지는 의의는 무엇일까. 우선 먼저 꼽을 수 있는 것은 한국어를 통해 이루어낸 그 언어 예술적 성취의 측면이다. 고려에서 조선을 통틀어 대부분의 문인들이 남긴 작품 가운데서 한국어 작품이 한문작품의 수준을 앞서는 경우는 전무한 형편이지만, 정철은 한문시를 훨씬 능가하는 국문시가들을 남겼다. 대개 그의 가사가 높은 평가를 받아왔지만, 시조 작품의 경우에도 가사 못지 않은 문학적 성취를 이룩하고 있다. 그는 국문 시가를 본격문학으로 한 차원 높여 놓았다. 그의 풍류며 작품 세계는 당파를 달리하는 사람들조차 높이 평가하고 모방할 정도로 후세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정철의 국문시들은 대중성을 지니고 있다. 그의 작품이 지닌 대중성은 대체로 언어적 자질에서 말미암은 것으로 보이는데, 그의 언어는 기본적으로 일상적 생활어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점은 대부분의 사대부 국문시가가 관념적인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두고 볼 때, 매우 특이한 점이다.
마지막으로 그의 작품이 지니는 시대적 전형성의 문제를 살펴볼 수 있다. 그는 계산 풍류의 전통 가운데서 호남사림의 풍류 취향을 전형적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16세기 사림정치의 구도 속에서 형성된 독특한 군신지도의 전형을 연군의 문학으로 구현하고 있으며, 술노래를 통해서는 당대 선비들의 질박한 음주문화를 잘 형상화했을 뿐 아니라 술꾼의 자기성찰 자기관조를 독특한 어법으로 그려내기도 했다. 그리하여 그의 시가 작품은 당대적 삶의 모습을 좀 더 구체적 형상으로 만날 수 있게 해준다.
참고문헌
민족문학사 연구소, 『한국고전문학 작가론 소명출판』, 1998.
소개글